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782)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른 안전진단 대상, 시기, 항목 및 방법 1. 안전진단 대상 -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설치를 마친 자 또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운영하는 자 참고)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이란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또는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그 밖에 유해성 또는 위해성이 있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 제조, 보관 및 저장, 운반(항공기, 선박, 철도를 이용한 운반은 제외) 또는 사용하는 시설이나 설비 2. 안전진단의 종류 1) 특별안전진단 : 설치, 정기 및 수시검사 결과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구조물이나 설비가 침하. 균열. 부식 등으로 안전상의 위해가 우려된다고 인정되는 경우 2) 정기안전진단 :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설치한 후 취급시설별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간을 경과한 경우 3. (정기)안전진단 실시 시기 - 공정위험성 및 사고가..
장외영향평가서 구성항목 1. 기본 평가정보 1) 취급 유해화학물질의 목록, 취급량 및 유해성 정보 2) 취급시설의 목록, 명세, 공정정보, 운전절차 및 유의사항 3) 취급시설 및 주변지역의 입지 정보 (1) 취급시설의 입지정보 (2) 주변지역의 입지정보 4) 기상정보 2. 장외평가정보 1) 공정 위험성 분석 2) 사고시나리오, 사고시나리오의 가능성 및 위험도 분석 3) 사업장 주변지역 영향 평가 4) 안전성 확보 방안 3. 다른 법률과의 관계정보
화염일주한계(최대안전틈새) 정의 : 최대안전틈새는 용기 내부에서 가스가 폭발할 때 화염 일주가 일어나지 않는 최대 틈새를 말한다. 목적 : 화염일주한계는 가연성 가스와 증기의 위험성을 나타내는 특성값으로 화염의 일주를 발생하는 최소의 에너지를 뜻하며, 일반적으로 화염의 일주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전기 기기의 방폭구조에 적용하여 화염의 일주를 발생하지 않는 최대의 빈틈으로 사용된다. 특성 : 폭발성 혼합가스의 폭발시 배압(Back Pressure)이 있는 상태에서 좁은 틉새를 통해 폭발성 혼합가스 속을 화염이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파하는지를 호가인하는 실험으로써 그 폭발이 전파 되는 거리의 한계치수를 나타내는 특성값이다.
한계산소지수(LOI : Limiting Oxygen Index) 1. 정의 : 연소를 지속하는데 필요한 최저한의 산소 체적분율(%) 2. 한계산소지수의 식 3. 특징 : LOI 는 측정이 단순하고, 재현성 우수, 수치화 쉬워, 가장 많이 사용한다. 4. 활용 1) 방염처리 한 고분자 재료와 그 소재의 연소성을 비교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 2) 난연성 측정법에 연소시험법, 탄화장 측정법, LOI, 잔염시간시험법 3) 한계산소지수는 난연성 측정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
불활성화(Inerting), 치환(Purging) 1. 불활성화(Inerting) 1) 산소농도를 안전한 농도로 낮추기 위해 불활성 가스(N2, CO2, 수증기)를 용기에 주입하여 연소를 방지하는 것. 2) 가연성 가스의 경우 최소산소농도(MOC) 이하로 낮추게 되면 불활성화 3) 분진의 경우 한계산소농도(LOC) 이하로 낮추게 되면 불활성화 4) 가연성 가스 경우 : MOC 10% - 설계 시 6% 5) 분진의 경우 : LOC 8% - 설계 시 4% 2. 치환(Purging) 1) 가연성 가스 또는 증기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산소농도를 최소산소농도(MOC) 이하로 낮게 하는 작업 2) 퍼징의 종류 - 진공 퍼지(음압) - 압력 퍼지(양압) - 스위프 퍼지(불황성 가스 주입, 방출) - 사이폰 퍼지(물 등의 액체 주입 배출, 동시에 불활성 가스 주입)
한계산소농도(LOC : Limiting Oxygen Concentration) 1. 정의 : 분진과 공기의 혼합물에 불활성 가스를 첨가하여 산소농도를 떨어뜨리면 어떠한 분진 농도에서도 폭발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데 이때의 산소농도를 한계 산소농도라 한다. 2. 구분 1) 분진폭발의 경우 -> 한계 산소농도(LOC) 사용 2) 가연성 가스 폭발의 경우 -> 최소 산소농도(MOC) 사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