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83)
반응기의 계장설비, 제어, 인터록, 기타 설비 반응기 계장설비 1. 감속모터를 포함하는 교반장치 : 반응물질이 잘 혼합되어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섞어주는 역할을 하는 교반시설 ​ 2. 계측제어장치 :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온도계 반응기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유량계 흐름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 압력계 반응기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 액위측정계 반응기내 액체의 액위를 측정하는 장치 조성, 농도 측정기 반응기 내의 반제품 또는 제품 품질과 이상상태 측정장치 긴급차단장치 반응물질의 공급을 차단하는 장치 불활성 가스 주입장치 이상반응시 반응기 내부로 불활성 가스 또는 반응억제제를 투입하는 장치 촉매 투입밸브 반응의 활성화를 위해 촉매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 원료 및 제품 입.출구 밸브 반응기 내부로 유입되는 원룔의 양과 배출되는 제푸므이 양을 조절하는..
가열로(Fired Heater) 구성 및 안전조치 정의 :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노 내 튜브를 통하여 흐르는 물질을 가열하는 목적으로 설치하는 설비 ​ ​ 구성 복사전열부 연소실로 직접 불꽃에 노출되기 때문에 부식 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며, 전체 전열 중 70~80%가 복사열에 의해 전달된다. 대류전열부 복사전열부의 상부로서 연소가스의 대류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부분으로 전체 전열 중 20~30% 가 전달된다. 폐열회수부 배기 전 연소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공기예열 등에 사용하는 장치이다. 연소장치 연료를 점화시켜 산화반응(연소)을 일으키는 설비로 버너, 연료공급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 가열로 조작시 안전사항 가스연소 1. 연료가스의 공급압력을 확인하며, 노 내에서 연료가스 체류에 의해 폭발하지 않도록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고 필요시 ..
액상 유기화합물의 처리방법 고온산화(열소각) : 고온산화(열소각)방법은 배출가스 중 VOC를 함유한 공기를 포집해서 예열하고 잘 혼합한 후 고온으로 태워 VOC를 이산화탄소와 물로 전환시켜주는 공정 1. 고온산화장치는 보통 VOC 혼합가스를 이송시켜주는 송풍기, VOC 혼합가스를 혼합시켜 주는 혼합기, 필요에 따라 연소용 연료를 공급해 주는 송풍기, 버너와 내화방으로 구성되어 있는 연소실, 열화수장치, 그리고 연소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굴뚝으로 되어 있다. ​ 2. VOC의 연소 상태 등을 알기 위해 연소온도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들도 필요하다. ​ 3. 열소각에서는 보통 650 ~ 870℃ 정도의 연소온도를 유지시켜 주기 위해 가스나 기름 등 보조연료가 사용되기도 한다. 저농도 VOC를 함유한 배출가스는 연소 온도..
물질수지, 열수지의 정의 및 표시방식 정의 1. 물질수지(Material balanec) : 공정 중에 사용되는 주원료 및 부원료의 양과 제품이나 부산물의 양 또는 폐가스, 폐액 등으로 배출되는 손실량 간의 수지계산이다. ​ 2. 열수지(Heat balanec) : 원하는 공정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가열, 냉각시키거나 화학반응의 결과로 반응열의 발생 또는 흡수되는 등 공정 중 물질계의 상태변화에 따른 열 및 에너지 변화량에 대한 수지 계산이다. ​ ​ ​ 물질수지와 열수지 표시방식 1. 공정흐름도에는 유체의 조성, 유량, 상(Phase), 온도, 압력 등 중요한 물리적 특성과 주요장치에 있어서의 열교환량이나 에너지 소비량 등 기본적인 공정흐름의 설계 개념을 표시한다. 2. 물질수지 및 열수지, 기타 관련 정보들은 공정흐름 순서와 위치를 ..
PFD/P&ID 검토사항 공정흐름도(PFD : Process Flow Diagram) 검토사항 1. 공정 처리순서 및 흐름의 방향 2. 주요 동력기계, 장치 및 설비류의 배열 3.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한 온도, 압력, 물질수지 및 열수지 등 4. 압력용기, 저장탱크 등 주요 용기류의 간단한 사양 5. 열교환기, 가열로 등의 간단한 사양 6. 펌프, 압축기 등 주요 동력기계의 간단한 사양 7. 회분식 공정인 경우에는 작업순서 및 작업시간 ​ ​ 공정배관계장도(P&ID : Piping & Instrument Diagram) 검토사항 1. 일반사항 1) 공정배관계장도에 사용되는 부호(Symbol) 및 범례도(Legend) 2) 장치 및 기계, 배관, 계장 등 고유번호 부여 체계 3) 약어 및 약자 등의 정의 4) 기타 특수 요구사항 ..
안전계수 정의 및 적용 정의 1. 기계, 장치, 기구 등의 설계 시 적용하는 여유율로 정의할 수 있으며, 각 요소별로 안전율, 안전계_수라는 용어로 사용 2.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재료역학적인 부분을 안전계수로 정의하고 있음 ​ ​ 안전계수 적용 :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사용되는 기계장치의 안전율 또는 안전계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수 있다. ​ ​ 안전계수(안전율) = 재료의 극한 강도/허용응력
연구 실험용 파일럿 플랜트(Pilot Plant)의 위험성, 안전설계 및 운전 1. 파일럿 플랜트의 위험성 - 연구 실험시설의 특성 상 좁은 공간에 많은 설비를 설치하기 때문에 높은 설비 집약도에 의한 위험성이 높다. - 검증되지 않은 공정과 기술을 적용하고 그 위험의 확인이나 크기를 정확히 알수 없기 때문에 사고발생 위험이 높다. - 원부재료, 중간제품(생성물), 제품과 관련된 위험성이 파악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비상상황에 대한 조치가 어렵다. - 취급물질의 변경으로 인해 바관 및 반응기 등 공정설비의 부식 유발, 이상반응, 공정압력의 변화 및 안전밸브 등 안전설비의 기능 제한이나 저하를 유발시킬 수 있다. ​ ​ ​ 2. 파일럿 플랜트 안전설계 - 반응과 관련된 신규공정 도입 시 공정위험성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주요 설비에 대한 운전과 유지보수를 위한 데이터 시..
플레어시스템의 역화방지설비 설치 1. 정의 - 액체 밀봉드럼(Liquid seal drum): 플레어스택의 화염이 플레어시스템으로 거꾸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플레어 헤어뎅 약간의 진공이 형성되는 경우 플레어슽택으로부터 공기가 빨려 들어가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 ​ ​ 2. 역화방지설비의 종류 1) 액체 밀봉드럼(liquid seal drum) 2) 건식 실(dry seal) 3) 퍼지시스템(purge system) ​ ​ 3. 역화방지설비 특징 1) 액체 밀봉드럼 - 액체 밀봉드럼은 플레어헤더의 토출배관, 드럼, 폐수 처리설비, 액체 공급 배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액체 밀봉드럼은 형태에 따라 수직 밀봉드럼과 수평 밀봉드럼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밀봉액은 주로 물을 사용하지만 다른 유체도 사용 가능하며, 액체의 동결, 액..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