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83) 썸네일형 리스트형 훈소 정의 -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가연성 가스가 주변의 오녿 저하로 인한여 가연성 증기화(액체 미립자) 하거나 불완전연소에 의해 작은 가연성 증기(액적 미립자) 형태로 발생하는 연소현상 - 일반적으로 산소농도가 15% 이하인 경우 발생하며, 곡물창고나 왕겨 등이 쌓여 있는 곳에서 많이 발생하는 현상 -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훈소의 연소는 담뱃불과 같이 불꽃이 없이 연기만 내고 중심에서는 불꽃만을 갖는 느린 화학반응으로 심부화재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 특성 특성인자 설명 화학반응 반응속도가 느린 화학반응 연기발생량 다량의 미세 액적의 연기를 발생시킴 발열량 발열량이 높다 유해성 연소생성물 중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케톤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유해화학물질로 흡입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친다. 연기 .. 스폴링 현상(폭열현상) 정의 : 콘크리트의 폭열현상은 콘크리트가 열 접촉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일정온도 이상이 되몀ㄴ 급격히 강도가 저하되며, 콘크리트의 일부가 박리, 조깨지는 현상을 폭열현상이라 함 발생메커니즘 1. 100~200℃ 에서 콘크리트 내부 물리적 결합수 분해 증발 2. 300~400℃ 에서 콘크리트 내부 화학적 결합수 분해 증발 3. 500~1,000℃ 에서 콘크리트 폭열현상 및 900℃ 전후에서 골재폭열 발생 : 콘크리트의 폭열현상은 내부 수분의 수증기화에 따라 부피팽창에 의한 폭발적ㄱ인 압력증가로 발생하며, 골재의 경우에도 900℃ 전후에서 폭여링 발생한다. 4. 1,000℃ 이상에서는 콘크리트가 녹아 내리는 현상이 발생 콘크리트 폭열에 대한 대책 1. 초기 화재시 화재를 진화하도록 하여야 함 2. 폴.. Flash Over(플래시 오버), Back Draft(백 드래프트) Flash Over (플래시 오버) - 구획된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의 확산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시적으로 급속히 증가하는 구간이 발생하는데, 이 구간을 플래시 오버라 함. - 플래시 오버의 발생은 초기 가연물의 불완전연소에 의한 CO 등의 발생과 가연물 온도상승이 이루어진 후 화염이 천장, 벽면으로 확대되며 복사열의 증가로 일시에 건물 내부(구획된 실)의 가연물이 착화되어 화염에 휩싸이게 되는 현상 Back Draft (백 드래프트) - 구획된 실내에서의 화재가 최성기 이후 공기량의 부족으로 불완전연소(CO 다량발생) 중 출입문 등의 개방에 의해 공기의 유입으로 급속한 연소가 발생하여 과압이 방출되는 현상 Flash Over 와 Back Draft 비교 구분 Flash Over Back D.. Forth Over, Slop Over, Boil Over Forth Over - 유류저장탱크의 내부에 고온의 물질, 즉 아스팔트 등이 들어갈 경우 유류 표면에서 액체가 끓어 외부로 넘치는 현상 - 이러한 Forth Over는 유류가 외부로 넘침 현상에 이해 탱크 외부로 튀어나가게 되어 위험물질의 누출과 관계가 있는 위험성이다. Slop Over - 유류저장탱크의 표면화재 시 물(소화약제)이 액체 표면에 방사도리 경우 높은 온도로 인하여 물이 증발과 함께 액면에서 튀기게 됨으로써 화염과 유류물질이 같이 탱크 외부로 튀겨 분출되는 현상 - Slop Over 발생시 화재의 확산과 더불어 주변의설비에 영향을 미치게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함. Boil Over - 유류탱크 내부의 물이 들어가 탱크 하부에 체류하게 되고 외부로부터 탱크가 열을 받게 될 경우 바닥에 체류되.. Pool Fire(액면화재) Pool Fire(액면화재) 1. 액면에서 발생하는 화재로서 인화성.가연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화재 2. 인화성.가연성 액체의 표면에서의 인화성 증기가 발생하고 착화원에 의하여 착화될 경우 액면에서의 화재확산이 일어나 액면 상부에 화염이 형성되어 화재가 지속됨. 3. 액면화재의 경우 연소속도는 액면강화속도로 표면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인화성 물질의 발열량과 증발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연소하는 속도가 액면에서 물질마다 일정하기 때문 4. 액면강하속도가 연소속도를 나타냄 5. 액면 아래 온도분포로서 액체의 인화점에 도달하여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액면 아래의 온도분포에 영향을 받음 6. 화염의 높이에 따라 주변 복사열의 영향을 줌 7. 바람에 의한 화염경사가 접촉화염에 의한 화염 확산과 예열에 영향을 줌 Jet Fire(분출 화재) Jet Fire(분출화재) 1. 연료가스가 배관을 토앟여 분출시 발생하는 화재로서 연료가스가 분출되어 공기와 혼합되면서 화염을 형성하게 됨. 2. 연소는 확산연소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연료의 분출속도와 외부 공기의 흐름에 따라 화염의 크기와 ㅣㄹ이에 영향을 받게 됨. 3. 연료가스 배관의 플랜지, 배관의 구멍, 이음새에서의 가스누출 후 외부로부터의 착화에 의해 발생됨. 이전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