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798)
EOCR 의 설정 메뉴 중 D-Time(DT), O-Time(OT) D-Time (가동지연시간) : Dealay Time - 모터의 기동시에는 정격전류의 약 5~8배의 기동 전류가 흐르며 지속시간(기동시간)은 모터의 (부하) 종류에 따라 다름. - D-Time(기동지연시간)은 기동시간 동안 흐르는 기동전류를 과전류로 인식해 EOCR이 동작하는 것을 지연시켜 주는 시간으로서 D-Time 노브 또는 모드 설정에 의하여 설정하여 모터의 기동시에만 적용 - 일반적으로 7~10초 정도 설정함(장비용량에 따라 다름) - 측정된 기동 시간에 약 2초 정도 더한 시간으로 D-Time 설정 Ex) 측정된 기동 시간이 10초이면 D-Time 을 12초로 설정합니다. * Blower ( AHU ) 와 같이 관성이 큰 부하의 경우에는 기동 상태에 따라 시간을 더 길게 설정해야 할 때도 있습니..
콘센트의 구조와 종류 콘센트 정의 전기 배선에 설치하는 일종의 접속 기구로 전기 ·전자 기기의 사용을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plug)를 삽입하는 기구입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125볼트, 15암페어 정격(定格)입니다. ​ 일반적인 콘센트의 경우 2~3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브라켓 : 매입되어 있는 박스에 콘센트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 2. 몸체 : 접점의 이동을 통해 전기 투입을 제어하는 부품 3. 플레이트 : 전선이 결합되는 몸체 및 매입박스 안쪽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미관을 위한 커버 형태의 부품 [접지형 콘센트] 누전 낙뢰 방지 및 기기 보호 목적으로, 콘센트에 전력을 위한 두 단자 외에 접지 단자가 있습니다. 접지용 플러그는 주로 원형이며 접지 단자가 있습니다. ​ ..
전지의 구분 전지의 구분 전지의 구분 전지의 구분 blog.naver.com
납축전지의 화재위험 일반적으로 납축전지를 화재위험과 연관하여 생각하지는 않는다. 축적된 에너지원은 잠재적으로 연료나 점화원이 되지만, 전지는 일상적으로 다른 연료를 점화하는 에너지만 제공한다. 그러나 납축전지가 에너지 제공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화재나 폭발의 원인이 될수 있는 수많은 상황이 있다. 그래서 실제로 단순한 전지 결함이 (폭발이거나 열방출 이던지 간에) 동일한 물리적 특성, 열역학, 화학적 성질을 가진 채로 진짜 화재의 형태가 될 수 있다. ​ 본 고는 납축전지 폭발의 위험성과 영향에 대하여 개설하였으며, 이는 화재조사관에게 관심이 될 수도 있다. 그 자체의 특성, 위험성, 이점이나 불이익을 가진 각각의 전지 종류에도 불구하고, 납축전지는 에너지밀도, 효율성, 실용성 및 사용 빈도의 관점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게..
a접점(arbeit contact), b접점(break contact) 원리 및 기호 a접점(arbeit contact) - 스위치를 조작하기 전에는 열려 있다가 조작하면 닫히는 접점 - 메이크 접점(make contact) - 상시개로 접점(NO접점 : normally open contact) - "a" 로 표시 a접점의 동작 후 원리 및 기호 ​ ​ ​ b접점(break contact) - 스위치를 조작하기 전에는 닫혀 있다가 조작하면 열리는 접점 - 브레이크 접점(break contact) - 상시폐로 접점(NC 접점 : normally closed contact) - "b" 로 표시 ​ b접점의 동작 후 원리 및 기호 ​ a접점(arbeit contact), b접점(break contact) 원리 및 기호 a접점(arbeit contact) - 스위치를 조작하기 전에는 열려 있다가..
접지선의 굵기 및 접지저항 계산 1. 계산 목적 이 계산의 목적은 전기설비의 안전운전을 위하여, 접지선의 굵기 및 접지저항의 적절한 값을 선정하는데 있다. ​ ​ ​ 2. 접지선의 굵기 선정 접지선에 지나치게 큰 전류가 흐르면 주울 열에 의하여 절연피복이 연소되거나 주위의 가연물에 화재위험을 미치게 되고, 최악의 경우 접지선 자체가 용단될 수도 있으므로, 전로로서의 그 기능을 만족하기 위하여 충분한 전류용량, 즉 도체의 충분한 단면적이 필요하다. ​ 접지선의 단면적은 통전전류, 통전시간, 온도, 재료의 특성 값 등을 감안하여 식(2-1)과 같은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의 표준식으로 구한다. ​ ​ 〈그림 1〉접지선의 전류용량 ​ ​ 재료의 물리정수 ​ 식(2-2)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경우는 전원측 과전류차단기의 동작특성과 관계되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