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777)
WET SCRUBBER 기초 이론 일반적 원리 세정집진장치는 보통 습식 집진 장치라고 하는데 액적, 액막, 기포등에 의해 함진가스를 세정하여 입자에 부착, 입자상호간의 응집을 촉진시켜 직접 가스의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 시키는 장치이다. 세정 집진장치의 일반적인 포집원리는 다음과 같다. ① 액적에 입자가 충돌하여 부착. ② 미립자 확산에 의한 입자간 응집. ③ 배기가스의 증습에 의한 입자간 응집. ④ 입자를 핵으로 증기의 응결 및 응집성 촉진 ⑤ 액막, 기포에 입자가 접촉하여 부착. 사용되는 액체는 주로 물(water)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표면 활성제를 사용하기도 하며 최종적으로 mist가 인근지역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dimister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 ​ 종류 세정 집진장치는 크게 나누어 유수식, 가압수식, 회전..
최대 착지 농도, 최대 착지 거리 최대 착지 농도 거리 Q : 오염물질 배출률(Sm3/s) : 유량 He : 유효굴뚝 높이(m) U : 풍속(m/sec) e : 자연대수 σz : 수직 확산 계수 σy : 수평 확산 계수 C : 오염물질 농도 n : 안정도 계수 ​ ​ 최대 착지 농도, 최대 착지 거리 Q : 오염물질 배출률(Sm3/s) : 유량 He : 유효굴뚝 높이(m) U : 풍속(m/sec) e : 자연대수 σz : 수직 ... blog.naver.com
유해가스 세정설비(Scrubber) 관리 방법 1. 유해가스 처리 방법 비교 처리 방법 원 리 장 점 단 점 연소법 직접 연소는 650∼850℃의 온도에서 산화시키고 촉매를 사용 시에는 200∼400℃의 온도에서 유해 물질을 산화시키는 방법 - 처리 효율이 높다 - 농도가 높을 경우 운전 비용이 저렴 -화재 위험성이 상존 - 농도가 낮을 경우 운전 비용이 많다 흡착법 활성탄, 제올라이트 등 흡착제를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흡착, 제거하는 방법 - 적응성이 높다 - 설치비용이 적다 - 탈 차로 시설 설치 - 흡착제 주기적 교환 흡수법 수용성 유해가스를 흡수제로서 중화 흡수하는 방법 - 악취가스 처리에 적응성이 높다 - 설치, 운전 비용이 저렴 - 폐수가 발생된다 - 빛 수용성 악취 제거 곤란 미생물 처리법 박테리아 등 미생물을 양생시켜 유해가스를 생물학적..
소각설비(RTO) 안전 휘발성 유기화학물(VOC : Volatile Organic Componuds) - 탄화수소화합물로서 대기 중의 질소산화물(NOx) 및 다른 화학물질과 광화학반응(Photo-chemical reaction)을 통해 광화학 산화성물질을 생성시켜 광화학스모그(Photo-chemical smog)의 원인이 되는 오존(O3)을 발생시키는 물질 - 환경부 고시에 의해 휘발성 유기 화합물 37종 물질계 정 - VOC의 영향 •발암성 등 대부분 물질 인체 유해 •오존층 파괴 및 지구온난화 •악취발생 •광화학스모그 형성 •눈에 자극, 가시거리 저하 •오존은 대기 중의 SO2를 산화시켜 산성비의 원인 유해. 위험 요인 폐가스 농도가 폭발 하한의 25%를 초과하면 폭발 위험성 •안전밸브, 파열파 등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의 위..
CMM, CMH, CFM 단위 배기 및 유동팬의 배기량(흡입량, 토출량, 송풍량 등) 단위 ​ CMM(Cubic Meter per Mnite) 분당 흡입 및 토출량(입방미터) 단위 : m3 / min ​ ​ CMH(Cubic Meter per Hour) 시간당 흡입 및 토출량(입방미터) CMH / 60 = CMM CMH = 60 * CMM 단위 : m3 / h ​ ​ CFM(Cubic Feet per Minute) 분당 흡입 및 토출량(입방피트) 단위: ft3 / min CMM, CMH, CFM 단위 배기 및 유동팬의 배기량(흡입량, 토출량, 송풍량 등) 단위 CMM(Cubic Meter per Mnite) 분당 흡입 ... blog.naver.com
국소배기장치 설계, 설치 시 고려사항 국소배기장치 - 작업장 내 발생한 유해물질이 작업자(근로자)에게 노출되기 전에 포집, 제거, 배출하는 장치로서 후드, 덕트, 공기정화장치, 송풍기, 배기구로 구성된 것 ​ ​ 설계 및 설치 시 고려사항 1. 국소배기장치 - 국소배기장치는 후드, 덕트, 공기정화장치, 배풍기 및 배기구의 순으로 설치 -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일 것 ​ ​ 2. 후드 - 후드는 유해물질을 충분히 제어할 수 있는 구조(제어풍속)와 크기로 설치 -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곳마다 설치 - 유해인자의 발생형태와 비중, 작업방법 등을 고려하여 해당 분진 등의 발산원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 - 후드(hood) 형식은 가능하면 포위식 또는 부스식 후드를 설치 - 외부식 또는 리시버식 후드는 해당 분진 등의 발산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풍속계 종류 및 특징 풍속 프로브의 측정과 적용범위 1. 0에서 100m/s의 흐름 측정 범위는 세 가지로 나눔 1) 저속 0부터 5m/s까지 풍속 2) 고속 4중속 5부터 40m/s 까지 풍속 3) 0부터 100m/s 까지 풍속 ​ 2. 열선 프로브는 0부터 20m/s 사이의 풍속을 정확하게 측정베인(바람개비형) 프로브는 5부터 40m/s까지의 속도범위에서 이상적 ​ 3. 피토관의 사용 범위는 사용하는 압력 프로브의 차이에 따라 달라짐 ​ 4. 새로운 100Pa 프로브는 약 1m/s부터 12m/s까지의 풍속 측정에 이상적 ​ 5. 피토관은 고 풍속에서 적절한 결과를 산출 ​ 6. 적절한 풍속 프로브를 선택하는 또 하나의 기준은 바로 온도임 ​ 7. 열선 프로브는 약 70℃까지 사용 ​ 8. 베인(바람개비형) 프로브는 최대 ..
화재.폭발방지 필요환기량 계산 화재.폭발 방지를 위한 필요환기량 계산식 ​ Q : 필요환기량(㎥/h) S : 유해물질의 비중 G : 유해물질의 시간당 사용량(L/h) K= 안전계수(혼합계수)로써 K=1: 작업장내 공기혼합이 원활한 경우 K=2: 작업장내 공기혼합이 보통인 경우 K=3: 작업장내 공기혼합이 불완전인 경우 M : 유해물질의 분자량(g) TLV : 유해물질의 노출기준(ppm) LEL : 폭발하한치(%) B : 온도에 따른 상수(121C이하: 1, 121C초과: 0.7) W : 수중기 부하량(kg/h) ΔG : 작업장내 공기와 급기의 절대 습도차(kg/kg) Hs : 발열량(kcal/h) Cp : 공기의 비열(kcal/h · ℃) Δt : 외부공기와 작업장내 온도차(℃) Sf : 안전계수 (연속공정:4, 회분식 공정: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