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연구실사고

(12)
2018년 5월 24일 - (연구실)가스용기 균열에 의한 유해가스 누출 사고 1. 사고개요 (사고일시) ’18.5.24.(목), 14시 30분경 ​ (사고장소) ○○대학교, 퀀텀나노재료실험실 ​ (사고내용) 사고 당일 오전 WO3(텅스텐옥사이드) 기판과 10% 황화수소 + 90% 아르곤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WO2(황화텅스텐) 2차원 나노소재 합성 연구 진행, 14시 30분경 썩은 달걀 냄새와 함께 가스가 새는 것을 확인 ​ (피해현황) 인적・물적 피해 없음 ​ ​ ​ 2. 발생원인 10% 황화수소 + 90% 아르곤 혼합가스 용기 균열에 의한 누출 [사고발생 가스용기] (최초제조등) ’01.09월용기제조(47L), 내압시험압력(TP) 25MPa, 최고충전압력(FP) 15MPa (재검사이력) 최근’18.3월용기재검사를포함하여총3회재검사실시 (용기내혼합가스양) 4.7L(사고당시약3.3..
2018년 7월 16일 - (연구실)장기 미사용 화학물질 개봉 중 누출 사고 1. 사고개요 (사고일시) ’18.7.16.(월), 오후 6시경 ​ (사고장소) ○○대학교 에너지바이오대학 기능성식품실험준비실 ​ (사고내용) 공동실험실습관에서 외부보관용기(재질: 알루미늄) 내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용기에 담긴 포름산(Formic acid, 500ml)을 2012년도에 구매(2010년 제조)하였으나, 연구개발활동 변경으로 인하여 미 개봉한 상태로 냉장 시약장(5∼6℃)에 보관 ​ (피해현황) 연구활동종사자 2명(석사과정) 안면부 부상 ※ 외부보관용기 개봉 시 별도의 개인보호장구 미착용 ​ ​ 2. 물질안전정보 (물질명) 포름산(Formic acid, CH2O2) (유해・위험성) 급성독성(경구, 흡입),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피부에 심한 화상과 눈에 손상을 일으킴 (취급 시 주의..
2017년 7월 17일 - (연구실)안전설비 관리 부실로 인한 유해증기 누출 사고 1. 사고개요 (사고일시) ’17.7.17(월), 오전 9:30분 경 ​ (사고장소) ○○대학교 기계공학동 공동연구실 ​ (사고내용)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 수용액 600ml를 비커에 담아 흄후드 내에서 가열 실험을 실시하던 도중 배기장치 전원이일정시간 차단됨에 따라 유해증기 노출 ​ (피해현황) 인적, 물적피해 없음 ​ ​ 2. 물질안전정보 (물질명)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테트라메틸암모늄 수산화물) (유해・위험성) 급성독성(경구, 경피), 피부 부식성, 심한 눈 손상성,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 3. 발생원인(추정) 원인미상의 배기장치 전원 차단으로, 가열실험 중이던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수용액의 유해 증기 누출 ​ ​ 4. 예방대책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경우 반드시 흄후드 내에서 실시하고, 연..
2018년 3월 1일 - (연구실)미사용 화학물질 장기 보관으로 인한 유해증기 누출 사고 1. 사고개요 (사고일시) ’18.3.1.(목), 오후 3시경 ​ (사고장소) ○○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세포공학연구실 ​ (사고내용) 연구개발활동을 위해 아크릴일 클로라이드(Acrylyl Chloride, 500ml)를 2012년도에 구매, 사용한 후 남은 약 50ml를 제대로 밀폐되지 않은 채로 최근 3년간 일반 냉장고(’98년 구매, 온·습도 조절 취약)에 장기보관하였고, 공기 중 수분과 중합반응하여 부피 팽창으로 인한 시약병 파손 및 잔량의 아크릴일 클로라이드 유해증기 누출 ​ (피해현황) 인적, 물적피해 없음 ​ ​ 2. 물질안전정보 물질명) 아크릴일 클로라이드(Acrylyl Chloride) (유해・위험성) 급성독성, 고인화성 및 증기, 흡입하면 치명적임 (취급 시 주의사항) 환기가 잘되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