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위험물질 | CAS. No | 규정량(kg) |
인화성 가스 | - | 제조.취급 : 5,000 저장 : 200,000 |
인화성 액체 | - | 제조.취급 : 5,000 저장 : 200,000 |
수소 | 1333-74-0 | 제조.취급.저장 : 5,000 |
염소 | 7782-50-5 | 제조.취급.저장 : 1,500 |
불소 | 7782-41-4 | 제조.취급.저장 : 500 |
포스겐 | 75-44-5 | 제조.취급.저장 : 500 |
포스핀 | 7803-51-2 | 제조.취급.저장 : 500 |
아크릴로니트릴 | 107-13-1 | 제조.취급.저장 : 10,000 |
암모니아 | 7664-41-7 | 제조.취급.저장 : 10,000 |
암모니아수(중량 20% 이상) | 1336-21-6 | 제조.취급.저장 : 50,000 |
질산(중량 94.5% 이상) | 7697-37-2 | 제조.취급.저장 : 50,000 |
불산(중량 10% 이상) | 7664-39-3 | 제조.취급.저장 : 10,000 |
염산(중량 20% 이상) | 7647-01-0 | 제조.취급.저장 : 20,000 |
황산(중량 20% 이상) | 7664-93-9 | 제조.취급.저장 : 20,000 |
발연황산(삼산화황 중량 65% 이상 80% 미만) | 8014-95-7 | 제조.취급.저장 : 20,000 |
과산화수소(중량 52% 이상) | 7722-84-1 | 제조.취급.저장 : 10,000 |
브롬화수소 | 10035-10-6 | 제조.취급.저장 : 10,000 |
브롬 | 7726-95-6 | 제조.취급.저장 : 1,000 |
불화수소(무수불산) | 7664-39-3 | 제조.취급.저장 : 1,000 |
염화수소(무수염산) | 7647-01-0 | 제조.취급.저장 : 10,000 |
황화수소 | 7783-06-4 | 제조.취급.저장 : 1,000 |
메틸 이소시아네이트 | 624-83-9 | 제조.취급.저장 : 1,000 |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 91-08-7 | 제조.취급.저장 : 2,000 |
584-84-9 | ||
26471-62-5 | ||
이산화황 | 7446-09-5 | 제조.취급.저장 : 10,000 |
삼산화황 | 7446-11-9 | 제조.취급.저장 : 10,000 |
이황화탄소 | 75-15-0 | 제조.취급.저장 : 10,000 |
시안화수소 | 74-90-8 | 제조.취급.저장 : 500 |
클로로술폰산 | 7790-94-5 | 제조.취급.저장 : 10,000 |
질산암모늄 | 6484-52-2 | 제조.취급.저장 : 500,000 |
과염소산 암모늄 | 7790-98-9 | 제조.취급.저장 : 3,500 |
니트로글리세린 | 55-63-0 | 제조.취급.저장 : 10,000 |
트리니트로 톨루엔 | 118-96-7 | 제조.취급.저장 : 50,000 |
과산화벤조일 | 94-36-0 | 제조.취급.저장 : 3,500 |
산화에틸렌 | 75-21-8 | 제조.취급.저장 : 1,000 |
실란 | 7803-62-5 | 제조.취급.저장 : 1,000 |
디클로로실란 | 4109-96-0 | 제조.취급.저장 : 1,000 |
삼염화인 | 7719-12-2 | 제조.취급.저장 : 10,000 |
염화 벤질 | 100-44-7 | 제조.취급.저장 : 2,000 |
이산화염소 | 10049-04-4 | 제조.취급.저장 : 500 |
염화 티오닐 | 7719-09-7 | 제조.취급.저장 : 10,000 |
일산화질소 | 10102-43-9 | 제조.취급.저장 : 10,000 |
붕소 트리염화물 | 10294-34-5 | 제조.취급.저장 : 10,000 |
메틸에틸케톤과산화물 | 1338-23-4 | 제조.취급.저장 : 10,000 |
삼불화 붕소 | 7637-07-2 | 제조.취급.저장 : 1,000 |
니트로아닐린 | 88-74-4 | 제조.취급.저장 : 2,500 |
99-09-2 | ||
100-01-6 | ||
29757-24-2 | ||
염소 트리플루오르화 | 7790-91-2 | 제조.취급.저장 : 1,000 |
시아누르 플루오르화물 | 675-14-9 | 제조.취급.저장 : 2,000 |
질소 트리풀로오르화물 | 7783-54-2 | 제조.취급.저장 : 20,000 |
니트로 셀룰로오스(질소 함유량 12.6% 이상) | 9004-70-0 | 제조.취급.저장 : 100,000 |
비고
1. "인화성 가스" 란 인화한계 농도의 최저한도가 13% 이하 또는 최고한도와 최저한도의 차가 12% 이상인 것으로서 표준압력(101.3kPa)에서 20°C 에서 가스 상태인 물질을 말한다.
2. 인화성 가스 중 사업장 외부로부터 배관을 통해 공급받아 최초 압력조정기 후단 이후의 압력이 0.1 MPa(계기압력) 미만으로 취급되는 사업장의 연료용 도시가스(메탄 중량 성분 85% 이상으로 이 표에 따른 유해.위험물질이 없는 설비에 공급되는 경우에 한정한다)는 취급 규정량을 50,000kg 으로 한다.
3. "인화성 액체" 란 표준압력(101.3kPa)에서 인화점이 60°C 이하이거나 고온. 고압의 공정운전조건으로 인하여 화재.폭발위험이 있는 상태에서 취급되는 가연성 물질을 말한다.
4. 인화점의 수치는 태그밀폐식 또는 펜스키마르테르식 등의 밀폐식 인화점 측정기로 표준압력(101.3kPa)에서 측정한 수치 중 작은 수치를 말한다.
5. 유해.위험물질의 규정량이란 제조.취급.저장 설비에서 공정과정 중에 저장되는 양을 포함하여 하루동안 최대로 제조.취급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양을 말한다.
6. 규정량은 화학물질의 순도 100%를 기준으로 산출하되, 농도가 규정되어 있는 화학물질은 그 규정된 농도를 기준으로 한다.
7. 유해.위험물질의 규정량 이상 제조.취급.저장하는 경우에는 유해.위험설비로 본다.
1) 한 종류의 유해.위험물질 제조.취급.저장하는 경우
: 유해.위험물질의 규정량 대비 하루동안 제조.취급 또는 저장할 수 있는 가장 큰 값(C/T) 1이상인 경우
2) 두 종류 이상의 유해.위험물질 제조.취급.저장하는 경우
: 유해.위험물질 별로 제조.취급 또는 저장할 수 있는 가장 큰 값(C/T)을 구하여 합산한 값(R)이 1이상인 경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력으로 작동되는 문 설치 조건(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0) | 2020.10.23 |
---|---|
작업장의 출입구(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0) | 2020.10.23 |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 방법, 시기 (0) | 2020.10.23 |
산업안전지도사, 산업보건지도사 직무(산업안전보건법) (2) | 2020.10.23 |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종류(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0) | 2020.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