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액량의 최소 허용한계
: 증기량이 많고 액량이 적을 때에는 증기가 액체와 접촉하지 않고 상승하게 되어 증류장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된다. 다음의 그림에서 A 선분이 이러한 한계를 나타내는 액량의 최소 허용한계선이다.
증기량의 최소 허용한계
: 증기량에 비해 액량이 많을 경우 기포의 발생이 불연속적이며, 액이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문제가 된다. 다음의 그림에서 B, D 선분이 이러한 한계를 나타내는 증기량의 최소허용한계선이다.
증기량의 최대허용한계
: 액량에 대하여 증기량이 너무 많을 경우 비말동반을 일으키고 액면이 상승하게 되며, 효율이 저하된다. 다음 그림에서 C 선분이 이러한 한계를 나타내는 증기량의 초대 허용한계선이다.
Flatting 한계
: E 선분을 넘어가게 되면 액과 증기가 많아 탑의 하부까지 액과 기포가 충만하게 되어 효율이 저하된다.
적정 운전부하
: 적전 운전부하는 상기의 한계선 내부에서 운전하게되며, 이를 적정 운전부하라 한다.
적정부하에서 운전하지 않을 경우의 문제점
1. 증류장치의 효율이저하되며 제품의 품질이 낮아진다.
2. 온도, 압력 곡선이 큰 폭으로 변화된다.
3. 환류조의 액면이 갑자기 상승하게 된다.
728x90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스틱의 종류 및 특징 (0) | 2023.04.03 |
---|---|
위험성 평가기법 종류와 선정 (0) | 2023.04.03 |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 제도 (0) | 2023.04.03 |
REACH 제도 (0) | 2023.04.03 |
유해물질의 처리방법 (0) | 202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