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KS C IEC 60079-10-1(2020) 개정사항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1. 적용범위
e) 저압의 연료가스가 취사, (water heating), 기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상업용 및 산업용 기기(appliances) 다만, 해당설비(installation)가 관련 가스 코드 부합되는 경우에 한함.
|
5.3.2 연료가스 설비
저압의 연료가스만 사용되고 취사, 물의 가열 및 이와 유사한 용도인 상업용 및 산업용 설비는 가스 관련 코드를 적용한다.
대부분의 경우, 가스 관련 코드에 적합하다면 비폭발위험장소로 구분되거나 무시할 수 있는 범위의 장소(NE)가 될 수 있다.
모든 산업에서 KS C IEC 60079-10-1을 적용하되, 자국의 가스 관련 코드에서 안전에 관련한 사항을 충족하는 경우 NE(negligible extect)로 장소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저압의 정의는 가스를 사용하는 국가별로 상이하여, '참고'사항을 추가하여 국내 법령에서 정하는 압력을 따르며, 도시가스사업법에서는 0.1MPa(100 kPa(게이지)) 미만의 압력을 말한다. 다만, 액화가스가 기화되고 다른 물질과 혼합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0.01MPa(10kPa(게이지))미만의 압력으로 정하고 있다.
|
저압의 연료가스 취급 설비의 코드 적용을 별도 항목으로 구체화함.
저압의 정의는 ed.3에서도 동일하게 국내 규정에 따라 도시가스의 경우 0.1MPa, 액화석유가스의 경우 0.01MPa로 적용함.
Ed.2의 관련 가스 코드에 부합되는 경우에 한함. >> 모든 산업분야에 적용됨
→ 기존 식료품 제조 설비 등은 취사(cooking)에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었으나, 해당 설비가 고법, 도법, 액법의 기준에 따라 설치 된 것인 경우 비폭발위험장소로 구분할 수 있음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3.7.4 치명적 고장(catastrophic failure)
인화성 물질의 누출 결과로 공정 플랜트 및 제어 시스템의 설계 매개 변수를 넘는 사고
비고
- 이 표준에 포함되는 치명적 고장은 공정 베셀의 파열, 플랜지 또는 밀봉부의 전체 고장 등과 같은 설비나 배관의 대형 고장과 같은 주요 사고를 말한다.
|
4.5 치명적인 고장(Catastrophic failures)
가능한 한 이러한 고장은 방지되어야 한다.
합리적으로 예상치 못한 치명적인 고장은 폭발위험장소 구분에서 고려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공정 압력용기의 파열과 같은 대형 사고나 플랜지(flange) 또는 밀봉재(Seal)의 전체 손상과 같은 기기나 배관의 큰 고장 등이 아에 해당된다.
|
- 치명적 고장의 정의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표 D.1 - 누출등급과 환기 유효성에 의한 폭발위험장소의 종별
a 0종 NE, 1종 NE, 2종 NE는 정상조건에서는 무시할 수 있는 범위의 이론적 폭발위험장소를 말한다.
|
4.4.2 무시할 수 있는 범위(NE)의 장소
NE장소 구분을 위한 기준은 다음 요인에 바탕으로 한다.
① 점화가 압력과 또는 비산 물체나 입자(예, 깨어진 창의 유리파편)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는 손상을 가져올 정도의 충분한 압력을 일으키지 않는다.
② 점화가 주위 물질에 손상, 화재 등을 일으킬 정도의 충분한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③ 1000kPag(10 barg)이상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경우, 별도의 위험성평가를 고려한다.
④ 별도의 상세한 위험성평가를 문서화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200kpag(20barg) 이상 압력을 가진 가스에는 NE장소를 적용해서는 안된다.
|
NE 장소 정의 구체화 및 NE 장소의 적용 시 고려 사항을 나열함.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6.5.4 희석등급
희석등급은 희석체적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희석체적은 수학적으로는 위험체적과 같지만, 위험장소의 경계는 누출의 방향과 속도 및 주위 공기의 체적으로 인한 누출 이동과 같은 기타 요소를 추가적으로 고려한다.
희석등급은 환기뿐만 아니라 예상되는 누출가스의 형태와 특성에서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저속의 누출은 향상된 환기 등에 의해 고속의 누출보다 많은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
7.2.4 희석등급(Degree of dilution)
희석 등급은 희석부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희석부피는 안전계수를 포함하여 인화하한보다 높은 농도가 될 수 있는 부피(즉, 인화성이 있을 있는 부피)와 같다. 그러나 폭발위험장소의 경계는 누출의 방향과 속도 및 주위 공기의 부피로 인한 누출 이동과 같은 기타 요소를 추가적으로 고려한다.
