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뚝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굴뚝연기 특성 굴뚝연기 특성 1960년 Hewson - 대기의 안정도에 따른 연기의 확산현상 하루 중 굴뚝연기 변화 - 맑은 날 새벽은 대부분 기온역전상태, 역전층이 굴뚝높이 위에 있다면 Fanning(부채형) - 일출 후 지표부터 역전층 해소, 해소된 높이가 굴뚝높이까지 도달하면 Fumigation(훈증형) - 역전층이 굴뚝높이 이상까지 해소되면 Coning(원추형) : 환경체감율이 건조단열체감율 근방임 - 지면이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어 대기는 하층부터 불안정하게됨(환경체감율의 기울기 변화) - Looping(환상형, 파상형) - 일몰 후 지표근방에서 접지역전층이 다시 생기면 Lofting(지붕형) 1. 환상형(Looping) - 대기상태는 절대 불안정(과단열적), 약한 풍속 → 대류혼합 큼 - 난류가.. 유효굴뚝높이 산정방법 고시 - 국립환경과학원고시(2021.08.31) 유효굴뚝높이 산정방법 고시 - 국립환경과학원고시(2021.08.31) 제1조(목적) 이 고시는 대기환경보전법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 한다)제56조 1항, 별표12 규정에 따른 유효굴뚝높이 산정방법에 대하여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유효굴뚝높이"라 함은 굴뚝의 실제 높이에 배출가스의 상승고도를 합산한 높이로서 배출가스의 중심선에서 지표까지의 고도를 말한다. 제3조(유효굴뚝높이 계산방법) 유효굴뚝높이 계산방법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유효굴뚝높이는 Industrial Source Complex Dispersion Models (이하 "ISC3 모델"이라 한다. EPA, 1995)의 부력상승식(Plume Rise Formulas)을 이용하여 최종 연기 상승거리에서의 높..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