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현상(캐비테이션)
1. 정의
: 펌프에서 흡입시 기포발생으로 인하여 흡입이 잘 되지 않는 현상
2. 원인
1) 흡입수두 또는 마찰손실 수도가 높을 때
2)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빠를 때
3) 펌프 흡입관경이 작을 때
4) 흡입측 유속이 빠를 때
5) 수온이 높을 때
3. 대책
1) 펌프 위치를 낮게 설치
2) 회전차를 물에 완전히 잠기게 한다
3) 임펠러의 회전속도를 낮춘다
4) 2대 이상의 펌프를 설치한다.
5) 양 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6) NPSHav 와 NPSHre의 조절
- 일반적으로 NPSHre 가 1.3 x NPSHav 보다 큰 경우 캐비테이션이 발생하지 않음
※ 허용유효양정(NPSHav) , 필요흡입양정(NPSHre)
수격작용(Water Hammer)
1. 정의
: 펌프의 토출 측에서 속도에너지가 높아진 유체가 급격한 유로의 변경 등에 의해 속도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경되며, 배관 등에 충격을 발생시키는 현상
2. 원인
1) 펌프의 급격한 기둥, 정지 시 발생
2) 밸브의 급격한 폐쇄 또는 개방
3. 대책
1) 배관관경을 높인다.
2) 배관 내 유속을 낮춘다
3) 펌프에 플라이휠을 설치하여 급격한 기동, 정지를 방지한다.
4) 토출 측에 수격방지기를 설치한다.
5) 밸브를 송출구 가까이 설치한다.
6) 조압수조를 펌프 후단라인에 설치한다.
맥동현상(Surging)
1. 정의
: 펌프가 양정속선상에서 운전되지 않고 급격하게 유량에 변동이 생기며, 이를 반복하게 되는 현상
2. 원인
1) 펌프의 양정곡선이 산고곡선의 상승부에서 운전하게 되는 경우
2) 펌프 후단에 물탱크가 있을 때
3) 펌프 후단 배관 중 기체가 체류할 경우
4) 유량조절 밸브가 펌프 후단 탱크 뒤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3. 대책
1) 유량조절 밸브를 펌프 토출 직후단에 설치
2) 배관 중 수조 또는 기체가 체류될 수 있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3) 펌프의 양수량을 높인다.
4) 임펠러의 회전수를 변화시킨다.
5) 펌프가 산고곡선에서 운전되지 않도록 한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매트(Safety mat) 구조 (0) | 2023.03.24 |
---|---|
경사도 측정 (0) | 2023.03.24 |
육절기(Ham Slicer) 안전조치 (0) | 2023.03.24 |
골절기 안전조치 (0) | 2023.03.24 |
밴드쏘우(띠톱, Bandsaw) 개요 및 안전대책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