따라서, 폭발위험장소는 일반적으로 희석 부피보다 훨씬 크다. 희석 부피의 개념과 폭발위험장소 구분과의 관계는 그림 1과 같다.
|
희석 부피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 추가
- 희석부피 : 인화성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안전한 수준까지 희석되지 않는 누출원 부근의 부피(변경없음)
- 희석등급은 환기뿐만 아니라 예상되는 가스 누출의 특징과 형태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일부 누출의 경우(가령 저속누출) 강화된 환기에 의해서 완화될 수 있음에 반해, 다른 누출의 경우(가령 고속 누출)에는 그렇지 않다.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A. 표
|
B. 표
|
표 A.1 서식변경
→ UFL 추가
|
A.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B.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Cd : 난류 및 점도 등의 영향에 관련되는 누출 개구부 특성과 판단에 의한 누출계수로, 모난 오리피스는 0.5 ~ 0.75, 원형 오리피스는 0.95 ~ 0.99(단위없음), 다만 Cd 값이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에는 1을 사용한다.
Pv : 온도 T에서의 액체 증기압(kPa)
R : 이상 기체상수(8314 J/kmol K)
|
Cd : 누출개구부의 특성과 난류 및 점도 등의 영향에 관련되는 토출계수(discharge coefficient), 모난 오리피스(sharp ofricies)는 0.5 ~ 0.75, 둥근 오리피스(round orifices)는 0.95 ~ 0.99(단위 없음)
Pv : 온도 T에서의 액체 증기압(Pa)
R : 이상 기체상수(8314.5 J/kmol K)
|
B.1 기호 정의, 단위 수정
① 누출계수 Cd : 정확히 할 수 없는 경우 1을 사용한다. → 삭제
② pv : 증기압 단위 변경 → kPa > Pa
③ R : 이상기체상수 값 변경 → 8314J/kmol K > 8314.5J/kmol K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A. 그림
|
B. 그림
|
그림 B.1 수정
→ 그림 변경
|
A. 그림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B. 그림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 대기온도에서 상변화(Phase change)와 플룸(Plume)이 없다(상 및 온도변화는 분산 및 증발률의 변화를 가져온다)
- 누출된 인화성 물질은 중간 정도의 부력을 갖는다.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는 이 분석에서 중간 정도의 부력가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어 비교 가능한 평가가 된다.
- 다량의 연속 누출의 경우에는 이 분석에서 고려하지 않는다.
- 용기에서 흘러나오는 액체는 즉시 1cm 깊이의 풀(Pool)로써 평평한 표면을 형성하고 대기조건에서 증발된다.
|
- 인화성 물질은 비등하지 않으며 증발하고, 플룸은 주위 온도에 머무른다(상(phase) 및 온도의 변화는 분산과 증발율의 변동에 영향을 준다)
- 증발되는 인화성 물질은 상대적으로 낮은 증기압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며, 풀 포면에서의 농도가 낮고 공기와 증기의 혼합물은 중간 부력으 갖는다.
- 액체 풀은 1cm 깊이의 풀을 형성하여 빠르게 발단한다.
- 풀은 주위조건에서 증발될 수 있다.
|
증발되는 인화성 물질은 상대적으로 낮은 증기압을 갖는 것으로 가정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A. 그림
|
B. 그림
|
계산식 변경
|
A. 그림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B. 그림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A. 그림
|
B. 그림
|
- 상대밀도가 1보다 큰 가스의 경우 유효환기속도는 1/2로 감소하여 적용
- 옥내 최소 공기속도 0.05m/s 삭제
|
A. 그림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B. 그림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A. 그림
|
B. 그림
|
- 누출특성 산정 시 k(안전계수 값) 삭제
|
A. 그림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B. 그림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A. 그림
|
B. 그림
|
- 건물 내 자연환기 바람에 의한 기류 수식 변경
|
A. 그림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B. 그림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A. 그림
|
B. 그림
|
- 건물 내 자연환기 부력에 의한 환기 수식 변경
|
A. 그림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B. 그림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A. 그림
|
B. 그림
|
- 건물 내 자연환기 바람과 부력에 의한 자연환기 조합
- C.6 수식 변경, C.7 수식 삭제
|
A. 그림 -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B. 그림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
|
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
|
-
|
곡선은 제로(0%) 배경농도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옥내의 중히석 및 저희석 상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C.3.6.1 참조)
|
- 배경농도가 임계농도보다 큰 경우 그림 D.1(폭발위험장소 범위 추정 차트)을 사용할 수 없으며, 이 경우 해당 room 전체를 방폭 구역으로 설정한다.(부속서 E 예제 참조)
|
출처, 요약, 작성 : 권태훈 대리
728x90
반응형
'기준·규격 > 전기계장(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단기 설계 및 선정 방법(KEC 적용) (2) | 2025.01.04 |
---|---|
위험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인화성 액체 취급장소에서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5.06 (0) | 2025.01.03 |
제어시스템에서의 안전무결성등급(SIL)결정에 관한 지침(KOSHA GUIDE) - 2015.11 (0) | 2025.01.03 |
폭발위험장소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설계,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8.10 (2/2) (0) | 2023.03.13 |
폭발위험장소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설계,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8.10 (1/2) (0)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