1. 설계인자 고려사항
1) 상의 형태
: 반응 전.후의 기체, 액체, 고체의 상에 대하여 설계 시 결정하는 것으로 단위조작과 반응기 설계 시 중요한 요소가 된다.
2) 조업온도 범위
: 조업온도의 범위는 반응기의 반응조건과 제어에 중요한 인자로서 온도 범위의 제어에 실패할 경우 물질의 품질과 이상반응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의 범위는 기기, 장치, 설비의 재질과 두께의 선정 시 고려되어야 한다.
3) 운전압력
: 운전압력은 배관, 장치, 반응기 등의 설계 시 핵심요소로서 반응기 압력의 크기에 따라 두께, 재질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4) 체류시간과 공간속도
: 체류시간은 투입된 반응물질이 반응 완료되는 시간으로서 반응물질의 투입과 반응 완료 물질의 배출에 핵심요소가 되어 반응후 생성물질의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며, 공간속도의 역수이다.
: 공간속도는 단위시간당 반응되는 용적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공간속도의 결정에 따라 공급설비, 촉매의 양 등이 변경된다.
5) 부식성
: 투입되는 물질과 생성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배관, 반응기, 설비 등의 재질을 고려하여야 하며, 부식성이 높은 물질을 다룰때에는 이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6) 열전달
: 반응기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반응기 설계 시 반응촉진을 위해 공급되는 열, 반응열, 손실열에 대한 Heat balane를 고려하여 온도를 제어하여야 한다.
7) 온도조절
: 반응기의 적정온도 유지를 위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며, 온도조절에 실패하게 되면 이상반응 또는 생성물의 품질저하에 영향을 준다.
8) 조작방법
: 회분식, 연속식 등의 반응기의 종류에 따라 조작순서와 방법이 정형화되어야 하며, 잘못된 조작방법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9) 수율
: 물질의 투입량과 목적에 맞는 물질의 생상량의 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수율이 좋을수록 좋은 반응기라 할 수 있다.
2. 이상반응 고려사항
1) 발열반응
: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 압력증가를 고려하여야 하며, 조절에 실패할 경우 이상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중화 안전설비를 설계하여야 한다.
2) 반응속도 계측
: 반응속도가 빨라질 경우 이상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물질의 투입조절, 촉매의 투입조절, 온도조절을 통하여 반응속도를 관리하여야 한다.
3) 냉각 및 교반 시설
: 냉각장치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반응기 온도 상승에 의한 이상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냉각장치의 이상 유무는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교반시설이 너무 급하게 교반을 할 경우 반응이 촉진될 수있으므로 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4) 신속조치
: 이상반응이 일어나면 반응속도의 급속한 상승으로 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상징후 발생 시 신속하게 자동적으로 조치될 수 있는 자동화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반응의 종류, 특성과 변수 (0) | 2021.01.31 |
---|---|
화학물질 등의 유해인자의 유해성.위험성 분류기준[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0) | 2021.01.31 |
반응기 구조에 따른 분류, 조작방법에 따른 분류 (0) | 2021.01.31 |
반응폭주의 위험성 및 방지대책 (0) | 2021.01.31 |
Semenove 이론, 열 방출률과 열 손실률 (0) | 2021.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