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777)
Flash Over(플래시 오버), Back Draft(백 드래프트) Flash Over (플래시 오버) - 구획된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의 확산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시적으로 급속히 증가하는 구간이 발생하는데, 이 구간을 플래시 오버라 함. - 플래시 오버의 발생은 초기 가연물의 불완전연소에 의한 CO 등의 발생과 가연물 온도상승이 이루어진 후 화염이 천장, 벽면으로 확대되며 복사열의 증가로 일시에 건물 내부(구획된 실)의 가연물이 착화되어 화염에 휩싸이게 되는 현상 Back Draft (백 드래프트) - 구획된 실내에서의 화재가 최성기 이후 공기량의 부족으로 불완전연소(CO 다량발생) 중 출입문 등의 개방에 의해 공기의 유입으로 급속한 연소가 발생하여 과압이 방출되는 현상 Flash Over 와 Back Draft 비교 구분 Flash Over Back D..
Forth Over, Slop Over, Boil Over Forth Over - 유류저장탱크의 내부에 고온의 물질, 즉 아스팔트 등이 들어갈 경우 유류 표면에서 액체가 끓어 외부로 넘치는 현상 - 이러한 Forth Over는 유류가 외부로 넘침 현상에 이해 탱크 외부로 튀어나가게 되어 위험물질의 누출과 관계가 있는 위험성이다. Slop Over - 유류저장탱크의 표면화재 시 물(소화약제)이 액체 표면에 방사도리 경우 높은 온도로 인하여 물이 증발과 함께 액면에서 튀기게 됨으로써 화염과 유류물질이 같이 탱크 외부로 튀겨 분출되는 현상 - Slop Over 발생시 화재의 확산과 더불어 주변의설비에 영향을 미치게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함. Boil Over - 유류탱크 내부의 물이 들어가 탱크 하부에 체류하게 되고 외부로부터 탱크가 열을 받게 될 경우 바닥에 체류되..
Pool Fire(액면화재) Pool Fire(액면화재) 1. 액면에서 발생하는 화재로서 인화성.가연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화재 2. 인화성.가연성 액체의 표면에서의 인화성 증기가 발생하고 착화원에 의하여 착화될 경우 액면에서의 화재확산이 일어나 액면 상부에 화염이 형성되어 화재가 지속됨. 3. 액면화재의 경우 연소속도는 액면강화속도로 표면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인화성 물질의 발열량과 증발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연소하는 속도가 액면에서 물질마다 일정하기 때문 4. 액면강하속도가 연소속도를 나타냄 5. 액면 아래 온도분포로서 액체의 인화점에 도달하여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액면 아래의 온도분포에 영향을 받음 6. 화염의 높이에 따라 주변 복사열의 영향을 줌 7. 바람에 의한 화염경사가 접촉화염에 의한 화염 확산과 예열에 영향을 줌
Jet Fire(분출 화재) Jet Fire(분출화재) 1. 연료가스가 배관을 토앟여 분출시 발생하는 화재로서 연료가스가 분출되어 공기와 혼합되면서 화염을 형성하게 됨. 2. 연소는 확산연소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연료의 분출속도와 외부 공기의 흐름에 따라 화염의 크기와 ㅣㄹ이에 영향을 받게 됨. 3. 연료가스 배관의 플랜지, 배관의 구멍, 이음새에서의 가스누출 후 외부로부터의 착화에 의해 발생됨.
업무상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인정기준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별표3] 업무상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인정 기준 1. 뇌혈관 질병 또는 심장 질병 가.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원인으로 뇌실질내출혈(腦實質內出血), 지주막하출혈(蜘蛛膜下出血), 뇌경색, 심근경색증, 해리성 대동맥자루(대동맥 혈관벽의 중막이 내층과 외층으로 찢어져 혹을 형성하는 질병)가 발병한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본다. 다만, 자연발생적으로 악화되어 발병한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보지 않는다. 1) 업무와 관련한 돌발적이고 예측 곤란한 정도의 긴장ㆍ흥분ㆍ공포ㆍ놀람 등과 급격한 업무 환경의 변화로 뚜렷한 생리적 변화가 생긴 경우 2) 업무의 양ㆍ시간ㆍ강도ㆍ책임 및 업무 환경의 변화 등으로 발병 전 단기간 동안 업무상 부담이 증가하여 뇌혈관 또는 심장혈관의 정상적인 기능에 뚜렷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육체적ㆍ..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 조사 및 대책 근골격계부담작업 이란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에 의한 건강장해에 따른 근골격계부담작업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을 말한다. 다만, 단기간작업 또는 간헐적인 작업은 제외한다. 1. 하루에 4시간 이상 집중적으로 자료입력 등을 위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2.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 어깨, 팔꿈치, 손목 또는 손을 사용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작업 3.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머리 위에 손이 있거나, 팔꿈치가 어깨위에 있거나, 팔꿈치를 몸통으로부터 들거나, 팔꿈치를 몸통뒤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4. 지지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임의로 자세를 바꿀 수 없는 조건에서,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이나 허리를 구부리거나 트는 상태에서..
근골격계 부담작업 종류 - 고시 근골격계 부담작업 : 근골격계 부담작업이란 단순박복자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서 작업량, 작업속도, 작업강도 및 작업장 구조 등에 따라 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작업을 말한다. 다만, 단기간 작업 또는 간헐적인 작업은 제외한다. ※ "단기간 작업" 2개월 이내 종료되는 1회성 작업 "간헐적인 작업" 연간 총 작업일수가 60일 초과하지 않는 작업 근골격계 부담작업의 내용 1. 하루에 4시간 이상 집중적으로 자료입력 등을 위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2.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 어깨, 팔꿈치, 손목 또는 손을 사용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작업 3.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머리 위에 손이 있거나, 팔꿈치가 어깨위에 있거나, 팔꿈치를 몸통으로부터 들거나, 팔꿈치를 몸통뒤..
건강 유해성 위험요소 및 확인자료 건강 유해성의 잠재적인 위험요소 1. 물질 성상 : 액체, 증기, 분진, 흄, 에어로졸 2. 물질의 침입형태 : 호흡, 신체흡수, 섭취, 주입(피부 손상) 3. 가능한 손상 : 폐, 피부, 눈, 귀, 신경계통, 간장, 신장, 생식기, 순환계통 등 건강위험 확인에 필요한 자료 1. 허용농도(TLV) 2. 물리적 상태 3. 액체의 증기압 4. 온도와 충격에 대한 물질의 감도 5. 반응속도와 반응열 6. 위험성이 높은 부생성물의 생성 7. 다른 화학물질과의 반응성 8. 물질의 폭발한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