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798)
텍스타일 인조섬유 일반 명칭(KS K ISO 2076 : 2013) 최종수정일 : 2022.10.12 ​ 텍스타일 - 인조섬유 - 일반 명칭(KS S ISO 2076 : 2013) Textiles - Man-made fibres - Generic names ​ ​ 적용범위 이 표준은 의류용 또는 기타의 목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현재 제조되고 있는 인조 섬유를 주 고분자(main polymer)에 근거해서 각 범주로 나누는 일반 명칭을 나열하고 또한 다른 섬유와 구별되는 특성도 나열한다. 인조 섬유는 자연에서 섬유형태로 얻어지는 재료와는 달리 제조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섬유를 말한다. ​ ​ 일반명칭 표 1 - 일반명칭 ​ 텍스타일 인조섬유 일반 명칭(KS K ISO 2076 : 2013) 최종수정일 : 2022.10.12 텍스타일 - 인조섬유 - 일반 명칭(KS S ISO..
옥외저장탱크의 포 소화설비 설계지침(KOSHA GUIDE) - 2012.07 D - 21 - 2012 옥외저장탱크의 포 소화설비 설계지침(KOSHA GUIDE) - 2012.07 ​ 옥외저장탱크의 포 소화설비 설계지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43조(소화설비)의 규정에 의거 포 소화설비의 설계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 ​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안전보건규칙 별표1(위험물질의 종류)의4호(인화성 액체)에서 정하는 물질을 저장하는 옥외 저장탱크로서 저장물의 액표면적이 40㎡ 이상 또는 방유제 내의 지면으로부터 탱크 상단까지의 높이가 6m 이상인 저장탱크에 설치하여야 하는 포 소화설비에 적용한다. 다만, 인화점이 이 기준에서 정하는 온도 이상일 경우라도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위하여 포 소화설비를 ..
상압 저장탱크의 설계에 관한 기술 지침(KOSHA GUIDE) - 2017.10 D- 35- 2017 상압저장탱크의 설계에 관한 기술 지침(KOSHA GUIDE) - 2017.10 상압 저장탱크의 설계에 관한 기술 지침 ​ 1. 목적 이 지침은 인화성물질, 부식성물질 또는 독성물질을 액체 상태로 저장하는 상압저장탱크의 설계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탱크의 잘못된 설계로 인한 화재․폭발 및 누출 등의 사고를 예방하는 데 목적이 있다. ​ ​ ​ 2. 적용 범위 (1) 이 지침은 안전보건규칙 별표 1의 위험물질 중 인화성 물질, 부식성 물질 및 독성물질 등을 액체 상태로 저장하는 설계압력이 게이지압력으로 3,500Pa(0.0357㎏f/㎠) 미만의 상압 저장탱크의 설계에 적용한다. ​ (2) 이 지침에서 정하지 않은 상압저장탱크의 구조설계 등에 관한 사항은 한국산업규격 및 이와 동등 이상의..
STS TB - 스테인리스강 위생관(KS D 3585 : 2008) 최종 수정일 : 2022.10.04 ​ 스테인리스 위생관(KS D 3585 : 2008) (2018 확인) Stainless steel sanitary tubing ​ ​ 적용범위 이 표준은 낙농, 식품 공업 등에 사용하는 스테인리스강 위생관(이하 관이라 한다.) 비고 1 주문자는 미리 제조자와의 협정에 따라 본문에 규정한 항목 이외의 부속서 A 의 특별 품질 규정인 부식 시험을 지정할 수 있다. 비고 2 이 표준의 대응 국제 표준은 부속서 B에 나타냈으며, 이 표준의 본문 규정에 대신하여 적용 할 수 있다. ​ ​ 종류의 기호 관의 종류는 4종류로 하고 그 기호는 표 1에 따른다. ​ ​ 화학성분 표 1 - 화학성분 ​ ​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호 인장 강도 N/mm2 연신율 % STS304TBS 52..
CGC - 도장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강대(KS D 3520 : 2020) 최종수정일 : 2022.09.30 ​ 도장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강대(KS D 3520 : 2020) Prepainted hot - dip zinc-coated steel sheets and coils ​ ​ 적용범위 이 표준은 KS D 3506에 규정된 냉간 압연 원판을 사용한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강대(이하 도장 원관이라 한다.)에 내구성이 있는 합성수지 도료를 양면 또는 한 면에 균일하게 도장, 열처리한 도장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강대(이하 관 및 코일이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한다. 이 경우, 판은 평판 외에 KS D 3053에 규정된 모양 및 치수의 골판을 포함한다. ​ ​ 종류 및 기호 표 1 - 도막의 내구성의 종류 및 기호 ​ ​ 용도에 따른 종류 표 2 - 종류 및 기호 종류의..
냉·온수 설비용 플라스틱 배관 시스템 - 염소화 폴리염화비닐(PVC-C)관(KS M 3414 : 2020) 최종수정일 : 2022.09.30 ​ 냉·온수 설비용 플라스틱 배관 시스템 - 염소화 폴리염화비닐(PVC-C)관(KS M 3414 : 2020) Plastics piping systems for hot and cold water installations -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PVC-C)pipes ​ ​ 적용범위 이 표준은 적절한 용도별 구분에 따른(KS M ISO 15877-1의 표 1 참조) 설계 압력 및 온도하에서 인간 소비용 또는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물의 이송을 위한 건물 내의 냉수 및 온수 설비를 목적으로 하는 염소화 폴리염화비닐(PVC-C)로 제조한 관의 특성에 대하여 규정한다. ​ 염소화 폴리염화비닐의 예상 강도에 대한 기준 곡선 ​ 외관 확대하지 않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