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기위험도 지수
1. 정의
: 증기위험도 지수(VHI : Vapor Harzard Index)는 허용농도와 포화증기농도의 비로써 표현하며, 물질으 ㅣ분자가 공기 중에 포화되었을 경우 허용농도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수
2. 계산식
여기서, K : 허용농도(ppm), Pmax : 포화증기압(mmHg), VHI : 증기위험도 지수
3, 의미
: 증기위험도 지수는 중독 위험이 있는 물질이 대기 중에서 증기로 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며, 유기 용제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판단지표에 적합하다. 또한 수식으로부터 판단할 수 있듯이 Pmax(포화증기압)은 온도에 함수로써 온도가 증가할 경우 VHI 값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유기 용제의 경우 온도가 증가할 경우 위험도는 증가하는 것이다.
충격감도
1, 독성물질, 유해화학물질 기준의 충격감도
1) 정의
: 독성물질, 유해화학물질의 기준에서 충격감도는 물질의 투여량에 따라 인간의 영향 정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충격감도가 낮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투여량이 증가해도 인체에 유의한 반응정도가 낮아 위험성이 낮다는 것이며, 충격감도가 높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낮은 투여량에도 신체에 유의한 반응정도가 높아 위험성이 높다는 것이다.
2) 사고영향 평가에서의 충격감도
: 사고영향평가에서는 프로빗(Probit : 가상사고의 피해 크기와 피해영향 가능성의 연관관계를 실험식을 이용하여 분석될 수 있게 하는 함수)을 이용하여 독성물질에 노출되었을 경우 충격감도를 분석할 수 있다.
: 독성물질의 노출일 경우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 농도를 유지하는 경우와 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로 나누어 고려할 수 있으며, 독성부하는 물질특성과 노출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프로빗은 물질특성변수와 독성부하의 크기에 따라 구함으로써 사고영향을 평가한다.
2. 화재.폭발 측면에서의 충격감도
1) 정의
: 화재.폭발 측면에서의 충격감도는 위험물질이 얼마나 잘 화재와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충격감도가 낮은 물질은 화재나 폭발을 일으키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며, 충격감도가 높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화재나 폭발을 일으키기가 쉽다는 것이다. 또한 화재. 폭발의 영향도 측면에서 복사열과 과압의 크기에 따른 신체의 영향력으로 충격감도를 나타낼 수도 있다.
2) 화재.폭발의 영향도 측면 충격감도
: 화재 측면에서의 충격감도는 화재를 일으키는 정도와 피해 영향의 정도에 따라 나타낼 수 있으며, 이것은 위험물질의 발열량, 인화점, 착화점, 반응성 등의 함수로서 나타낼 수 있다. 발열량이 많은 물질, 인화점과 착화점이 낮은 물질, 반응성이 높은 물질이 상대적으로 충격감도가 높다고 표현할 수 있다.
: 화재나 폭발로 인한 복사열과 과압의 크기로써 신체 또는 재해의 충격감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복사열이 9.5kW/m2 일 때 보호의를 착용하고 최대 30초간 간헐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열량의 크기를 나타낸다. 과압에 대해서는 과압이 30kpa인 경우 공장건물이 파손되는 크기를 나타낸다.
3) 물질의 충격에 대한 폭발성을 기준으로 한 충격감도
: 폭발성 물질의 경우 충격으로 인하여 폭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충격으로 인하여 폭발할 위험이 낮은 경우 충격감도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표한한다.
'공학 > 연소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t Fire(분출 화재) (0) | 2021.02.07 |
---|---|
금수성 물질의 안전대책 (0) | 2021.01.31 |
화염일주한계(최대안전틈새) (0) | 2020.10.21 |
한계산소지수(LOI : Limiting Oxygen Index) (0) | 2020.10.21 |
불활성화(Inerting), 치환(Purging) (0) | 2020.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