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83)
방진, 방수, IP시험(IEC 60529) IEC 60529 규격 - Degrees of protection Provided by enclosures (IP Code) 외관이 얼마나 내부를 보호해주는지에 대한 성능 테스트 - IP : International Protection의 약자 - 직접적인 접촉, 침투에 대한 보호 등급 IP Code 표기 방법 예) IP12CH IP 는 Code Letters 1 은 Characteristic numeral (숫자 0~6까지 또는 X로 표기) 2 는 Characteristic numeral (숫자 0~9까지 또는 X로 표기) C 는 Additional letter (옵션 표기 사항) H 는 Supplementary letter (옵션 표기 사항) ​ 여기서 X표기는 해당 제품 특성상 해당 시험이 요구되지 ..
저압전기 설비에서의 감전 예방을 위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21.12 E- 100- 2021 저압전기 설비에서의 감전 예방을 위한 기술 지침(KOSHA GUIDE) - 2021.12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 방지) 제1절(전기기계·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 방지)의 규정에 의거, 저압전기 설비에서의 근로자 감전방지를 위한 기술 지침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 ​ 2. 적용 범위 이 지침은 사업장 내에 설치된 교류 1kV 또는 직류 1.5kV 이하의 저압전기 설비에 적용한다. ​ ​ 3. 용어의 정의 3.1 “충전부”라 함은 일반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도체 또는 도전성 부분을 말한다. ​ 3.2 “위험 충전부”라 함은 어떤 조건하에서 상해(감전)를 입힐 위험이 있는 충전부를 말..
비상전원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6.03 E - 84 - 2016 비상전원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6.03 ​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8조(비상전원)」에 따라 정전에 의한 기계·설비의 갑작스러운 정지로 인해 화재·폭발 등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기계·설비에 비상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발전기 등 비상전원의 선정 및 설치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 ​ 2. 적용 범위 2.1 이 지침은 정전에 의한 기계·설비의 갑작스러운 정지로 인한 화재·폭발 등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기계·설비의 비상전원에 대하여 적용한다. ​ 2.2 이 지침은 전기설비의 고장 등으로 인한 비상전원 이외에도 전력피크 억제, 주파수 조정 등을 위한 예비전원에도 적용할 ..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20.12 E - 180 - 2020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20.12 관련규격 및 자료 - KS C IEC 60079-10-1(폭발분위기- 제10-1부 :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 NFPA 497(Recommended practice for the classification of flammable liquids, gases, or vapors and of hazardous location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at chemical process areas) - EI 15(Area classification code for installations handling flammable fluids) - EN 1127-1(Explosive At..
정전기에 의한 화재·폭발 재해조사에 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21.12 E – 182 - 2021 정전기에 의한 화재·폭발 재해조사에 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21.12 ​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폭발 등 방지)에 따라 화재·폭발 발생사업장에서 재해조사 시에 점화원으로써 정전기로 규정하기 위해서 고려하여야 할 정전기적 파라미터 및 재해조사에 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 ​ 2. 적용범위 (1) 이 지침은 인화성 가스·증기·가연성 분진의 폭발위험장소에서 정전기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폭발을 예방하기 위한 위험성 평가 및 그 대책에 적용한다. (2) 본 지침은 반도체산업 등과 같이 전기·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한 장애를 찾아내고 예방대책을 세우는데 적용할 수 있다. ​ ​ ..
활선근접작업 안전포인트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한 다음 절연 보호구를 착용하세요. 활선작업용 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전압별 접근한계거리 이상 멀리 떨어져서 작업하세요. 충전부위에 방호구 설치 •절연 방호구는 재질이 연약하므로 사용하기 전에 절연재의 손상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접근한계거리 유지 •작업 중 취급하는 금속제 공구, 재료 등의 도전체는 충전전선로와 사용전압별 접근 한계거리이상 멀리 두세요. ​ 활선 경보기 착용 •활선접근경보기는 활선에서 가장 가까운 인체부위에 착용하세요 ​ 활선근접작업 안전포인트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한 다음 절연 보호구를 착용하세요. 활선작업용 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전압... blog.naver.com
축전지 취급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3.11 E - 축전지 취급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3.11 1. 목적 이 기술지침은 축전지 취급에 관하여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 ​ 2. 적용범위 이 기술지침은 산업용 축전지의 취급, 관리 및 정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적용한다. ​ ​ ​ 3. 정의 (1) “축전지(Electric storage batteries)”라 함은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꿔 모아두고, 필요할 때 다시 전기에너지로 바꿔 쓰는 장치를 말한다. ​ (2) “알칼리축전지(Alkaline batteries)”라 함은 수산화물질과 같은 알칼리용액으로 전해액이 구성된 축전지를 말한다. ​ (3) “연축전지”라 함은 양극판(PbO2), 음극판(Pb), 격리판, 전해액(H2SO4) 및 전조(Con..
건축물 등의 피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1.12 E - 107 - 2011 건축물 등의 피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26조(피뢰침의 설치)에 따라 건축물 내 외부의 인명 및 설비를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피뢰설비의 설치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 ​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건축물에 대한 피뢰설비 설치의 경우에 적용하며, 다음 설비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는다. (1) 철도 설비 (2) 건축물 밖의 발전 송전 배전시스템 (3) 건축물 밖의 원격 통신시스템 (4) 차량 선박 항공기 해양설비 등 ​ ​ ​ 3. 정 의 (1) “보호범위(Space to be protected)”란 낙뢰의 영향으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건축물의 일부 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