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전압(V ; volt)
전위라고도 하며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전기장 내에서 단위 양전하(1 쿨롱의 전하)를 기준점 (보통 무한대 점 또는 대지)에서 그 위치까지 운반하는 데 필요한 일을 그 점의 전위라고 한다. 전위가 동일한 점을 연결하여 생기는 면을 등전위면이라 하며, 전기력선은 등전위면에 직각으로 교차한다.
전기장 내의 한 점인 방향으로 향하는 전기장의 강도는 그 방향의 전위 기울기와 동일하며 전위는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향한다.
전하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도체의 각 점의 전위는 모두 동일하며 그 표면은 등전위면이지만, 전류가 흐를 때 도체의 전위는 위치에 따라 다르며 전기장이 존재한다.
전위의 측정방법은 측정부위에 따라 도체전위, 표면전위, 그리고 공간전위측정으로 구분된다. 표면전위의 측정은 대전물체의 전면에 측정전극을 일정거리에 두어 검출전극에 유기되는 전압을 계측하여 측정한다. <표 2-6>은 작업 조건에 따른 정전압의 측정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인체의 정전기 전압이 2 kV에서는 희미한 방전음이 발생하고 4 kV에서는 방전 발광이 관찰되며, 또한 3 kV에서부터 정전기 방전 시의 전격에 의한 피부의 통증이 느껴지기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략적으로 1∼10 kV의 정전압에서 약 1∼10 mJ의 방전에너지가 발생하는데, 정확한 값을 알기 위해서는 측정 물질의 착화에너지, 정전용량의 자료가 필요하다.
![](https://blog.kakaocdn.net/dn/bkDzl8/btr5qsKN9Gz/dG4ZLe4Z7YfRi80AZQOqwK/img.png)
<표 2-6> 정전기 발생원에 따른 정전압 측정 예
728x90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연물, 도체의 저항률 (0) | 2023.03.22 |
---|---|
대전계열(정전기) (0) | 2023.03.22 |
정전용량(C ; capacitance) 정의 및 단위 (0) | 2023.03.21 |
정전기 에너지(Ue) 산출 노모그램 (0) | 2023.03.21 |
인체의 전기적인 특성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