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777)
화재(연소)와 폭발 차이 화재 1, 에너지의 느린 방출로 열에너지의 이동에 따라 연소전파가 이루어지는 과정 2. 화재(연소)의 열에너지 방출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며 밀도는 온도 상승에 의해 감소 폭발 1. 복사열에너지와 압력파에 의해 발화시키며 폭발전파가 이루어지는 과정 2. 폭발이 발생하면 압력, 온도 밀도가 모두 증가하는 현상이 일어남 3. UVCE(Un Confined Vapour Cloud Explosion)를 제외하고 밀폐계에서 발생 화재와 폭발 연소과정 압력, 밀도, 온도 변화 그래프
폭연(Deflagration)과 폭굉(Detonation) 1. 개요 : 폭굉과 폭연의 차이는 폭발 시 발생하는 충격파의 유무에 따라 구분된다. 2. 폭연 1) 정의 : 폭발시 연소파의 전파속도가 음속 이하인 것. 2) 특징 - 반응속도는 0.1 ~ 10m/s 정도 - 밀폐 용기내에서 예혼합가스가 발화하면 화염이 전체에 전파, 내부압력 단시간에 상승 - 압력상승은 초기 압력의 약 10배 이하 3. 폭굉 1) 정의 : 폭발시 연소파의 전파속도가 음속 이상인 것. 2) 특징 - 반응속도 1,000 ~ 3,500m/s 정도의 초음속 - 충격과 반응의 배가 효력은 보통의 폭발보다 백배나 더 파괴적 - 밀폐된 용기 및 파이프에서 예리한 충격파가 반응 4. 공통점과 차이점 구분 폭연 폭굉 공통점 화학적 에너지에 의한 폭발의 형태 차이점 충격파 X O 압력증가 수기압 정도(..
연소 시 이상현상, 유해가스 종류 불완전 연소 1. 원인 -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불충분하거나 연소 온도가 낮은경우 - 1차 공기량 부족 - 입열량 과다시 황염이나 그을음, CO, 알데히드 등 불완전 연소 생성물 발생 2. 조치방법 : 원인제거(댐퍼조절, 가스압력 조정, 배기불량 조절 등) 역화(Flash Back) 1. 원인 - 가연성 가스의 분출속도가 연소속도보다 느린 경우 염공을 따라 불꽃이 기기 내부로 들어가 연소되는 현상 2. 조치방법 - 댐퍼조절(1차 공기량 낮춤), 가스압력 높임(노즐교체 및 청소) 리프팅(Lifting) 1. 원인 - 가연성 가스의 분출속도가 연소속도 보다 빨라 염공을 벗어나서 연소하는 현상(염공이 이물질로 막힘) 2. 조치방법 - 댐퍼조절(1차 공기량 낮춤), 가스압력 낮춤(노즐교체 및 청소) 노란불꽃(Y..
폭발한계, 연소범위(LFL,UFL) 1. 정의 1) 연소가 가능한 최소농도 연소(폭발)하한계(LFL) 2) 연소가 가능한 최대농도 연소(폭발)상한계(UFL) 2. 연소(폭발)범위의 영향요인 1) 산소농도 : 산소농도가 높을수록 연소범위 넓어짐 2) 온도 : 온도가 높을수록 연소범위 넓어짐 3) 압력 : 압력이 높을수록 연소범위 넓어짐 4) 난류 : 층류일 때보다 난류일때 연소범위 넓어짐 3. 완전연소 Jones 식 LFL 25 = 0.55 x Cst UFL 25 = 3.5 x Cst Cst = (가연성 가스 몰수/가연성 가스몰수+(공기 몰수/공기중 산소비율)) x 100 여기서 Cst는 양론계수를 나타내며, 25는 25℃ 에서의 연소한계를 나타낸다.
