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777)
압력단위 환산표 1 atm (기압) 101,325 Pa (파스칼), N/m2 1013.25 hPa (헥토파스칼) 101.325 kPa (킬로파스칼) 0.101325 MPa (메가파스칼) 1.01325 bar (바) 10332.275 mmH2O(수주밀리미터), mmAq 760 mmHg (수은주밀리미터) 1.033227 kgf/cm2 14.696 psi (프사이) 1013.25 mb (밀리바) 29.92126 inchHg 406.782188 inchH2O 1,013,250 dyne/cm2 ​
플레어 시스템 설계절차 및 고려사항 플레어 시스템 설계절차 플레어 헤더 1. 플레어량 계산 2. 동시배출량 계산 3. 압력손실 계산 4. 직경의 계산 녹아웃 드럼 용량 1. 기액분리 강하속도의 계산 2. 강하상수의 결정 3. 체류량 계산 4. 부피(50% 액체), 안지름과 길이의 비율 1 : 3 에서 결정 5. 기체흐름의 횡단면적 계산 6. 기체흐름에 대한 기체공간 수직 높이 계산 7. 액체강하시간 및 기체속도 계산 8. 기액분리 필요 최소길이 계산 9. 필요 길이를 확인하여 결정 밀봉 드럼 1. 플레어 헤더지름의 2배 지름, 3배 길이로 선정 2. 수직밀봉드럼은 증기공간은 밀봉드럼 지름의 0.5 ~ 1배, 수직높이 1m 이상 3. 밀봉액에 잠기는 플레어헤더의 밀봉높이의 계산 4. 플레어헤더의 밀봉높이는 밀봉액의 정상 액면으로부터 10cm..
Flare System 주요 용어 플레어량 (Flare Load) 냉각수공급 중단, 전원공급 중단, 또는 외부화재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하여 안전밸브 등이 동시에 작동되어 배출될 수 있는 분출용량의 합계 중 가장 큰 수치 플레어 스택 (Flare Stack) 플레어시스템 중 스택 형식의 소각탑으로서 스택지지대, 플레어팁, 파일럿버너 및 점화장치 등으로 구성된 설비 일체를 뜻함 플레어 헤더 (Flare Header) 안전밸브 등에서 배출된 가스 및 액체를 그룹별로 모아서 플레어스택으로 보내기 위하여 설치되는 주배관 녹아웃 드럼 (Knock-Out Drum) 안전밸브 등의 배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액체가 플레어스택으로 가스와 함께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액체를 분리 포집하는 설비 밀봉 드럼 (Seal Drum) 플레어스택의 화염이 플레어시스템으로 ..
열매체 설비 특징 및 설계시 고려사항 정의 1. 열매체 : 수증기, 물 이외의 유체를 사요하는 열교환 설비를 통해 물질을 간접적으로 가열, 냉각하는 물질 ​ 2. 액상 시스템 : 열매체의 상변화 없이 액상으로 가열, 냉각하는 시스템 ​ 3. 기액상 시스템 : 앨매체의 상변화를 통하여 가열, 냉각하는 시스템 ​ ​ 열매체의 조건 및 선정시 고려사항 조건 선정 시 고려사항 1. 비열, 열전도도, 잠열이 클 것 1. 최대사용가능온도(분해고려) 2. 점도가 낮을 것 2. 열화 여부(수명과의 관계) 3. 증기압이 낮고 비점이 높을 것 3. 인화성이 있을 경우 화재위험 고려 4. 인화점, 자연발화점이 높을 것 4. 유기물과의 반응, 폭발위험 고려 5.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부식성이 낮을 것 5. 열화오염으로 설비의 정지, 보수 고려 6. 가열, 냉각시 ..
열교환기의 목적과 분류, 특징 열교환기 정의 : 열교환기는 열의 전달현상을 이용하여 고온도의 물질에서 저온도의 물질로 열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열 이동이 잘 이루어질수록 효율이 높고 좋은 설비라 할 수 있다. ​ ​ 목적에 따른 종류 종류 설명 열교환기 열을 교환하는 설비의 총이며, 대부분 폐열회수장치의 경우 열교환기라고 함. 냉각기 (Cooler) 고온장치, 물질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설치하는 설비 가열기 (Heater) 저온의 물질에 대하여 온도를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설비 응축기 (Condenser) 증기를 액체로 응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섧비 증발기 (Vaporizer) 액체를 증기로 증발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설비 ​ ​ 구조에 따른 종류 및 사용장소 종류 설명 및 특징 원통형 통 속에 여러 개..
증류시스템 위험물 정체량 감소방법 1. 증류시스템 1) 증류시스템은 증기압 차이가 있는 액체 혼합물을 기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목적 성분을 분리하는 공정이다. ​ 2) 기체 - 액체의 접촉에서 발생하는 물질 이동 및 열 이동을 고려하여 증류시스템을 설계하므로 두상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고 전달저항을 작게하여 물질이동과 열 이동량을 크게 하여야 한다. ​ 3) 증류방식은 단증류와 정류로 나누어지며, 공정의 연속성 측면에서 회분식과 연속식으로 나누어진다. ​ ​ 2. 증류공정에서 위험물질 보유량 최소화 방법 1) 환류시스템 및 리 보일러의 크기를 최소화 2) 탑 내부 콘덴서나 리보일러 시스템 채택 3) 운전효율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정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탑 사용 4) 탑 저부 직경을 작게 함으로써 탑의 저부에 위험물질 정체량 최소화 5)..
반응기 안전설계 시 고려사항 1. 반응기 냉각수 회수부의 온도경보 장치 : 반응기가 운전조건을 벗어나거나, 냉각수의 온도 조절 기능에 실패하였을 경우를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경보 장치를 설치한다. ​ ​ 2. 반응기 원재료 투입 배관에 조절밸브 설치 : 발열반응 시 반응기 온도의 증기가 발생할 경우 원재료의 투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반응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3. 화재 위험이 있는 물질이 원재료일 경우 : 인화점 이상에서 운전할 경우 착화원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인화점 이하에서 가동하거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불활성 가스로 봉입하여야 함. 4. 반응기 온도 경보장치 및 안전설비의 작동 : 반응기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반응폭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원료의 투입중지, 냉각수 공급장치 작동, 시스템 압력조절 장치 ..
저장탱크의 종류 1. 고정식 지붕탱크 Cone Roof Tank(CRT) 1) CRT 는 지붕이 뽀족하고 고정되어 있어 물의 혼입을 방지 할 수 있다. 2) 휘발성이 적어 증기압이 높지 않은 중질유, 경유 등유 등의 저장탱크로 사용 3) 건설비 저렴 ​ ​ ​ 2. 유동형 지붕 탱크 Floating Roof Tank (FRT) 1) FRT는 지붕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계됨 2) 휘발성이 간한 제품들의 손실 방지하기 위함. 3) 지붕의 특성상 빗물 유입의 우려가 있음 ​ 3. 구형 저장탱크 Ball Tank 1) 압력을 쉽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모양으로 제작 2) 보관이 위험하고 압력이 높은 프로탄이나 부탄 같은 제품 저장(액화가스 등) 저장탱크의 종류 1. 고정식 지붕탱크 Cone Roof Tank(CRT) 1) C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