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안전성이 좋은 것
열매체유는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지기 때문에 이때 가열부의 관벽에 접촉된 유막은 더욱 높은 고온에 도달하게 되며 순환방식에서도 이러한 부위에서의 국부가열은 피할 수가 없다. 이러한 조건에서 열매체유는 열분해를 일으켜 고온의 슬러지를 생성하게 되고 결국 탄화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열매체유의 효율을저하 시키며 조기 열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열매체유의 가장 중요한 특성으로 열안전성이 요구됨
산화안정성이 좋은 것
열매체유의 산화정도는 공기와의 접촉이 많을수록, 사용온도가 높을수록 심해지며, 열매체유가 고온에서 산화됨에 따라 생성되는 불용성 고체 산화물은 관벽에 스케일을 형성하고 필터를 막히게 하여 장치의 고장을 야기시키고 장치를 부식시키는 원인이 된다.
증기압이 낮을 것
열매체 장치에서 가열시 증기압이 높은 매체는 고온에서 부분적인 베이퍼 록(Vapor rock) 현상에서의 케비테이션(cavitation) 등으로 인한 열매체유의 순환불량 및 장치의 마모를 일으키며, 밀폐장치 내의 압력상승으로 인한 누유로 인화의 위험 등이 뒤따르고므로 고온에서의 증기압은 가능한 낮은 것이 좋음
인화점이 높을 것
열매체유의 인화점은 조업 시 안전과 관련되는 것으로 인화점이 높을수록 화재의 위험성이 적음
적정점도와 저온 유동성
열매체의 장치에서 열매체유의 점도 선정은 장치설계 및 조건에 의해 결정되지만 펌프의 종류, 배관의 직경 및 길이 또는 냉각시의 가동온도와 유동성에 의해서도 선정기준이 달라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점도가 높으면 순환성이 불량하여 국부적인 과열로 인해 오일의 열화가 빠르며 또한 열전달계수가 낮아 열효율이 떨어진다. 반면에 점도가 낮으면 순환성은 좋으나 인화점이 낮거나 증기압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적절한 점도의 선정은 장치 가동상 중요한 특성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연소장치의 구성, 구조 및 일반사항 (0) | 2023.04.03 |
---|---|
보일러 분류 및 특징 (0) | 2023.04.03 |
초음파 세척기 원리 (0) | 2023.04.03 |
플라스틱의 종류 및 특징 (0) | 2023.04.03 |
위험성 평가기법 종류와 선정 (0) | 202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