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82)
NFPA30 인화성 액체와 가연성 액체의 분류 인화성 액체와 가연성 액체의 분류 : 인화성과 가연성 액체의 구분은 인화점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액체에 대한 세부 구분은 인화점과 비점을 기준으로 나누어 진다 1. 인화성 액체(Class Ⅰ) : 인화점 100℉(37.8℃) 미만인 액체 - 인화점과 비점에 따라 ClassⅠA, Class ⅠB, Class ⅠC 로 구분 2. 가연성 액체(Class Ⅱ) : 인화점이 100℉ 이상인 액체 - 인화점에 따라 Class Ⅱ, ⅢA, ⅢB 로 나누어짐 ​ NFPA30 인화성 액체와 가연성 액체의 분류 인화성 액체와 가연성 액체의 분류 : 인화성과 가연성 액체의 구분은 인화점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blog.naver.com
NFPA 704 따른 위험도 평가방법 및 표시 위험도 평가 방법 위험성 등급 건강 위험성 연소 위험성 반응 위험성 4등급 짦은 시간 폭로로 사망, 상해 위험 대기압 상온 완전증발, 분산하여 연소하기 쉬운 물질 수비게 폭굉, 상온 상압하에서 폭발적 분해 3등급 짧은 시간 폭로로 심한 일시적 상해 일반온도에서 발화할 수 있는 액체 및 고체 기폭력에 의해 폭굉 또는 폭발적 분해 2등급 계속된 폭로상태에서 무력감 또는 상해 가능성 있음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발화 상온하에서 화학변화를 하나 폭발하지 않는 물질 1등급 폭로로 인한 자극, 작은 상해 예열하지 않으면 발화하지 않는 물질 온도와 압력 상승하면 불안정해지는 물질, 물과 반응하는 물질 0등급 화재의 조건하에서 폭로하여도 보통 가연성 물질보다 위험 낮음 타지 않는 물질 화재에 노출되어도 안정한 물질, 물..
NFPA에 따른 위험물 분류(NFPA 472) NFPA 472 에서는 위험물을 다음과 같이 8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구분 분류기준 Class 1 : 폭발성 물질(Explosuves Material) 폭발성 물질로서 화학반응에 의해 가연서 ㅇ가스나 반응열을 방출 하는 물질 Class 2 : 가스 물질(Gases Material) 가스상태로 위험을 초래하는 물질로서 인화성 가스, 압축가스, 독성가스 등의 가스 Class 3 : 인화성 액체(Flammable Liquid) 68℉ 이하의 인화점인 액체 Class 4 : 인화성 고체(Flammable Solids) 자연발화성, 자기반응성 물질로서 쉽게 연소되는 물질 Class 5 : 산화성물질 및 유기관산화물 (Oxidizer, Organic Peroxides) 산소를 함유하고..
공정위험성평가 공정변수 공정위험성평가 공정변수 ​
자체감사 면담 및 현장확인 내용 - 2017.05 □ 안전경영과 근로자 참여 1. 공장장 가. 회사의 경영목표로 안전.보건을 우선적으로 강조하고 있는가? 나. 공정안전관리(PSM) 12개 요소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 다. 공정위험성평가, 변경요소관리, 공정사고 및 자체감사 결과의 개선권고사항 및 처리현황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있는가? 라. 사업장 내.외부 PSM 관련 안전.보건 교육훈련계획을 승인하고 그 결과를 보고 받는가? 마. 도급업체 안전관리의 구체적 내용을 잘 알고 있는가? 바. PSM 이행분위기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사. 안전보건활동(위험성평가, 자체감사, 외부 컨설팅 등)과 안전분야 투자를 연계하여 투자계획을 수립하는지? 아. 안전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대비 실적을 평가하며 관련 내용을 근로자들에게 공유하는지? 자...
플레어시스템의 그을음 억제 플레어시스템의 그을음 억제를 위한 스팀주입시 사용되는 제어장치 또는 시스템 ​ 1. 지정된 운전원이 플레어를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서의 수동밸브 2. 연기 생성을 검출한 후 스팀밸브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적외선 센서 3. 스팀 유량을 효과적으로 감시 및 제어하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 4.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 질량유량, 속도를 확인하여 스팀 등의 유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선행제어 시스템 5. 스팀 공급 및 스팀 낭비 방지를 위하여 미세한 변동을 감지하는 계장 시스템 ​
화학설비의 압력시험 1. 일반사항 - 압력시험은 수압시험으로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아래의 경우는 기압시험을 할 수 있다. 1) 물을 구하기가 현저하게 어려운 경우 2) 수압시험 후 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공정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 3) 용기 또는 배관에 가득 채운 물의 무게로 인해 용기, 배관 또는 지지구조에 과다한 응력이 발생할 경우 4) 용기 또는 배관에 가득 채운 물로 인해 용기 및 배관 라이닝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5) 수압시험을 실시할 경우 재질상 문제가 발생할 경우 ​ ​ 2. 시험유체 1) 수압시험 - 수돗물, 정제수, 소방용수, 보일러수 등 독성이 없는 액체를 사용한다.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재질의 용기 및 배관인 경우 염소이온 농도가 50ppm 미만인 물을 사용한다. - ..
블랙스완(Black Swan) 효과 정의 - 존재하지 않을 것 같은 흑조(black swan)가 실제 발견된 이후, 블랙스완은 '불가능하다고 인식된 상황이 실제 발생하는 것' 또는 '예측 불가능한 사건' 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 ​ 안전측면의 블랙스완 - 블랙스완처럼 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실제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확률을 0 으로 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진정한 위기관리는 발생할 확률이 낮아도 피해 규모가 큰 이례적인 상황까지 예상하고 이에 맞는 시나리오를 준비하는 데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