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798)
REACH 제도 REACH 제도 배경 1. EU의 화학물질관리체계는 신규물질에 대한 정보는 보유하고 있으나, 기존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는 규정이 없어 정보가 부족하였다. 2. 기존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가 하위 사용자에게 제공의무가 부과되지 않았고, 독성에 대한 동물시험에 대하여 동물보호론자들의 반대와 화학물질 보상과 피해보상에 대한 근거가 미약하다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3. EU는 이러한 화학물질관리 제도를 재검토하여 2006년 REACH라는 종합적 화학물질관리 정책을 시행하게 되었다. REACH 제도의 주요 특성 1. 정보의 확보 기존 : 유럽시장에서 유통되는 기존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정보 부족 REACH : 연간 1톤 이상 제조/수입되는 모든 화학물질의 안전성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 2. 안전성 입증 의무 기존 ..
유해물질의 처리방법 유해물질의 처리방법 처리방법 정의 특징 흡착법 활성탄 등의 흡착제를 활용하여 유체 중 유해물질 흡착되도록 하는 방법 1. 분자량이 크며 화학적으로 안정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활용 2. 분극화가 용이하며, 분리계수가 크고, 휘발성이 낮은 비용해성 유해물질 제거에 활용 3. 유화현상이 없으며, 부유고형물이 많은 산업폐수에 활용 4. 처리온다가 낮으며, pH에 따라 흡착 효율의 차이가 있음 탈기법 (Stripping) 공기, 스팀 활용 공기 또는 스팀을 주입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1. 분자량이 작으며, 분자의 부피가 큰 유해물질 제거에 활용 2. 분리계수, 증기압, 휘발성이 크고, 비용해성, 화학반응이 적은 유해물질의 제거에 활용 3. 유화현상이 없으며, 부유 고형물이 없는 산업폐수의 정화에 ..
유해.위험물질의 이송방법 및 취급 시 안전조치 유해 . 위험물질의 이송방법 1. 압축가스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방법 1) 질소, 공기, 기타 다른 기체들을 이용하여 가압에 의해 이송하는 방법으로 압력조절기의 고장으로 인한 과압에 대비하여 안전밸브를 설치하며, 압축가스로 인한 질식사고에 유의하여야 한다. 2) 암모니아, 디메틸에테르 등과 같은 액화가스 상태로 저장되는 물질의 경우 폐쇄계, 즉 Closed Loop System 또는 증기를 재압축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이송한다. 이때 증기압 축시 발생열을 제거하기 위해 냉동설비가 필요하다. 3) 시스템 내에서 증기가 누설될 때를 대비하여 내용물을 빠르게 안저한 지역으로 방출시키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4) 아세틸렌, 에틸렌 등의 물질은 갑자스러운 가압으로 인하여 분해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보조기기를..
화학설비별 위험물 누출부위와 원인 및 대책 1. 배관 및 밸브, 플랜지 1) 기체와 액체를 이송하는 배관의 접속부위인 플랜지, 가스켓 패킹류의 재질불량, 접속부의 체결불량 등으로 인하여 화학물질 누출 2) 밸브 개폐의 오조작, 댐퍼 차단 등의 불완전한 오조작과 배관 체결부의 볼트 이완, 강도 지하로 화학물질이 누출 3) 고무, 플라스틱제 등의 배관에는 노화, 가열 등에 의한 파손으로 인해 누출이 발생 2. 압축기 및 펌프 1) 회전기기는 진동에 의해 간격발생, 이완 피로파괴가 발생하여 화학물질이 누출 2) 축 등의 실링 파트는 노화, 진동, 이물질 등으로 인해 손상, 파손 등이 발생하여 누출 3. 탑류 및 탱크류 1) 탑 및 탱크류의 파손은 과충진에 의해 이상반응이 발생하고 내부 압력이 상승되어 이로 인해 누설 발생 2) 운전조작의 급변화와 보수..
환적(Switch Loading) 1. 정의 : 물리적, 화학적 성상이 다른 물질을 동일한 탱크에 서로 교환하여 적재하는 것을 환적이라고 한다. 2. 환적 가능 여부 검토 1) 탱크의 설계, 안전거리, 소화설비의 기준이 적합한지 검토 2) 서로 환적되는 물질의 특성이 환적 가능 여부 검토 3) 탱크 부속설비들의 재질, 용량, 성능에 대하여 환적 시 사용가능한지 검토 3. 환적작업 시 주의사항 1) 유조차 출하작업 주의 : 환적을 위하여 탱크 내의 물질을 유조차로 출하작업을 할 경우 안전작업 기준에 따라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 2) 휘발류와 등류, 경유의 혼합적재 금지 : 휘발류와 등유, 경우는 인화점, 증기압 및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혼적 시 유층의 부닐와 유조차 출하작업 및 이동시 작업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이 ..
NFPA30 인화성 액체와 가연성 액체의 분류 인화성 액체와 가연성 액체의 분류 : 인화성과 가연성 액체의 구분은 인화점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액체에 대한 세부 구분은 인화점과 비점을 기준으로 나누어 진다 1. 인화성 액체(Class Ⅰ) : 인화점 100℉(37.8℃) 미만인 액체 - 인화점과 비점에 따라 ClassⅠA, Class ⅠB, Class ⅠC 로 구분 2. 가연성 액체(Class Ⅱ) : 인화점이 100℉ 이상인 액체 - 인화점에 따라 Class Ⅱ, ⅢA, ⅢB 로 나누어짐 ​ NFPA30 인화성 액체와 가연성 액체의 분류 인화성 액체와 가연성 액체의 분류 : 인화성과 가연성 액체의 구분은 인화점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