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783)
반응기의 압력 및 온도(인자), 이상반응 설계시 고려사항 1. 설계인자 고려사항 1) 상의 형태 : 반응 전.후의 기체, 액체, 고체의 상에 대하여 설계 시 결정하는 것으로 단위조작과 반응기 설계 시 중요한 요소가 된다. 2) 조업온도 범위 : 조업온도의 범위는 반응기의 반응조건과 제어에 중요한 인자로서 온도 범위의 제어에 실패할 경우 물질의 품질과 이상반응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의 범위는 기기, 장치, 설비의 재질과 두께의 선정 시 고려되어야 한다. 3) 운전압력 : 운전압력은 배관, 장치, 반응기 등의 설계 시 핵심요소로서 반응기 압력의 크기에 따라 두께, 재질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4) 체류시간과 공간속도 : 체류시간은 투입된 반응물질이 반응 완료되는 시간으로서 반응물질의 투입과 반응 완료 물질의 배출에 핵심요소가 되어 반응후 ..
반응기 구조에 따른 분류, 조작방법에 따른 분류 구조에 따른 분류 1. 관형 반응기 : 관내의 입구에 원료를 연속적으로 투입하고 관 말단에서는 제품이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형태로서 관내의 각 위치에서 반응물질의 농도나 온도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는 반응기 이다. 2. 교반조형 반응기 : 반응조를 갖는 반응기로서 회분식, 반회분식, 연속식이 있다. 반응조 내에서 반응이 이루어지므로 반응조, 즉 반응용기 내의 반응물 농도 및 생성물의 농도는 일정하다. 3. 탑형 반응기 : 직립 원통형의 반응기로 탑의 위쪽ㅇ, 아래쪽에서 원료를 투입하고 다른 쪽에서는 연속적으로 반응생성 유체를 방출하는 형태, 그 종류에는 기포탑식, 충전탑 및 단탑식, 습식벽탑식, 고정층식, 유동층 반응장치 등이 있다. 조작방법에 따른 분류 1. 회분식 반응기 : 회분식 반응기는 1회씩 반응을..
반응폭주의 위험성 및 방지대책 1. 반응폭주로 인한 위험성 : 화학반응을 통하여 물질을 생산하는 화학공장에서는 원활한 반응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400 ~ 500℃ 그리고 150 ~1,000atm에서 합성, 분해 등의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이 일시적으로 규정 조건에서 벗어나 반응폭주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대단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이로 인한 위험성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누출 : 반응폭주에 의한 압력, 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액체, 기체 등의 화학물질을 외부로 유출시키며, 이러한 누출은 독성가스의 누출로 인한 피해, 화재. 폭발 등을 초래할 수 있다. 2) 화재 : 반응폭주에 의한 온도상승은 기기 자체 또는 주변 물질의 온도상승을 초래하며, 반응기 자체의 화재. 폭발뿐만 아니라 주변 화학설..
Semenove 이론, 열 방출률과 열 손실률 1. Semenove이론의 개요 : 열발화 이론은 물질이 반응을 하며 방출하는 열 방출률과 대기 공기 중으로 열을 빼앗기는 열 손실률 간의 관계에서 발열반응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2. 열 방출률과 열 손실률 : 열방출률은 물질 반응을 하며 방출하는 열량으로 다음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hc : 방열량, W : 질량소모량, Ci : 반응물질의 농도(n : 반응차수) a : 반응상수, E : 활성화 에너지 : 열 손시률은 반응 중 대기 중으로 손실되는열량으로 온도와 표면적당 열손실 계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X : 열 손실률, L : 표면적과 온도 차이에 따른 열손실률, S : 표면적, △t : 온도차 3. 열발화 이론의 설명 : 열발화 이론은 발열반응에..
반응폭주의 발생원인 발생원리 - 화학공장에서는 화합, 분해, 중합, ㅊ치환, 부가 등의 반응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반응을 제어하는데 실패할 경우 반응폭주가 일어나며, 발생원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반응물질량 제어 실패 : 반응물질 과 투입에 다른 반응 활성화로 반응폭주 발생 2) 반응온도 제어 실패 : 반응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반응속도의 증가로 반응폭주 발생 3) 촉매의 양 제어 실패 : 반응속도를 높이는 촉매의 과 투입에 따른 반응폭주 발생 4) 이물질 흡입에 의한 이상반응 발생으로 반응폭주 발생 화학공장의 반응 폭주 원인 1. 냉각장치의 고장 : 반응기의 온도제어를 위한 냉각장치의 고장 시 반응온도의 상승으로 반응폭주가 일어남. 2. 계장설비의 오작동 또는 오류 : 계장설비의 오작동 및 오류로 인하여 반응..
산업재해 명칭, 우리말 변경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