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화학공학

위험성 평가기법 종류와 선정

728x90
반응형

평가기법 선정 시 고려사항

1. 특징의 고려

1) 리스크 평가 기법이 적용되는 상황과 조직에 적합하여야 한다.

2) 리스크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리스크 처리방식에 대한 형식을 제공하여야 한다.

3) 리스크 평가는 추적, 반복, 검증될 수 있어야 한다.

 

 

2. 대상과 범위의 고려

1) 리스크 평가의 대상

2) 의사 결정자의 요구

3) 문석되는 리스크의 유형과 범위

4) 결과에 대한 잠재적 영향

5) 전문지식, 사람 그리고 요구된 기타 자원의 수준

6) 데이터 및 정보의 유용성

7) 리스크 평가결과의 수정/갱신 필요성

8) 규정과 계약상의 요건

 

 

3. 영향요인의 고려

1) 자원의 이용 가능성

(1) 리스크 평가팀의 역량 및 능력

(2) 조직 내의 리스크 평가기간 및 기타 자원의 제약

(3) 외부자원이 요구되는 경우 이용 가능한 자산

 

2) 불확실성의 본질 및 수준

 

3) 복잡성(Complexity)

 

 

 

평가기법의 종류

평가기법
설명
체크리스트
(Checklist)
리스크 확인의 간단한 형식으로 공정 및 설비의 오류 결함상태, 위험상황 등을 목록화한 형태로 작성하여 경험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리스크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예비 위험요인 분석
(PHA : Preliminary Hazard Analysis)
리스크를 초기에 확인하여 리스크가 나중에 발견되었을 때 드는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위험요인과 위험한 상황, 사건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이다.
사고예방질문 분석
(What If)
공정에 잠재하고 있는 위험요소에 으해 야기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예상질문을 통하여 확인 예측하여 공정의 리스크 및 사고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는 방법이다.
인간 신뢰성 분석
(HRA : Human Reliability Analysis)
인적 오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 기법을 통하여 시스템에서의 인간의 오류에 대한 확률을 미리 예상하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오류는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근본 원인 분석
(RCA : Root Cause Analysis)
사고 발생 후 사고발생에 대한 근본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시스템과 프로세스의 결합에 중점을 두어 왜 사건이 발생했는지를 알아내고 확인된 원인에 따라 사고의 시작과 전개를 후향적으로 검토하고 세밀히 조사하는 구조적 접근방법이다.
결함수 분석
(FTA : Fault Tree Analysis)
사고를 일이키는 장치의 이상이나 운전자 실수의 조합을 연역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사건수 분석
(ETA : Event Tree Analysis)
초기사건으로 알려진 특정한 장치의 이상 또는 운전자의 실수에 의해 발생되는 잠재적인 사고결과를 정략적으로 평가, 분석하는 방법이다.
원인 결과 분석
(CCA : Cause Conequence Analysis)
FTA와 ETA 를 조합한 것으로 잠재된 사고의 결과 및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고 사고결과와 원인 사이의 상호관계를 예측하여 리스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고장형태와 영향분석
(FMEA :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발생 가능한 잠재 고장형태와 그 영향을 평가하는 기법으로, 각 고장형태의 중대성을 정성적, 반정량적 또는 정량적(이상위험도 분석)방법이다.
이상위험도 분석
(FMECA : Failure Mode, Effect and Criticality Analysis)
공정 및 설비의 고장의 형태 및 영향, 고장형태별 리스크 순위 등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위험요인과 운전분석
(HAZOP : Hazard and Operability Studies)
공정에 존재하는 위험요인들과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운전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그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방호계층분석
(LOPA : Layers of Protection Analysis)
원하지 않는 사고의 빈도나 강도를 감소시키는 독립방호계층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방법
정량적 리스크 평가
(QRA :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설비상에 잠재하고 있는 리스크의 형태를 발견하기 위한 정성적 위험성 평가를 수행한 후, 발견된 위험요인들이 사고로 전이할 가능성을 FTA 등을 이용하여 확률적으로 산출하고 사고의 결과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한 평가방법으로서 사고 발생시 예상되는 피해범위 등을 예측하여 전체 시설의 위험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고, 그 수치가 목표 수준보다 큰 경우에는 이를 토대로 비상조치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한다.
공정 위험요인 검토
(PHR : Process Hazard Review)
잠재적인 위험물질 누출사건 및 그 결과로써 발생하는 화재, 폭발, 독성물질 누출과 같은 중요한 공정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방법
공정 안전성 분석
(PSR : Process Safety Review)
설치, 가동 중인 기존 화학공장의 공정안전성을 재검토하여 사고 위험성을 분석하는 방법
위험도 기반 검사
(RBI : Risk Based Inspection)
사고 발생 가능성과 사고 결과의 크기에 의해 평가되는 위험도를 이용하여, 검사체계의 운영과 공정 또는 장치의 검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
신뢰성, 가용성 및 유지보수성
(RAM :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Maintainability)
특정 시스템, 공정이나 설비의 신뢰성과 가용성,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리스크 분석을 결함수 분석, 웨이불(Weibull) 분석, 신뢰성 블록 다이어그램 등의 분석법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수행한다.

 

 

728x90
반응형

'공학 > 화학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음파 세척기 원리  (0) 2023.04.03
플라스틱의 종류 및 특징  (0) 2023.04.03
증류탑 적정부하  (0) 2023.04.03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 제도  (0) 2023.04.03
REACH 제도  (0) 2023.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