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수정일 : 2023.02.03
Activated Carbon Tower System(A/C Tower)
![](https://blog.kakaocdn.net/dn/bya4L0/btrXWx8vOTz/4nTAZO9VuftoWrPxhWUqr0/img.png)
활성탄 종류
![](https://blog.kakaocdn.net/dn/ouK1i/btrXXyeXzp4/EGewtI5XbpdvvCiTD8GLak/img.png)
활성탄 교체주기 계산
![](https://blog.kakaocdn.net/dn/tEZlp/btrXXxUGfSr/3i4ET09noWK5JjIqO3A6rk/img.png)
* T = 재생 및 교환주기(hr)
* e = 흡착효율(70%=0.7)
* Q = 처리가스량(㎥/분)
* M = 피흡착성분의 평균분자량(g/mol)
* G = 피흡착성분의 농도(ppm)
* S = 활성탄 단위중량당의 흡착량(㎏/㎏-흡착제)
* W = 활성탄의 총중량(㎏)
![](https://blog.kakaocdn.net/dn/ceg6sY/btrX1ooTgiH/OT4VVgd4vAUaeNSMK54Vr0/img.png)
* T = 활성탄 교체주기(min)
* Wc= 사용된 카본의 무게(㎏)
* a,b= 각종 물질등급에 따른 실험계수
* tbp= 오염물질의 끓는점(℃)
* C = 오염물질의 농도
* M = 피흡착물질 분자량
* Q = 배출가스량(㎥/min)
제36조(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운영기록 보존)
① 영 별표 1의3에 따른 1종ㆍ2종ㆍ3종사업장을 설치ㆍ운영하는 사업자는 법 제31조제2항에 따라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운영기간 중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국립환경과학원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전산에 의한 방법으로 기록ㆍ보존하여야 한다. 다만, 굴뚝자동측정기기를 부착하여 모든 배출구에 대한 측정결과를 관제센터로 자동전송하는 사업장의 경우에는 해당 자료의 자동전송으로 이를 갈음할 수 있다. <개정 2010. 12. 31., 2017. 12. 28.>
1. 시설의 가동시간
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3. 자가측정에 관한 사항
4. 시설관리 및 운영자
5. 그 밖에 시설운영에 관한 중요사항
② 영 별표 1의3에 따른 4종ㆍ5종사업장을 설치ㆍ운영하는 사업자는 법 제31조제2항에 따라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운영기간 중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별지 제7호서식의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운영기록부에 매일 기록하고 최종 기재한 날부터 1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다만, 사업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라 국립환경과학원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전산에 의한 방법으로 기록ㆍ보존할 수 있다. <신설 2010. 12. 31., 2017. 12. 28.>
1. 시설의 가동시간
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3. 자가측정에 관한 사항
4. 시설관리 및 운영자
5. 그 밖에 시설운영에 관한 중요사항
③ 제2항에 따른 운영기록부는 테이프ㆍ디스켓 등 전산에 의한 방법으로 기록ㆍ보존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F46ws/btrX1mq542O/WNXF1eUsMaZKJf0kHIyGU1/img.png)
활성탄 종류 및 교체 주기
최종수정일 : 2023.02.03 Activated Carbon Tower System(A/C Tower) 활성탄 종류 활성탄 교체주기 ...
blog.naver.com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일기준초과배출량 및 일일유량 산정방법 (0) | 2023.02.03 |
---|---|
유효굴뚝높이 산정방법 고시 - 국립환경과학원고시(2021.08.31) (0) | 2023.02.03 |
대기오염물질, 특정대기유해물질 종류 (0) | 2023.02.03 |
사업장별 (대기)환경기술인의 자격기준 (0) | 2023.02.03 |
사업장 분류기준(대기 : 1종~5종 사업장) (0) | 202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