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82)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동전 안전점검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2.07 P - 97 - 2012 가동전 안전점검에 관한 기술지침 1. 목 적 이 지침은「산업안전보건법」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의7(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에서 정한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될 내용 중 가동전 안전점검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사업장에서 새로운 설비의 설치, 공정․설비의 변경 또는 공정․설비의 정비․보수 후 공장의 안전운전을 위하여 설비 가동전 실시하는 제반 안전점검(이하 “가동전 점검” 또는 “점검”이라 한다)에 적용한다. 3. 정의 (1) “시운전(Start-up)”이라 함은 기계설비의 설치를 완료하고 작동을 개시하여 단일기기 또는..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2.07 P - 101 - 2012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 2,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의 6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0조의 2의 규정에 의해 비상조치계획수립에 대한 지침을 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비상사태의 구분 (1) 비상사태는 조업상의 비상사태와 자연 재해로 구분한다. (2) 조업상의 비상사태는 다음의 경우를 말한다. (가) 중대한 화재사고가 발생한 경우 (나) 중대한 폭발사고가 발생한 경우 (다) 독성화학물질의 누출사고 또는 환경오염 사고가 발생한 경우 (라) 인근지역의 비상사태 영향이 사업장으로 파급될 우려가 있는 경우 (3) 자연재해는 태풍, 폭우 및 지진 등 천재지변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3. 비.. 작업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20.12 P - 140 - 2020 작업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 1. 목적 작업수행 과정의 작업행위와 관련된 잠재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안전작업절차를 마련하고자 수행하는 작업위험성평가에 관한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작업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작업순서 등의 절차를 마련하는 방법으로, 모든 종류의 작업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작업수행과정의 연계된 시설, 설비 개선 등에 대한 평가에는 동 지침의 적용을 제외한다. 3. 정의 (가) “작업위험성평가 (Job risk assessment)”라 함은 모든 작업에 대하여 유해위험요인(Hazards)을 파악하고 안전한 작업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 안전밸브 배출배관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8.11 안전밸브 배출배관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8.11 1. 목 적 이 지침은 안전밸브 배출배관의 설계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안전밸브 토출측을 대기로 배출하거나 배기처리설비로 연결하는 배출 배관에 적용될 수 있다. 3. 용어의 정의 1) “최대 허용배압 (MABP, Maximum allowable back pressure)”이라 함은 안전밸브 작동 시 배압에 의해 안전밸브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안전밸브 토출측에 작용될 수 있는 최대의 배압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일반형(Conventional type) 안전밸브의 경우에는 안전밸브 설정압력의 10% 이내이며, 벨로우즈형 안전밸브의 경우에는 안전밸브 설정압력의 .. 공정안전성 분석(K-PSR)기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2.07 공정안전성 분석(K-PSR)기법에 관한 기술지침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동법시행령」제33조의7(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및 「같은 법 시행규칙」제130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규정에 의하여 사업주가 수행하여야 할 공정위험성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 중 공정안전성 분석기법에 관한 기술적 내용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공장의 연속식 공정과 회분식 공정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에 적용한다. 특히 설치․가동중인 기존의 화학공장에서 위험과 운전분석(HAZOP) 기법 등으로 위험성평가를 실시한 후, 다시 공정상의 안전성을 재검토 또는 분석하는데 활용한다. 3. 정의 3.1 “공정안전성 분석 .. 공정사고 조사계획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2.07 P-100-2012 공정사고 조사계획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2.07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의6(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에 따라, 사업주가 작성하여야 할 공정안전보고서 세부내용 중 하나인 공정사고 조사계획 및 시행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법 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에 따라,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한 대상공정에서 발생한 공정사고 및 아차사고(Near miss)를 조사하는 경우에 적용 한다. 3. 정의 3.1 “공정사고”란 화재․폭발․위험물질 누출.. 화학공장의 인터록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3.09 P-133-2013 화학공장의 인터록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3.09 1. 목적 이 지침은 화학공장의 안전한 가동 및 중지를 위하여 설치된 인터록의 운영에 관한 절차 및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하여 안전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공장의 안전운전을 위하여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장치 중에서 인터록의 신설, 수정, 삭제, 설정값 변경 및 우회(Bypass)의 설정 및 해지에 대하여 적용한다. 3. 정의 1) “인터록 (Interlock)”이라 함은 기기장치, 설비 및 공정의 안전성 확보와 공정의 안전운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제어장치를 말한다. 2) “설정값.. 자체감사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2.07 P-99-2012 자체감사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2.07 1. 목적 : 공정안전보고서 내용을 각 담당부서가 성실히 이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자체감사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2. 감사계획 2.1 감사계획수립 1) 감사를 주관하는 부서의 장은 감사를 시행하기 전에 감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2 감사계획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감사일정 2) 감사팀 구성 및 감사요원의 역할 및 책임 3) 감사대상 범위(사업장, 공정조직) 4) 감사기준 5) 감사절차 6) 감사보고서 작성 및 조치 2.2 감사주기 1) 공정안전보고서에 규정한 대로 이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 확인하기 위하여 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감사를 실시하여야 ..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