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폭발위험장소

(6)
위험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인화성 액체 취급장소에서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5.06 E- 143- 2015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인화성 액체 취급장소에서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15.06 ​1. 목적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0조(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정 및 관리) 및 안전보건기술지침(가스 폭발위험장소의 설정 및 관리에 관한 기술 기준)에 따라 인화성 액체를 사용·취급 또는 저장하는 장소 등에서의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2. 적용 범위(1) 이 지침은 인화성 액체를 사용·취급 또는 저장하는 설비 등에 적용한다.(2) 이 지침은 베셀·배관·탱크 또는 시스템에서 예측하기 곤란한 대규모의 파열이나 누출사고, 그리고 과산소분위기 또는 자연 발화성 물질에는 적용하지 않는다.​​​3...
KS C IEC 60079-10-1(2020) 개정사항 KS C IEC 60079-10-1(2020) 개정사항개정 전(KS IEC 60079-10-1:2015 ed.2)개정 후(KS IEC 60079-10-1:2020 ed.3)1. 적용범위e) 저압의 연료가스가 취사, (water heating), 기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상업용 및 산업용 기기(appliances) 다만, 해당설비(installation)가 관련 가스 코드 부합되는 경우에 한함.5.3.2 연료가스 설비저압의 연료가스만 사용되고 취사, 물의 가열 및 이와 유사한 용도인 상업용 및 산업용 설비는 가스 관련 코드를 적용한다.​대부분의 경우, 가스 관련 코드에 적합하다면 비폭발위험장소로 구분되거나 무시할 수 있는 범위의 장소(NE)가 될 수 있다.​모든 산업에서 KS C IEC 60079-10..
혼합물(인화점 40℃~45℃)의 폭발위험장소 설정 검토 인화성 액체의 휘발성 증기압력과 증발 엔탈피(열)과 주로 고나련된다. 증기압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 끓는점과 인화점을 가이드로 사용할 수 있다. 폭발 분위기는 인화점이 인화성 액체의 최고 사용온도보다 높다면 존재할 수 없다(비고 1 참조). 인화점이 낮으면 낮을수록 폭발 부위기의 범위는 더 커질 수 있다. 그러나 인화성 물질이 안개(분무)형태로 누출된다면, 폭발위험 분위기는 그 물질의 인화점 이하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 비고1. 인화점에 대한 주어진 실험값이나 발행 본이 정확히 기록되지 않을 수 있고 시험데이터도 달라질 수 있다. 인화점이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는 한, 인용값에 대한 약간의 오차는 허용된다. 혼합물의 경우, 순수 액체의 인화점보다 ±5℃ 넘는 허용오차는 특이하지 않다. ​ 비고2. ..
혼합가스 가연성여부 판단 및 LFL 계산(KS B ISO 10156:2017) 혼합가스 가연성여부 판단 및 LFL 계산(KS B ISO 10156:2017) ​ 혼합가스 LFL 계산 질의 (KGS) - KS B ISO 10156을 기준으로 혼합가스의 가연성여부 및 LFL을 계산하고 있음 ​ 내용) 안녕하십니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0조에 이거, 폭발위험장소 계산은 KS표준(KS C IEC 60079-10-1:2015)을 따르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상기 폭발위험장소 계산시 적용하는 LEL 관련 질의 드립니다. ​ 당사에서는 배관을 통해 COG 및 부생가스(H2, CH4, CO, N2 등을 함유한 혼합가스)를 취급하고 있으며, 배관의 부속설비(Valve, Flange 부위 등)에 대해 누출원으로 구분하여 폭발위험장소를 계산하고자 합니다. ​ ※ 참고(COG 및 부생가..
NFPA 497 Chemical (Vapor) Classifi cation NFPA 497 Chemical (Vapor) Classifi cation NFPA 497 Chemical (Vapor) Classifi cation NFPA 497 Chemical (Vapor) Classifi cation #방폭 #방폭등급 #폭발위험장소 blog.naver.com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20.12 E - 180 - 2020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 2020.12 관련규격 및 자료 - KS C IEC 60079-10-1(폭발분위기- 제10-1부 :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 NFPA 497(Recommended practice for the classification of flammable liquids, gases, or vapors and of hazardous location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at chemical process areas) - EI 15(Area classification code for installations handling flammable fluids) - EN 1127-1(Explosive At..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