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777)
유해.위험물질의 이송방법 및 취급 시 안전조치 유해 . 위험물질의 이송방법 1. 압축가스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방법 1) 질소, 공기, 기타 다른 기체들을 이용하여 가압에 의해 이송하는 방법으로 압력조절기의 고장으로 인한 과압에 대비하여 안전밸브를 설치하며, 압축가스로 인한 질식사고에 유의하여야 한다. 2) 암모니아, 디메틸에테르 등과 같은 액화가스 상태로 저장되는 물질의 경우 폐쇄계, 즉 Closed Loop System 또는 증기를 재압축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이송한다. 이때 증기압 축시 발생열을 제거하기 위해 냉동설비가 필요하다. 3) 시스템 내에서 증기가 누설될 때를 대비하여 내용물을 빠르게 안저한 지역으로 방출시키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4) 아세틸렌, 에틸렌 등의 물질은 갑자스러운 가압으로 인하여 분해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보조기기를..
화학설비별 위험물 누출부위와 원인 및 대책 1. 배관 및 밸브, 플랜지 1) 기체와 액체를 이송하는 배관의 접속부위인 플랜지, 가스켓 패킹류의 재질불량, 접속부의 체결불량 등으로 인하여 화학물질 누출 2) 밸브 개폐의 오조작, 댐퍼 차단 등의 불완전한 오조작과 배관 체결부의 볼트 이완, 강도 지하로 화학물질이 누출 3) 고무, 플라스틱제 등의 배관에는 노화, 가열 등에 의한 파손으로 인해 누출이 발생 2. 압축기 및 펌프 1) 회전기기는 진동에 의해 간격발생, 이완 피로파괴가 발생하여 화학물질이 누출 2) 축 등의 실링 파트는 노화, 진동, 이물질 등으로 인해 손상, 파손 등이 발생하여 누출 3. 탑류 및 탱크류 1) 탑 및 탱크류의 파손은 과충진에 의해 이상반응이 발생하고 내부 압력이 상승되어 이로 인해 누설 발생 2) 운전조작의 급변화와 보수..
환적(Switch Loading) 1. 정의 : 물리적, 화학적 성상이 다른 물질을 동일한 탱크에 서로 교환하여 적재하는 것을 환적이라고 한다. 2. 환적 가능 여부 검토 1) 탱크의 설계, 안전거리, 소화설비의 기준이 적합한지 검토 2) 서로 환적되는 물질의 특성이 환적 가능 여부 검토 3) 탱크 부속설비들의 재질, 용량, 성능에 대하여 환적 시 사용가능한지 검토 3. 환적작업 시 주의사항 1) 유조차 출하작업 주의 : 환적을 위하여 탱크 내의 물질을 유조차로 출하작업을 할 경우 안전작업 기준에 따라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 2) 휘발류와 등류, 경유의 혼합적재 금지 : 휘발류와 등유, 경우는 인화점, 증기압 및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혼적 시 유층의 부닐와 유조차 출하작업 및 이동시 작업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이 ..
NFPA30 인화성 액체와 가연성 액체의 분류 인화성 액체와 가연성 액체의 분류 : 인화성과 가연성 액체의 구분은 인화점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액체에 대한 세부 구분은 인화점과 비점을 기준으로 나누어 진다 1. 인화성 액체(Class Ⅰ) : 인화점 100℉(37.8℃) 미만인 액체 - 인화점과 비점에 따라 ClassⅠA, Class ⅠB, Class ⅠC 로 구분 2. 가연성 액체(Class Ⅱ) : 인화점이 100℉ 이상인 액체 - 인화점에 따라 Class Ⅱ, ⅢA, ⅢB 로 나누어짐 ​ NFPA30 인화성 액체와 가연성 액체의 분류 인화성 액체와 가연성 액체의 분류 : 인화성과 가연성 액체의 구분은 인화점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blog.naver.com
NFPA 704 따른 위험도 평가방법 및 표시 위험도 평가 방법 위험성 등급 건강 위험성 연소 위험성 반응 위험성 4등급 짦은 시간 폭로로 사망, 상해 위험 대기압 상온 완전증발, 분산하여 연소하기 쉬운 물질 수비게 폭굉, 상온 상압하에서 폭발적 분해 3등급 짧은 시간 폭로로 심한 일시적 상해 일반온도에서 발화할 수 있는 액체 및 고체 기폭력에 의해 폭굉 또는 폭발적 분해 2등급 계속된 폭로상태에서 무력감 또는 상해 가능성 있음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발화 상온하에서 화학변화를 하나 폭발하지 않는 물질 1등급 폭로로 인한 자극, 작은 상해 예열하지 않으면 발화하지 않는 물질 온도와 압력 상승하면 불안정해지는 물질, 물과 반응하는 물질 0등급 화재의 조건하에서 폭로하여도 보통 가연성 물질보다 위험 낮음 타지 않는 물질 화재에 노출되어도 안정한 물질, 물..
NFPA에 따른 위험물 분류(NFPA 472) NFPA 472 에서는 위험물을 다음과 같이 8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구분 분류기준 Class 1 : 폭발성 물질(Explosuves Material) 폭발성 물질로서 화학반응에 의해 가연서 ㅇ가스나 반응열을 방출 하는 물질 Class 2 : 가스 물질(Gases Material) 가스상태로 위험을 초래하는 물질로서 인화성 가스, 압축가스, 독성가스 등의 가스 Class 3 : 인화성 액체(Flammable Liquid) 68℉ 이하의 인화점인 액체 Class 4 : 인화성 고체(Flammable Solids) 자연발화성, 자기반응성 물질로서 쉽게 연소되는 물질 Class 5 : 산화성물질 및 유기관산화물 (Oxidizer, Organic Peroxides) 산소를 함유하고..
공정위험성평가 공정변수 공정위험성평가 공정변수 ​
자체감사 면담 및 현장확인 내용 - 2017.05 □ 안전경영과 근로자 참여 1. 공장장 가. 회사의 경영목표로 안전.보건을 우선적으로 강조하고 있는가? 나. 공정안전관리(PSM) 12개 요소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 다. 공정위험성평가, 변경요소관리, 공정사고 및 자체감사 결과의 개선권고사항 및 처리현황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있는가? 라. 사업장 내.외부 PSM 관련 안전.보건 교육훈련계획을 승인하고 그 결과를 보고 받는가? 마. 도급업체 안전관리의 구체적 내용을 잘 알고 있는가? 바. PSM 이행분위기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사. 안전보건활동(위험성평가, 자체감사, 외부 컨설팅 등)과 안전분야 투자를 연계하여 투자계획을 수립하는지? 아. 안전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대비 실적을 평가하며 관련 내용을 근로자들에게 공유하는지? 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