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798)
절연물, 도체의 저항률 고무, 플라스틱과 같이 저항률이 높은 물질은 정전기가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도체 또는 절연물이라고 한다. 한편, 저항률이 낮고, 정전기가 이동하기 쉬운 물체는 도체라 한다. 정전기적으로 도체인가 절연물인가는 그 저항률에 따른다. ​ [그림 1] 정전기에 따른 장재해의 방지면에서 본 정전기상의 도체, 절연물 등의 지표이다.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전기상의 도체를 포함하여 저항률이 10^8Ω⋅m 이하의 물체는 접지에 의해 거의 완전하게 대전방지 할 수 있다, 한편, 저항률이 10^12Ω⋅m이상의 물체는 접지를 하여도 전혀 대전방지가 되지 않는다. ​ [그림 1] 물질의 저항률과 접지에 따른 대전방지 효과 ​ 저항률이 10^8~10^12Ω⋅m 범위의 중간영역 물체는 접지의 효과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접..
대전계열(정전기) 대전계열 ※ 표의 대전계열 중 두개의 ㅁ루질을 마찰 또는 박리할 때, 위쪽의 물질이 정극성(+)으로 대전하고, 아래쪽의 물질이 부극성(-)으로 대전한다. 이 대전량은 대전계열 중의 위치가 멀리 떨어질수록 커진다. 대전계열(정전기) 대전계열 ※ 표의 대전계열 중 두개의 ㅁ루질을 마찰 또는 박리할 때, 위쪽의 물질이 정극성(+)으로 대전하... blog.naver.com
정전압(V ; volt) 정전압(V ; volt) 전위라고도 하며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전기장 내에서 단위 양전하(1 쿨롱의 전하)를 기준점 (보통 무한대 점 또는 대지)에서 그 위치까지 운반하는 데 필요한 일을 그 점의 전위라고 한다. 전위가 동일한 점을 연결하여 생기는 면을 등전위면이라 하며, 전기력선은 등전위면에 직각으로 교차한다. ​ 전기장 내의 한 점인 방향으로 향하는 전기장의 강도는 그 방향의 전위 기울기와 동일하며 전위는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향한다. ​ 전하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도체의 각 점의 전위는 모두 동일하며 그 표면은 등전위면이지만, 전류가 흐를 때 도체의 전위는 위치에 따라 다르며 전기장이 존재한다. ​ 전위의 측정방법은 측정부위에 따라 도체전위, 표면전위, 그리고 공간전위측정으로 구분된다. ..
정전용량(C ; capacitance) 정의 및 단위 Shovel정전용량(C ; capacitance) 전기에너지의 저장용량으로서 서로 떨어져 배치된 2개의 전도체는 절연된 도체들로서 어느 정도의 전하가 축적되는지를 나타내는 양을 의미한다. 공간에 배치 된 두 도체 사이에는 반드시 정전용량이 형성되며 그 정전용량의 값은 두 전도체의 거리와 형상 도체 사이의 공간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그림 2-4]와 같이 금속성의 판(도전체)를 평행하도록 하고 전압을 가하면 정전용량이 형성된다. 정전용량(C)의 값은 금속판의 면적(S)과 금속판 사이의 거리(L), 그리고 금속판 사이의 절연체의 유전율(εs)에 의해 결정된다. ​ ​ 정전용량의 계산 식은 이하와 같으며, 이 때 진공 유전율(ε0)은 8.85419×10-12이며 공기의 비유전율은 1.000059이다. ​ 만..
정전기 에너지(Ue) 산출 노모그램 정전기 에너지(Ue) 산출 노모그램 정전기 에너지(Ue) 식 노모그램를 이용하여 시스템내의 인화성 액체, 인화성 가스(증기) 혼합물 및 분진의 정전기에너지(Ue) 와 최소점화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 ​ 정전기에너지(Ue) 등의 산출 노모그램 ​ ​ [노모그램 이용방법] 200 pF의 정전용량을 가진 사람이 카페트 위를 걸어갈 때 발생되는 정전기는 약 10,000 V인 경우의 정전기에너지는 얼마인가? ​ 노모그라프에서 정전용량 200 pF와 전압 10,000 V를 이으면 정전기에너지는 10 mJ 이 된다. 이 에너지는 에 제시된 물질들의 최소점화에너지를 초과하는 에너지로 대책이 필요하다. ​ ​ 정전기 계측․제어 사례 ​ 정전기 에너지(Ue) 산출 노모그램 정전기 에너지(Ue) 산출 노모그램 정전기 에..
인체의 전기적인 특성 인체의 전기적 특성 감전은 전기로부터 인체가 받는 현상으로 인체의 여러 가지 특성 중에서 전기적인 특성으로는 인체의 저항과 정전용량이다. 저항은 감전전류의 세기에 관여하며, 정전용량은 정전기의 축적 크기에 관계된다. 어렵게도 인체의 저항과 정전용량은 각각의 사람마다 같지 않다. 그러므로 국제적으로 계산 또는 시뮬레이션에 이용하는 저항값으로 1 ㏀, 정전용량값으로 100 ㎊을 표준으로 삼고 있다. ​ 감전에서 중요한 것은 인체의 저항값(좀 더 정확하게는 임피던스; impedance)이다. [그림 Ⅱ-45]는 단순화된 인체의 내부 임피던스를 나타낸 것이며, [그림Ⅱ-46]은 인체임피던스에 대한 전기적 등가회로이다. ​ ​ ​ 인체 임피던스 값은 여러 요인에 의해 변하며, 특히, 통전경로, 통전시간, 주파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