최소발화(착화)에너지(MIE, Minium Ignition Energy) 1. 정의 : 가연성 가스 및 공기의 혼합가스에 착화원을 접촉하여 발화가 발생할 경우 발화에 필요한 착화원의 최소에너지 2. 최소발화에너지의 계산 E = 1/2CV^2 E : 최소발화에너지(J) C : 정전용량(F) V : 전압(V) 3. 최소발화에너지(MIE) 영향요소 1) 압력이 높을 경우 최소발화에너지는 감소 2) 온도가 높을수록 최소착화에너지는 감소 3) 화학양론조성비(Cst)에 가까운 가연성 혼합가스 농도일수록 최소착화에너지는 감소 4) 소염거리 이상에서는 발화되지 않음 4. 최소발화에너지의 활용 1) 가연성가스의 위험도 측정 2) 본질안전 방폭구조의 원리 이용
화재의 분류, 방지대책 1. 화재의 분류 화재구분 화재등급 (표시색) 가연물질 소화방법 주의사항 일반화재 A급 (백색) 종이, 나무, 섬유류, 고무, 플라스틱 냉각소화 (물) 물 소화 효과적 유류화재 B급 (황색) 휘발유, 석유, 알콜 등의 가연성 액체 질식소화 (포) 확대위험 큼 전기화재 C급 (청색) 과전류, 단락, 합선, 지락, 누전, 스파크, 정전기 등 질식소화 (가스계) 물소화 시 감전 위험 금속화재 D급 (없음) 가연성 금속(Na, K, Al, Mg, Zn) 등의 분말상태 질식소화 (건조사) 물소화 시 폭발 위험 가스화재 E급 (황색) LNG, LPG, 수소 등 가연성 가스 제거소화 (밸브차단) BLEBE 현상 주의 2. 화재방지 대책 1) 예방대책 : 발화를 근원적으로 방지(감지기, TBI, RBI 등) 2) 국한..
인화점(Flash point), 발화점(Ignition Point), 연소점(Fire Point) 인화점 1. 정의 : 가연성 액체나 고체의 표면에 화염을 접촉시켰을 경우에 인화가 일어나는 최저의 온도 2. 인화점 측정장치 1) 밀폐식 : 밀폐상태에서 가열하여 측정하는 장치(비교적 낮은 인화점) 2) 개방식 : 개방상태에서 가열하여 측정하는 장치(비교적 높은 인화점) 발화점 1. 정의 1) 가연성 물질이 점화원 없이 불이 붙는 최저온도. 2) 지속적으로 연소가 진행되기 위해선 연료의 발열속도가 방열속도보다 커야 함. 2. 발화점이 낮아지는 조건 1) 발열량이 클수록 2) 산소농도가 클수록 3) 압력이 클수록 4) 부피가 클수록 5) 연전도율이 낮을수록 6) 분자구조가 복잡할수록 3. 발화점에 영향을 주는 인자 1) 가연성가스와 공기와의 혼합비 2) 발화가 생기는 공간의 형태와 크기 3) 가열속도와 지..
연소의 3요소, 종류, 안전대책 1. 정의 1) 급격한 산화반응으로 빛과 열을 수반 2) 산화반응이란 가연물이 산화되는 과정 2. 연소의 3요소(4요소) 1) 가연물 : 산화반응을 일이킬 수 있는 물질 2) 산소공급원 : 가연물과 반응하는 산소 3) 착화원 : 연소를 일이크기 위한 초기 필요한 에너지 4) 연쇄반응(화학적 반응) : 반응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활성화 반응 3. 연소 메커니즘 1) 연소는 물질의 화학적 변화로서 원인계에 일정한 활성화 에너지가 주어져서 활성 상태에 달하면 에너지가 안정한 상태로 되려고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생성계로 변화하는 현상을 연소라 함. 2) 촉매와 활성화 에너지 4. 연소의 형태 및 안전대책 연소의 종류 연소의 형태 설명 안전대책 기체 연소 확산연소 가연성 기체가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