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83)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고예방대책 원리의 5단계 1단계 : 안전조직 - 안전에 대한 목표 설정 및 계획수립 2단계 : 사실의 발견 - 불안전한 요소 발견(안전점검, 사고조사, 안전회의 등) 3단계 : 평가.분석 - 발견된 사실이나 원인분석은 사고를 발생시킨 직접적인 원인 4단계 : 시정책의 선정 - 효과적인 개선방법 선정(기술적 개선, 교육적 개선, 제도 개선) 5단계 : 시정책의 적용(3E) - 기술적 대책(Engineering : 안전설계, 설비개선, 작업기준) - 교육적 대책(Education : 안전교육, 교육훈련 실시) - 규제적 대책(Enforcement : 안전기준 설정, 규칙 및 규정 준수 등) 산업안전의 4원칙(산업재해 방지의 4원칙) 1. 예방가능의 원칙 1) 산업재해는 천재와는 달리 인재이므로 반드시 방지하여야 한다. 2) 과거 재해의 원인과 요소를 분석하여 과학적인 재해발생의 예방책을 수립하는것이 중요하다. 2. 손실우연의 원칙 1) 사고가 일어난 손실이 지금은 극히 적거나 또는 큰솔실이 없어도 장차 매우 큰 재해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2) 재해방지에 있어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솔실의 유무에 관계없이 사고의 발생을 미리 방지하므로서 손실도 없게 되는 것이다. 3. 원인계기의 원칙 1) 사고와 그 원인과의 사이에는 필연적인 인과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4. 대책선정의 원칙 1) 교육적 대책 : 안전교육 및 훈련 실시 2) 기술적 대책 : 안전설계 작업환경 개선, 설비 점검 및 개선 등 3) 규제. 관리적 대책 : 적합한 기준 설정.. 안전교육의 형태 1. 안전교육의 기본방향 1) 사고사례 중심의 안전교육 2) 안전작업(표준작업)으르 위한 안전교육 3) 안전의식 향상을 위한 안전교육 2. 안전교육의 목적 1) 인간정신의 안전화 2) 행동의 안전화 3) 환경의 안전화 4) 설비와 물자의 안전화 3. 안전교육의 3요소 1) 교육주체 : 강사 2) 교육객체 : 수강자 3) 교육매개체 : 교재 4. 안전교육의 형태 1) OJT(On the Job Training) (1) 관리감독자 등 직장상사가 부하직원에 대해서 일상업무를 통해서 지식, 기능, 문제해결 능력, 태도등을 교육훈련 (2) 개별교육 및 추가지도에 적합 (3) 상사의 지도, 조회시의 교육 재직자의 개인지도 등 2) Off JT(Off the Job Training) (1) 초빙강사교육, 사례연구 관.. 산업재해조사 1. 재해조사의 목적 1) 재해원인 규명 2) 적절한 대책수립 3) 동종재해, 유사재해 방지 -> 궁극적으로 사고의 재발 방지 4) 재해조사를 하므로서 원인을 분석 평가, 대책 수립하여 동종유사재해 발생 방지 2. 재해조사의 원칙 1) 유의사항 (1) 조기착수 : 재해발생 후 빨리 착수하여 조사 종료시까지 현장 보존 (2) 사실의 수집 : 재해현장의 상황을 기록(사진, 도면작성, 피해자의 설명 등) (3) 정확성의 확보 : 냉정한 판단, 조사의 순서 방법 효율성 있게 진행 2) 산업재해 발생 보고 : 산업재해로 사망자 또는 3일 이상 휴업이 필요한 부상을 입거나 질병에 걸린 사람이 발생한 경우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하여 관할 지방 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한다. 3. 재해조사 순서 1) 1단계 : 긴급(응급).. 안전보건 개선계획 수립 대상 사업장 1. 안전보건개선계획 수립 1)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종합적 개선조치 필요시 안전보건개선계획 수립시행을 명할 수 있다. 2) 계획수립 시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며 위원회가 없을 경우는 근로자 대표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립한다. 2. 개선계획을 수립, 제출대상 사업장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인 사업장 2)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3)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상시근로자 1천명 이상인 경우 3명이상) 4) 작업환경불량, 화재, 폭발 또는 누출사고 등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사업장 5)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장 3. 안전보건개선 계획의 작성내용 1) 작업공정별 유해위험 분포도 2) 개선계획(공통사.. 안전진단의 대상, 시기, 진단내용 1. 개요 1) 안전진단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잠재적 위험성의 발견과 그 개선대책의 수립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조사. 평가이다. 2) 안전진단은 안전보건관리의 전반적인 사항을 점검하여 관리적, 물적인 면에서 폭 넓게 검토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문제해결의 근원적인 사항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2. 안전진단 대상 1) 자기 안전진단 (1) 사업장이 자체 실시하거나 필요에 따라 외부의 전문가에게 위촉하여 실시 (2) 외부의 저문가에 의한 안전단을 의뢰할 때에는 그 목적이 어디에 있는가를 미리 전문가에게 밝혀 둔다. 2) 명령에 의한 안전진단 (1) 중대재해 발생 사업장 - 사업주가 안전.보건 조치 의무를 불이행하여 발생한 중대재해 발생 사업장 (평균 재해율을 2년간 초과하지 않은 사업장 제외) (2) 안.. 이전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