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원리
- 화학공장에서는 화합, 분해, 중합, ㅊ치환, 부가 등의 반응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반응을 제어하는데 실패할 경우 반응폭주가 일어나며, 발생원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반응물질량 제어 실패 : 반응물질 과 투입에 다른 반응 활성화로 반응폭주 발생
2) 반응온도 제어 실패 : 반응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반응속도의 증가로 반응폭주 발생
3) 촉매의 양 제어 실패 : 반응속도를 높이는 촉매의 과 투입에 따른 반응폭주 발생
4) 이물질 흡입에 의한 이상반응 발생으로 반응폭주 발생
화학공장의 반응 폭주 원인
1. 냉각장치의 고장
: 반응기의 온도제어를 위한 냉각장치의 고장 시 반응온도의 상승으로 반응폭주가 일어남.
2. 계장설비의 오작동 또는 오류
: 계장설비의 오작동 및 오류로 인하여 반응물질 과투입, 반응온도 제어 실패, 촉매물질의 과투입 등으로 반응폭주가 발생할 수 있음.
3. 반응물질의 혼합비율 문제
: 반응물질 간의 혼합비율이 적정하지 않아 반응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아주 정확한 물질의 제어가 요구되는 공정에 혼합비율이 적정하지 않을 경우의 산화반응을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경우에도 반응물질의 산화반을을 증가시켜 반응폭주를 일으킬 수 있음
4. 불순물의 누적
: 공정장치에서 증류, 분리, 정제 등의 과정에서 불순물이 생성되면 이러한 불순물이 누적되고 농축되어 반응폭주의 원인이 됨.
5. 휴먼에러
: 화학설비 근무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기인하는 것으로 오조작에 의한 원료의 종류와 계량의 실수로 인해 반응폭주가 일어날 수 있으며, 또한 정비 및 검사의 누락 등으로 인한 기기의 파손, 누설, 오동작으로 인해 반응폭주가 일어날 수 있음.
6. 기계설비 등의 작동정지
: 화학공정 장치의 전원과 동력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설비가 정지되는 경우 긴급조작을 잘못하여 반응폭주가 발생할 수 있음.
7. 부적절한 물질의 혼합
: 두 종류 이상의 물질이 어떠한 사고로 인하여 혼합 접촉했을 경우 혼합열, 반응열 등이 발생하여 반응폭주가 발생할 수 있음.
8. 기기의 고장과 파손
: 화학공정 장치 중 운반 수송용 동력기계장치와 연결부위의 파손에 의하여 물질 투입 오류 또는 누출 등에 의해 반응폭주가 일어날 수 있음.
9. 기타 정비, 보수공사, 검사
: 화학설비의 정비, 보수공사, 검사 도중 작업의 불량, 검사 불량, 오조작에 의해 반응폭주가 일어날 수 있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응폭주의 위험성 및 방지대책 (0) | 2021.01.31 |
---|---|
Semenove 이론, 열 방출률과 열 손실률 (0) | 2021.01.31 |
산업재해 명칭, 우리말 변경 (0) | 2021.01.26 |
유해화학물질 소량 저장시설 설치 및 관리 기준 - 2018.07.03 (0) | 2021.01.21 |
안전보건 교육대상, 교육시간, 교육내용 (2) | 2021.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