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요약
: ’사무직 근로자‘라 함은 공장 또는 공사현장과 같은 구역에 있지 아니한 사무실에서 서무·인사·경리·판매·설계 등의 사무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판매업무 등에 직접 종사하는 사람은 제외)를 말함.
질의)
당사는 IT 및 인터넷 서비스를 주요 업태로 하고, 700여명의 임 직원 전원이 서울시 중구 을지로 소재 SK텔레콤 빌딩에서 근무하고, 전원 한국표준산업분류상 '사무직 근로자'에 해당
- 이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제3조(적용범위)'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의 2 (적용범위 등)에 의거, '사무직 근로자만을 사용하는 사업'으로서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안전관리자 등)에서 규정하는 안전관리자 선임의무가 적용되지 않는지?
답변)
산업안전보건법 제3조(적용범위), 동법 시행령 제2조의2 및 시행령 별표 1 “ 법의 일부적용 대상사업 및 일부적용규정 구분표” 제6호의 ’사무직 근로자만을 사용하는 사업‘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동법 제15조 (안전관리자 등) 및 제16조(보건관리자 등)에서 규정하는 안전·보건 관리자 선임의무 대상 사업장에 해당하지 않음
- 다만, 여기서 ’사무직 근로자‘라 함은 공장 또는 공사현장과 같은 구역에 있지 아니한 사무실에서 서무·인사·경리·판매·설계 등의 사무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판매업무 등에 직접 종사하는 사람은 제외)를 말함.
728x90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보건표지 종류, 설치.부착 (0) | 2021.01.20 |
---|---|
유해화학물질 소량 제조.사용시설 설치 및 관리 기준 - 2018.07.03 (0) | 2021.01.15 |
조도계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2015.11 (0) | 2021.01.14 |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약칭 ‘중대재해처벌법’) 주요내용 (0) | 2021.01.13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제도, 제출대상 및 작성수준 판단 (0) | 202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