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방폭

(7)
위험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인화성 액체 취급장소에서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5.06 E- 143- 2015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인화성 액체 취급장소에서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5.06 ​1. 목적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0조(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정 및 관리) 및 안전보건기술지침(가스 폭발위험장소의 설정 및 관리에 관한 기술 기준)에 따라 인화성 액체를 사용·취급 또는 저장하는 장소 등에서의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2. 적용 범위(1) 이 지침은 인화성 액체를 사용·취급 또는 저장하는 설비 등에 적용한다.(2) 이 지침은 베셀·배관·탱크 또는 시스템에서 예측하기 곤란한 대규모의 파열이나 누출사고, 그리고 과산소분위기 또는 자연 발화성 물질에는 적용하지 않는다.​​​3...
KS C IEC 60079-10-1(2020) 개정사항 KS C IEC 60079-10-1(2020) 개정사항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1. 적용범위e) 저압의 연료가스가 취사, (water heating), 기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상업용 및 산업용 기기(appliances) 다만, 해당설비(installation)가 관련 가스 코드 부합되는 경우에 한함.5.3.2 연료가스 설비저압의 연료가스만 사용되고 취사, 물의 가열 및 이와 유사한 용도인 상업용 및 산업용 설비는 가스 관련 코드를 적용한다.​대부분의 경우, 가스 관련 코드에 적합하다면 비폭발위험장소로 구분되거나 무시할 수 있는 범위의 장소(NE)가 될 수 있다.​모든 산업에서 KS C IEC 60079-10..
251.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작성방법 - PSM 251.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작성방법 ​​ 작성예시(1) 작성방법 가스 폭발위험장소 또는 분진 폭발위험장소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KS)」에 따라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및 방폭기기 선정기준을 다음 사항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폭발위험장소 구분도에는 가스 또는 분진 폭발위험장소 구분도와 각 위험 원별 폭발위험장소 구분도표를 포함 ◦방폭기기 선정기준은 고용노동부고시 별지 제20호서식의 방폭전기/계장기계・기구 선정기준에 작성하되, 각 공장 또는 공정별로 구분하여 해당되는 모든 전기・계장기계・기구를 품목별로 기재 ◦방폭기기 형식 표시기호는 「한국산업표준(KS)」에 따라 기재 ​ ​ (가) 개요 화재나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 다음 장소를 가스 또는 분진폭발 위험장소로 설정하여 관리하고 해당 지역에는 ..
방폭전기기기 선정 방법, 종류(등급 구분) 1. 폭발가스 등급 구분 폭발그룹 최대 안전틈새 (MSEG) 최소 점화 전류비 (MIC) 대표적인 가스 IIA > 0.9mm > 0.8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벤젠,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 IIB 0.5mm ~ 0.9mm 0.45 ~ 0.8 부타디엔, 에틸렌, 에틸렌옥사이드, 도시가스 IIC < 0.5mm < 0.45 아세틴렌, 수소, 유화탄소 최대안전틈새 : 화염일주가 일어나지 않는 틈새의 최대치(틈새 길이 25mm 기준) 최소점화전류비 : 메탄의 점화 전류 값에 대한 대상 가스의 점화 전류 값의 비 2. 온도등급 구분 온도등급(IEC/EN/NEC 505-10) 기기 최대 표면 온도 (℃) T1 300 < t ≤ 450 T2 200 < t ≤ 300 T3 135 < t ≤ 200 T4 100..
혼합가스 가연성여부 판단 및 LFL 계산(KS B ISO 10156:2017) 혼합가스 가연성여부 판단 및 LFL 계산(KS B ISO 10156:2017) ​ 혼합가스 LFL 계산 질의 (KGS) - KS B ISO 10156을 기준으로 혼합가스의 가연성여부 및 LFL을 계산하고 있음 ​ 내용) 안녕하십니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0조에 이거, 폭발위험장소 계산은 KS표준(KS C IEC 60079-10-1:2015)을 따르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상기 폭발위험장소 계산시 적용하는 LEL 관련 질의 드립니다. ​ 당사에서는 배관을 통해 COG 및 부생가스(H2, CH4, CO, N2 등을 함유한 혼합가스)를 취급하고 있으며, 배관의 부속설비(Valve, Flange 부위 등)에 대해 누출원으로 구분하여 폭발위험장소를 계산하고자 합니다. ​ ※ 참고(COG 및 부생가..
NFPA 497 Chemical (Vapor) Classifi cation NFPA 497 Chemical (Vapor) Classifi cation NFPA 497 Chemical (Vapor) Classifi cation NFPA 497 Chemical (Vapor) Classifi cation #방폭 #방폭등급 #폭발위험장소 blog.naver.com
방폭 기기 - 제14부:전기설비 설계, 선정, 설치(KS C IEC 60079-14 : 2013) 최종수정일 : 2022.10.14 ​ 폭발성 분위기 - 제14부:전기설비 설계, 선정, 설치(KS C IEC 60079-14 : 2013) Explosive atmospheres - Part 14: Electrical installations design, selection and erection ​ ​ 1. 적용범위 이 표준은 폭발성 분위기에서 또는 그 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전기설비의 설계, 선정, 설치 및 최초 검사에 관한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 수분 침투 방지, 내부식성과 같은 다른 환경 조건에 대한 요구사항이 적용되는 기기의 경우, 추가적인 보호가 필요할 수 있다. ​ 이 표준의 요구사항은 KS C IEC 60079-0 에서 정의하는 기본 대기 조건에서 사용되는 기기에만 적용한다. 이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