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798)
화재의 분류, 방지대책 1. 화재의 분류 화재구분 화재등급 (표시색) 가연물질 소화방법 주의사항 일반화재 A급 (백색) 종이, 나무, 섬유류, 고무, 플라스틱 냉각소화 (물) 물 소화 효과적 유류화재 B급 (황색) 휘발유, 석유, 알콜 등의 가연성 액체 질식소화 (포) 확대위험 큼 전기화재 C급 (청색) 과전류, 단락, 합선, 지락, 누전, 스파크, 정전기 등 질식소화 (가스계) 물소화 시 감전 위험 금속화재 D급 (없음) 가연성 금속(Na, K, Al, Mg, Zn) 등의 분말상태 질식소화 (건조사) 물소화 시 폭발 위험 가스화재 E급 (황색) LNG, LPG, 수소 등 가연성 가스 제거소화 (밸브차단) BLEBE 현상 주의 2. 화재방지 대책 1) 예방대책 : 발화를 근원적으로 방지(감지기, TBI, RBI 등) 2) 국한..
인화점(Flash point), 발화점(Ignition Point), 연소점(Fire Point) 인화점 1. 정의 : 가연성 액체나 고체의 표면에 화염을 접촉시켰을 경우에 인화가 일어나는 최저의 온도 2. 인화점 측정장치 1) 밀폐식 : 밀폐상태에서 가열하여 측정하는 장치(비교적 낮은 인화점) 2) 개방식 : 개방상태에서 가열하여 측정하는 장치(비교적 높은 인화점) 발화점 1. 정의 1) 가연성 물질이 점화원 없이 불이 붙는 최저온도. 2) 지속적으로 연소가 진행되기 위해선 연료의 발열속도가 방열속도보다 커야 함. 2. 발화점이 낮아지는 조건 1) 발열량이 클수록 2) 산소농도가 클수록 3) 압력이 클수록 4) 부피가 클수록 5) 연전도율이 낮을수록 6) 분자구조가 복잡할수록 3. 발화점에 영향을 주는 인자 1) 가연성가스와 공기와의 혼합비 2) 발화가 생기는 공간의 형태와 크기 3) 가열속도와 지..
연소의 3요소, 종류, 안전대책 1. 정의 1) 급격한 산화반응으로 빛과 열을 수반 2) 산화반응이란 가연물이 산화되는 과정 2. 연소의 3요소(4요소) 1) 가연물 : 산화반응을 일이킬 수 있는 물질 2) 산소공급원 : 가연물과 반응하는 산소 3) 착화원 : 연소를 일이크기 위한 초기 필요한 에너지 4) 연쇄반응(화학적 반응) : 반응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활성화 반응 3. 연소 메커니즘 1) 연소는 물질의 화학적 변화로서 원인계에 일정한 활성화 에너지가 주어져서 활성 상태에 달하면 에너지가 안정한 상태로 되려고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생성계로 변화하는 현상을 연소라 함. 2) 촉매와 활성화 에너지 4. 연소의 형태 및 안전대책 연소의 종류 연소의 형태 설명 안전대책 기체 연소 확산연소 가연성 기체가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는..
증기운 폭발(UVCE)과 비등액체 증기 폭발(BLEVE) 증기운 폭발(UVCE, Unconfined Vapor Cloud Explosion) 1. 개요(정의) - 대기중에 확산되어 있는 다량의 가스(증기운)가 어떤 점화원에 의해 급격한 폭발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 풍속이 낮아 증기운이 잘 확산되지 않는 경우에 더욱 피해가 심각하며, 폭발시간이 비교적 짧아 복사열에 의한 피해보다는 화염 전파방 압력파를 일으켜 시설물에 피해를 입히는 정도가 더 심각하다. 2. 방지대책 1) 가스감지기를 설치하여 조기에 가스 누출을 감지한다.(LEL 25% 이하에서 감지) 2) 가스 누출 감지 시 긴급차단밸브가 작동할 수 있도록 연동한다. 3) 재고량을 낮게 유지하여 용기나 파이프 파열 시 flashing을 최소화 한다. 4) 부분 구획물이나 장해물이 없도록하여 증기운이 잘..
인화방지망, 화염방지기 인화방지망 - 구리 재질의 한겹으로 된 얇은 금속망 - 불길이 유입되면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가 열기를 흡수해 발화 차단 - 불길이 계속 유입되면 판이 달궈져 불꽃이 탱크 내부로 치솟을 가능성이 있음 - 가격이 저렴 화염방지기 - 철사를 꼬거나 금속 구슬이 여러번 겹쳐 만든 두꺼운 금속망 - 불길이 유입되면 여러 겹의 금속망이 열기를 흡수해 발화 차단 - 불길이 계속 유입되도 한겹으로 된 인화방지망에 비해 화재 방지 효과가 큼 - 가격이 비쌈
자체소방대 대상, 소화능력(위험물안전관리법) 1. 자체소방대 설치대상 사업소 : 제4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다만,, 보일러로 위험물을 소비하는 일반취급소 등은 제외) 참고) 자체소방대의 설치 제외대상인 일반취급소 1) 보일러, 버너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장치로 위험물을 소비하는 일반취급소 2) 이동저장탱크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에 위험물을 주입하는 일반취급소 3) 용기에 위험물을 옮겨 담는 일반취급소 4) 유압장치, 윤활유 순환장치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장치로 위험물을 취급하는 일반취급소 5) 광산보안법의 적용을 받는 일반취급소 2. 화학소방자동차 수량 및 자체소방대원의 수 3. 화학소방자동차가 갖추어야 하는 소화능력 화학소방차의 구분 소화능력 포 수용액 방사차 포수용액의 방사능력이 매분 2,000L 이상일 것 분말 방사차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