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82)
폭발위험장소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설계,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8.10 (2/2) 1부. 폭발위험장소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설계,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8.10 (1/2) E - 172 - 2018 폭발위험장소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설계,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 blog.naver.com ​ ​ 11. 회전 전기기계 11.1 일반 사항 (1) 회전 전기기계에 대하여는 추가적인 과부하 보호조치를 강구한다. 다만, 정격전압 및 정격 주파수에서 기동전류를 연속적으로 견딜 수 있는 경우 또는 용인 가능한 가열 범위 내에서 단락전류(발전기의 경우에 한한다)를 견딜 수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2) 회전 전기기계의 과부하 보호를 위한 장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가) 회전 전기기계의 정격전류를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설..
폭발위험장소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설계,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8.10 (1/2) E - 172 - 2018 폭발위험장소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설계,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8.10 ​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11조(폭발위험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선정 등)에 의거, 인화성 액체의 증기 또는 인화성 가스(이하 “가스 등”이라 한다) 및 가연성 분진으로 인한 화재·폭발의 위험이 있는 장소(이하 “폭발위험장소”라 한다)에서 사용하는 방폭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하여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 ​ 2. 적용 범위 2.1 적용 범위 (2) 이 지침은 비폭발위험장소에서의 전기설비 요구사항에 추가하여 적용한다. ​ ​ 2.2 적용 제외 이 지침은 다음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1)..
사고시나리오에 따른 비상대응계획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7.10 P – 163 - 2017 사고시나리오에 따른 비상대응계획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7.10 ​ 1. 목 적 이 지침은 화학물질의 누출, 화재, 폭발과 같은 사고시나리오에 대해 사업장에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대응계획을 작성할 때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물질의 누출, 화재, 폭발과 같은 사고에 대해 KOSHA GUIDE P-101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에 따라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비상대응계획을 작성하고자 하는 모든 사업장에 대해 적용하며, 사업장 스스로 비상대응계획을 작성하고자 할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 ​ ​ 3. 용어의 정의 (1) “비등액체팽창증기폭발 (Boiling liqu..
연소 소각법에 의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처리설비의 기술 지침(KOSHA GUIDE) - 2021.12 P - 66 - 2021 연소 소각법에 의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처리설비의 기술 지침(KOSHA GUIDE) - 2021. 12. 연소 소각법에 의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처리설비의 기술 지침 제안 개요 I. 제정 이유 NFPA86StandardforOvensandFurnaces, KOSHAGUIDED- 1–2021피압 배관에서의 폭연 폭발 후 설치에 관한 기술 지침과 이 전면 개정됨에 따라 변경사항을 개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II. 제정(안)의 주요 내용 1. 폭발 방산구 크기 계산 방법 ​ ​ III. 참조된 규격 및 관련 자료 - NFPA86StandardforOvensandFurnaces2019 - NFPA68StandardonExplosionProtectionbyDefla..
회분식 공정의 위험과 운전분석(HAZOP)기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7.05 P - 86 - 2017 회분식 공정의 위험과 운전분석(HAZOP)기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7.05 ​ 1. 목 적 이 지침은 회분식 공정의 위험과 운전분석(이하 “위험성평가”라고 한다)기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공장 등의 회분식 공정에서의 위험성평가에 적용한다. ​ ​ 3. 용어의 정의 3.1 “위험과 운전분석 (Hazard and operability(HAZOP) study)”이라 함은 공정에 존재하는 위험요인과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운전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그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을 말한다. ​ 3.2 “위험요인 (Hazard)”이라 함은 인적․물적손실 및 환경피해를 일으키는 요인(요소) ..
반도체 제조공정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2.11 P-127-2012 반도체 제조공정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2.11 1. 목적 이 기술지침은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화재폭발 사고방지를 위해 요구되는 설비의 기준, 재료, 고압용기 등의 안전 취급 작업과 유지 보수의 기준, 그리고 비상 대응책 등의 안전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고 공정설비의 본질적 안전, 검사 체제와 작업 관리 확립에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반도체제조공정 또는 반도체용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 3. 정 의 3.1 “반도체 제조 공정”이라 함은 집적 회로를 제조하는 반도체칩 제조 공정 중에서 적층성장(Epitaxial Growth), 산화, 사진식각공정(Photolithography), ..
독성가스 취급시설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6.12 P - 153 - 2016 독성가스 취급시설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6.12 ​ 1. 목 적 이 지침은 사업장에서 저장, 취급 또는 제조하는 독성가스에 의한 사고 방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 ​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일반적으로 독성가스나 급성 독성물질 중 상온·상압에서 기화에 의해 유해성이 있는 독성물질을 저장, 취급 또는 제조하는 사업장에 적용한다. 단, 국내 타 법규에서 적용하는 사항은 해당 법규를 적용한다. ​ ​ ​ 3. 용어의 정의 3.1 “독성가스”란 공기 중에 일정량 이상 존재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독성을 가진 가스로서 허용농도(해당 가스를 성숙한 흰쥐 집단에게 대기 중에서 1시간 동안 계속하여 노출시킨 경우 14일 이내에 ..
불활성가스 치환에 관한 기술 지침(KOSHA GUIDE) - 2011.12 P - 80 - 2011 불활성가스 치환에 관한 기술 지침(KOSHA GUIDE) - 2011.12 ​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규칙”이라 한다) 제2장(폭발․화재 및 위험물 누출에 의한 위험방지) 규정에 의하여 화학설비의 점검․정비 시 화재․폭발을 예방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불활성가스 치환(Purging)에 관한 지침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설비의 점검․정비를 위하여 불활성가스를 주입하는 작업에 적용한다. ​ ​ ​ 3. 용어의 정의 3.1 “인너팅(Inerting)”이라 함은 산소농도를 안전한 농도로 낮추기 위하여 불활성가스를 용기에 주입하는 것을 말한다. ​ 3.2 “치환(Purging)”이라 함은 가연성가스 또는 증기에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