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지거리 (4)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우시안 모델의 계산 예제 #최대착지거리, #최대착지농도 예제 1 화력발전소에 굴뚝높이가 100m 이고, 배출연기온도는 300 ℃ 이다. 또한 배출연기속도는 30 m/sec이며, 굴뚝내경은 4m 이다. 주변 대기의 온도는 20 ℃ 이고, 굴뚝 끝에서 풍속 5m/s이며, 대기 압력은 1000 mbar이다. 이 때의 연기의 유효굴뚝높이를 Holland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여라. (풀이) 예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그러므로 유효굴뚝높이는 예제 2 예제 1의 화력발전소의 굴뚝에서 SO2의 배출량(Q)이 200 g/s 라면, 이 때에 연기중심선을 따라서 풍하지역으로 2 km 떨어진 지점에서 착지농도(mg/m3)를 계산하여라. 단, 대기 안정도등급은 C등급으로 가정한다. (풀이) 연기중심선을 따라서 풍하지역으로 2km 인 지점에서 착지.. 화학공장의 염소 누출에 의한 피해 영향 모델링 화학공장의 염소 누출에 의한 피해 영향 모델링 (Damage Effects Modeling by Chlorine Leaks of Chemical Plants) 요 약 본 연구는 화학공장에서 원료 및 중간재로 많이 사용되는 Heavy Gas인 염소를 화학설비의 가압 염소포화액체 저 장탱크에서 2상 흐름 연속누출에 대한 유해위험거리를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피해영향 모델링이다. 피해예측을 위한 평가방법과 사고영향평가모델들을 기준으로 액체염소 저장용기의 누출사고에서 사고결과에 미치는 최적의 변수를 나타나기 위해 조업조건을 표준조건으로 하였다. 장외영향평가의 위험성 평가에 사용되는 것으로 USEPA와 NOAA에서 공동 개발된 대기확산 모델인 ALOHA (V5.4.4) 모델을 사용하였다. 화학물질을 대량으로.. 확산계수의 모델링 방법이 대기확산인자에 미치는 영향 확산계수의 모델링방법이 대기확산인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odelling Approaches of Diffusion Coefficients on Atmospheric Dispersion Factors) 가우시안 플륨모델(Gaussian plume model)을 사용한 대기확산의 예측에서 확산계수는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확산계수의 평가방법은 다양하며, 본 연구에서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U. S. NRC) 권고 규제지침, 캐나다 원자력안전위원회(CNSC) 권고 규제지침, 확률론적 사고결말해석코드 MACCS와 MACCS2에서 권고 또는 적용하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U. S. NRC에서 권고하는 부지적합성 평가를 위한 가상사고시 대기확산모델을 기반으로 확산계수의 평가방.. 최대 착지 농도, 최대 착지 거리 최대 착지 농도 거리 Q : 오염물질 배출률(Sm3/s) : 유량 He : 유효굴뚝 높이(m) U : 풍속(m/sec) e : 자연대수 σz : 수직 확산 계수 σy : 수평 확산 계수 C : 오염물질 농도 n : 안정도 계수 최대 착지 농도, 최대 착지 거리 Q : 오염물질 배출률(Sm3/s) : 유량 He : 유효굴뚝 높이(m) U : 풍속(m/sec) e : 자연대수 σz : 수직 ... blog.naver.com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