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82)
열매체 설비 특징 및 설계시 고려사항 정의 1. 열매체 : 수증기, 물 이외의 유체를 사요하는 열교환 설비를 통해 물질을 간접적으로 가열, 냉각하는 물질 ​ 2. 액상 시스템 : 열매체의 상변화 없이 액상으로 가열, 냉각하는 시스템 ​ 3. 기액상 시스템 : 앨매체의 상변화를 통하여 가열, 냉각하는 시스템 ​ ​ 열매체의 조건 및 선정시 고려사항 조건 선정 시 고려사항 1. 비열, 열전도도, 잠열이 클 것 1. 최대사용가능온도(분해고려) 2. 점도가 낮을 것 2. 열화 여부(수명과의 관계) 3. 증기압이 낮고 비점이 높을 것 3. 인화성이 있을 경우 화재위험 고려 4. 인화점, 자연발화점이 높을 것 4. 유기물과의 반응, 폭발위험 고려 5.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부식성이 낮을 것 5. 열화오염으로 설비의 정지, 보수 고려 6. 가열, 냉각시 ..
열교환기의 목적과 분류, 특징 열교환기 정의 : 열교환기는 열의 전달현상을 이용하여 고온도의 물질에서 저온도의 물질로 열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열 이동이 잘 이루어질수록 효율이 높고 좋은 설비라 할 수 있다. ​ ​ 목적에 따른 종류 종류 설명 열교환기 열을 교환하는 설비의 총이며, 대부분 폐열회수장치의 경우 열교환기라고 함. 냉각기 (Cooler) 고온장치, 물질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설치하는 설비 가열기 (Heater) 저온의 물질에 대하여 온도를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설비 응축기 (Condenser) 증기를 액체로 응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섧비 증발기 (Vaporizer) 액체를 증기로 증발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설비 ​ ​ 구조에 따른 종류 및 사용장소 종류 설명 및 특징 원통형 통 속에 여러 개..
증류시스템 위험물 정체량 감소방법 1. 증류시스템 1) 증류시스템은 증기압 차이가 있는 액체 혼합물을 기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목적 성분을 분리하는 공정이다. ​ 2) 기체 - 액체의 접촉에서 발생하는 물질 이동 및 열 이동을 고려하여 증류시스템을 설계하므로 두상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고 전달저항을 작게하여 물질이동과 열 이동량을 크게 하여야 한다. ​ 3) 증류방식은 단증류와 정류로 나누어지며, 공정의 연속성 측면에서 회분식과 연속식으로 나누어진다. ​ ​ 2. 증류공정에서 위험물질 보유량 최소화 방법 1) 환류시스템 및 리 보일러의 크기를 최소화 2) 탑 내부 콘덴서나 리보일러 시스템 채택 3) 운전효율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정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탑 사용 4) 탑 저부 직경을 작게 함으로써 탑의 저부에 위험물질 정체량 최소화 5)..
반응기 안전설계 시 고려사항 1. 반응기 냉각수 회수부의 온도경보 장치 : 반응기가 운전조건을 벗어나거나, 냉각수의 온도 조절 기능에 실패하였을 경우를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경보 장치를 설치한다. ​ ​ 2. 반응기 원재료 투입 배관에 조절밸브 설치 : 발열반응 시 반응기 온도의 증기가 발생할 경우 원재료의 투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반응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3. 화재 위험이 있는 물질이 원재료일 경우 : 인화점 이상에서 운전할 경우 착화원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인화점 이하에서 가동하거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불활성 가스로 봉입하여야 함. 4. 반응기 온도 경보장치 및 안전설비의 작동 : 반응기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반응폭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원료의 투입중지, 냉각수 공급장치 작동, 시스템 압력조절 장치 ..
저장탱크의 종류 1. 고정식 지붕탱크 Cone Roof Tank(CRT) 1) CRT 는 지붕이 뽀족하고 고정되어 있어 물의 혼입을 방지 할 수 있다. 2) 휘발성이 적어 증기압이 높지 않은 중질유, 경유 등유 등의 저장탱크로 사용 3) 건설비 저렴 ​ ​ ​ 2. 유동형 지붕 탱크 Floating Roof Tank (FRT) 1) FRT는 지붕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계됨 2) 휘발성이 간한 제품들의 손실 방지하기 위함. 3) 지붕의 특성상 빗물 유입의 우려가 있음 ​ 3. 구형 저장탱크 Ball Tank 1) 압력을 쉽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모양으로 제작 2) 보관이 위험하고 압력이 높은 프로탄이나 부탄 같은 제품 저장(액화가스 등) 저장탱크의 종류 1. 고정식 지붕탱크 Cone Roof Tank(CRT) 1) CR..
그라스울 샌드위치 패널의 화재 안전 성능 실험적 연구 1. 개요 샌드위치패널은 건축물 내·외벽 및 지붕구조에 쓰이고 단열성능이 우수한 단열재료 구성된 복합자재이다. 또한, 시공의 편리성 등의 이점으로 시장규모 및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샌드위치패널의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내 부 심재의 화재 확대에 의한 씨랜드 화재사고(99'), 이천 냉동창고 화재사고(08') 등과 같이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발생하는 화재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 샌드위치 패널의 구조적 특징(복합재료)에 의해 내부 심재의 연소 특성에 따라 화재 사고시 플래시오버(Flashover) 등과 같은 급속한 화재 확대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화재 사고 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샌드위치 패널 내부 심재의 난연화 등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 특히,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그라스울 ..
샌드위치 패널 종류 및 화재 위험성 1970년대 국내에 도입된 이후 다양한 용도에 걸쳐 널리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건축재료 중 하나인 샌드위치 패널 은 그 종류에 따라 화재위험성과 보혐요율의 적용이 다양하다. 보험료 절감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샌드위치 패널의 이용에 대해 알아본다. ​ ​ 1. 샌드위치 패널의 구조와 종류 샌드위치 패널은 양면 칼라강판과 단열용 심재로 이루어지며 단열재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 가. 발포폴리스티렌폼 패널 발포 폴리스티렌 폼 패널(Expanded Polystylene Foam Panel)은 심재로 발포 폴리스티렌을 사용하고 외부 표면재는 상∙하 양면에 우수한 재질의 착색 아연도장강판(Pre-coated Steel Sheet)을 특수 열중합방식으로 일체화시킨 패널로서, 단열성능이 ..
분진 폭발강도 및 점화감도의 계산식과 판단기준 분진 폭발강도 및 점화감도의 계산식과 판단기준 USBM에서 정의한 폭발강도 및 점화감도 * 여기서, P max : Maximum explosive pressure (최대 폭발 압력) P : Maximum rate of pressure rise (최대 압력 상승률) Tc : Minimum ignition temperature (최소 발화 온도) E : Minimum ignition energy (최소 발화 에너지) Mc : Minimum explosive concentration (최소 폭발 농도) ​ 계산식에서 ‘Subscript1 (물질1)’은 피츠버그의 석탄분진(Pittsburgh coal dust)을 의미하며, USBM에서 기준 값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Subscript2 (물질2)’는 폭발강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