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반응기 안전설계 시 고려사항

728x90
반응형

1. 반응기 냉각수 회수부의 온도경보 장치

: 반응기가 운전조건을 벗어나거나, 냉각수의 온도 조절 기능에 실패하였을 경우를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경보 장치를 설치한다.

2. 반응기 원재료 투입 배관에 조절밸브 설치

: 발열반응 시 반응기 온도의 증기가 발생할 경우 원재료의 투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반응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3. 화재 위험이 있는 물질이 원재료일 경우

: 인화점 이상에서 운전할 경우 착화원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인화점 이하에서 가동하거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불활성 가스로 봉입하여야 함.

 

 

4. 반응기 온도 경보장치 및 안전설비의 작동

: 반응기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반응폭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원료의 투입중지, 냉각수 공급장치 작동, 시스템 압력조절 장치 작동, 반응억제제의 투입 등의 연동설비를 설치하여 작동되도록 하여야 한다.

 

5. 안전밸브의 설치

: 안전밸브는 반응기의 압력이 증가하여 반응속도가 증가하는 것과 반응용기의 압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압력에서 압력을 배출하는 안전밸브를 설치한다.

6. 위험물질 취급 시 방폭형 전기, 기계의 사용

: 위험물질 취급장소는 전기기기에 의한 점화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취급장소에 설치하는 전기, 기계 등은 방폭형을 사용

7. 반응기 주위 가스감지기 설치 및 누설 시 경보기 설치

: 반응기의 주변에는 반응으로 인한 인화성, 가연성, 독성 가스의 생성과 반응기 내부로의 재료의 투입, 제품의 배출로 인한 유해성, 위험성 가스가 발생할 수 있어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가스 감지기를 설치하고 경보장치와 연동되도록 하여야 한다.

8. 고형물 생상되는 경우 안전밸브 전단 파열판 설치

: 부식이 빠르거나 고형물이 생성되는 경우 안전밸브의 부식에 의한 문제와 고형물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밸브 전단에는 파열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9. 비상 세척시설 설치

: 반응기와 주변설비에서의 유해성 물질의 누설 후 근로자의 피부 등에 접촏ㄱ하여 피해를 줄 수 있어 이르 ㄹ세척하기 위한 비상 세척시설을 갖추도록 한다.

 

10. 부식을 고려하여 재료를 선정

: 배관, 용기, 기기의 부식은 화학물질의 누출과 긴밀한 관계가 있어 부식성에 대하여 자세히 조사하여 재료를 선정

 

11. 점화원의 제거를 위한 접지설치

: 위험물질이 누설될 경우 전기장치 등이 점화원으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는 접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반응기 안전설계 시 고려사항

1. 반응기 냉각수 회수부의 온도경보 장치 : 반응기가 운전조건을 벗어나거나, 냉각수의 온도 조절 기능에 ...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