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의 종류 및 특징
열가소성 수지 Polyethylene(PE) : 폴리에틸렌 - 가볍고 유연하며, 공업용재료로부터 일용 잡화까지,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범용 플라스틱 병, 포장재, 전기절연체로 많이 사용됨 Poly vinyl chloride (PVC) : 피브이씨 ; 폴리염화비닐 - 강하고 색을 내기 쉽고, 단단하거나 유연함. 잘 마모되지 않으나 열에는 약함 - 인조가죽, 레코드판, 포장재, 파이프, 전기절연체, 바닥재 사용됨 Polypropylene(pp) : 폴리프로필렌 - 폴리에틸렌과 같이 석유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을 지글러-나타 촉매로 중합시킨 것으로, 저압법 폴리에스틸렌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짐 -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폴리에틸렌 필름보다 투명도가 높고 약간 경질임 - 성형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병, 용기..
유해물질의 처리방법
유해물질의 처리방법 처리방법 정의 특징 흡착법 활성탄 등의 흡착제를 활용하여 유체 중 유해물질 흡착되도록 하는 방법 1. 분자량이 크며 화학적으로 안정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활용 2. 분극화가 용이하며, 분리계수가 크고, 휘발성이 낮은 비용해성 유해물질 제거에 활용 3. 유화현상이 없으며, 부유고형물이 많은 산업폐수에 활용 4. 처리온다가 낮으며, pH에 따라 흡착 효율의 차이가 있음 탈기법 (Stripping) 공기, 스팀 활용 공기 또는 스팀을 주입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1. 분자량이 작으며, 분자의 부피가 큰 유해물질 제거에 활용 2. 분리계수, 증기압, 휘발성이 크고, 비용해성, 화학반응이 적은 유해물질의 제거에 활용 3. 유화현상이 없으며, 부유 고형물이 없는 산업폐수의 정화에 ..
화학설비별 위험물 누출부위와 원인 및 대책
1. 배관 및 밸브, 플랜지 1) 기체와 액체를 이송하는 배관의 접속부위인 플랜지, 가스켓 패킹류의 재질불량, 접속부의 체결불량 등으로 인하여 화학물질 누출 2) 밸브 개폐의 오조작, 댐퍼 차단 등의 불완전한 오조작과 배관 체결부의 볼트 이완, 강도 지하로 화학물질이 누출 3) 고무, 플라스틱제 등의 배관에는 노화, 가열 등에 의한 파손으로 인해 누출이 발생 2. 압축기 및 펌프 1) 회전기기는 진동에 의해 간격발생, 이완 피로파괴가 발생하여 화학물질이 누출 2) 축 등의 실링 파트는 노화, 진동, 이물질 등으로 인해 손상, 파손 등이 발생하여 누출 3. 탑류 및 탱크류 1) 탑 및 탱크류의 파손은 과충진에 의해 이상반응이 발생하고 내부 압력이 상승되어 이로 인해 누설 발생 2) 운전조작의 급변화와 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