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777)
가우시안 모델의 계산 예제 #최대착지거리, #최대착지농도 예제 1 화력발전소에 굴뚝높이가 100m 이고, 배출연기온도는 300 ℃ 이다. 또한 배출연기속도는 30 m/sec이며, 굴뚝내경은 4m 이다. 주변 대기의 온도는 20 ℃ 이고, 굴뚝 끝에서 풍속 5m/s이며, 대기 압력은 1000 mbar이다. 이 때의 연기의 유효굴뚝높이를 Holland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여라. (풀이) 예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그러므로 유효굴뚝높이는 예제 2 예제 1의 화력발전소의 굴뚝에서 SO2의 배출량(Q)이 200 g/s 라면, 이 때에 연기중심선을 따라서 풍하지역으로 2 km 떨어진 지점에서 착지농도(mg/m3)를 계산하여라. 단, 대기 안정도등급은 C등급으로 가정한다. (풀이) 연기중심선을 따라서 풍하지역으로 2km 인 지점에서 착지..
상당직경 계산식 상당직경 관의 모양이 원형이 아닌 경우, 이와 동일한 유체 역학적인 특성을 갖는 원형 관의 지름. 단위 둘레당 면적 = 사각형의 면적/사각형의 둘레 = (a * b) / 2(a + b) ​ ​ 상당직경(De) = 4 * 단위둘레당 면적 = 4 * (a * b) / 2(a + b) = 2(ab) / (a+b) 상당직경 계산식 상당직경 관의 모양이 원형이 아닌 경우, 이와 동일한 유체 역학적인 특성을 갖는 원형 관의 지름. 단위 둘... blog.naver.com
Down Wash, Down Draught Down Wash(洗流) 바람이 불 때 굴뚝의 배출구 부근에서 풍하측을 향하여 연기가 아래쪽으로 끌려 내려가는 현상 (방출연기의 속도 ≤ 바람의 속도) General arrangement of flow pattern around a sharp-edged building. (풍하측의 부압영역에 의해 배출연기가 아래로 끌어 당겨짐) 영향 - 굴뚝의 유효고도가 낮아지게 되며 따라서 배출가스가 대기 중에서 충분히 확산 희석 되지 않음 (대기 오염의 농도 증가) ​ 해결책 - 방출연기속도 〉 굴뚝배출구에서 바람의 속도 (1.5배 이상) - 배출가스 온도를 높인다. - 굴뚝의 높이를 높인다. Down draught 굴뚝주변에 있는 건물이나 산과 같은 장애물의 배후에 형성되는 소용돌이에 매연이 말려 들어가는 현상 ​..
굴뚝연기 특성 굴뚝연기 특성 1960년 Hewson - 대기의 안정도에 따른 연기의 확산현상 ​ ​ 하루 중 굴뚝연기 변화 - 맑은 날 새벽은 대부분 기온역전상태, 역전층이 굴뚝높이 위에 있다면 Fanning(부채형) - 일출 후 지표부터 역전층 해소, 해소된 높이가 굴뚝높이까지 도달하면 Fumigation(훈증형) - 역전층이 굴뚝높이 이상까지 해소되면 Coning(원추형) : 환경체감율이 건조단열체감율 근방임 - 지면이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어 대기는 하층부터 불안정하게됨(환경체감율의 기울기 변화) - Looping(환상형, 파상형) - 일몰 후 지표근방에서 접지역전층이 다시 생기면 Lofting(지붕형) ​ ​ 1. 환상형(Looping) - 대기상태는 절대 불안정(과단열적), 약한 풍속 → 대류혼합 큼 - 난류가..
화학공장의 염소 누출에 의한 피해 영향 모델링 화학공장의 염소 누출에 의한 피해 영향 모델링 (Damage Effects Modeling by Chlorine Leaks of Chemical Plants) ​ 요 약 본 연구는 화학공장에서 원료 및 중간재로 많이 사용되는 Heavy Gas인 염소를 화학설비의 가압 염소포화액체 저 장탱크에서 2상 흐름 연속누출에 대한 유해위험거리를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피해영향 모델링이다. 피해예측을 위한 평가방법과 사고영향평가모델들을 기준으로 액체염소 저장용기의 누출사고에서 사고결과에 미치는 최적의 변수를 나타나기 위해 조업조건을 표준조건으로 하였다. 장외영향평가의 위험성 평가에 사용되는 것으로 USEPA와 NOAA에서 공동 개발된 대기확산 모델인 ALOHA (V5.4.4) 모델을 사용하였다. 화학물질을 대량으로..
확산계수의 모델링 방법이 대기확산인자에 미치는 영향 확산계수의 모델링방법이 대기확산인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odelling Approaches of Diffusion Coefficients on Atmospheric Dispersion Factors) ​ 가우시안 플륨모델(Gaussian plume model)을 사용한 대기확산의 예측에서 확산계수는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확산계수의 평가방법은 다양하며, 본 연구에서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U. S. NRC) 권고 규제지침, 캐나다 원자력안전위원회(CNSC) 권고 규제지침, 확률론적 사고결말해석코드 MACCS와 MACCS2에서 권고 또는 적용하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U. S. NRC에서 권고하는 부지적합성 평가를 위한 가상사고시 대기확산모델을 기반으로 확산계수의 평가방..
축열재 축열재 - 세라믹제가 주로 사용 - 축열용량이 클수록 좋다. 즉, 비열이 클수록, 무게가 무거울수록 좋다 - 축열용량 = 비열 x 무게 x 온도차 - 열팽창계수(온도에 따른 팽창정도)가 작을수록 좋다 - 내열충격도가 클수록 좋다 - 공극율이 적을수록 좋다(VOC가 공극에 잔류했다가 탈착 가능) - 단위용적당 표면적이 클 것 - 압력손실이 적을 것 - 타르나 분진 등이 부착 또는 폐색이 어려울 것 - 불연성재료로 내열성, 내약품성이 높고 열에 의해 열화, 변형, 갈라짐, 크랙 등이 생기기 어려울 것 축열재 축열재 - 세라믹제가 주로 사용 - 축열용량이 클수록 좋다. 즉, 비열이 클수록, 무게가 무거울수록 좋다 - ... blog.naver.com
연소 소각법에 의한 VOC 처리기술(TO, CO, RCO, RTO) 용어 - 직접연소(TO) - 촉매연소(CO) - 축열식촉매연소(RCO) - 축열연소(RTO) VOC THEMRAL OXIDATION 1) VOC Destruciton 필요 조건 : VOC + O2 → CO2 + H2O ​ 2) Operation parameters for 99% Destruction - Temperature : 750 ~ 850 ℃ (300~350 ℃ With Catalyst) - Residence time : 0.5 ~ 1 sec - Turbulence : Re > 10,000 - O2 농도 : 800 ℃ 에서 12% 이상 직접연소(TO, Thermal Oxidation) - 열소각로와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고온(700~850℃ )에서 0.3~0.6초 체류시켜 직접 연소하여 탄산가스와 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