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77)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교 분류 기준(희석, 뱃치, 농축, 내삽, 유사혼합물, 에어로졸) 1. 희석 1) 혼합물의 함유 성분 중 가장 낮은 독성을 가지는 물질과 독성이 같거나 낮은 물질로 혼합물을 희석하는 경우 새로 만들어진 혼합물은 희석시키기 전의 혼합물과 동일한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이 경우 희석시키는 성분이 혼합물의 다른 성분의 독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에 한한다. 2. 뱃치(Batch) 1) 동일한 뱃치에서 생산된 혼합물과 같은 생산업체에서 생산 관리되는 동종(다른 제조 뱃치) 생산품의 독성은 동등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2) 뱃치가 달라져 독성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분류를 적용하여야 한다. 3. 농축 : 혼합물이 유해.위험성 물질에 해당되고, 혼합물의 구성 성분 중 유해.위험성 물질의 성분에 증가하면, 새로운 혼합물은 추가시험 없이 유해.위험성 물질로 분류한다.. 금수성 물질의 안전대책 1. 정의 : 금수성 물질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인화성) 가스를 발생시키거나, 자연발화되는 고체, 액체 또는 화합물로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는 제3류 위험물에 속하며,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물 반응성 물질이다. 2. 금수성 물질의 예시 및 반응식 1) 리튬 : 2 LI + 2 H2O -> 2 LiOH + H2 2) 나트륨 : 2 Na + 2 H2O -> 2 NaOH + H2 3) 칼륨 : 2 K + 2 H2O -> 2 KOH + H2 3. 금수성 물질의 저장. 취급시 안전대책 1) 금속은 실온으로 저장하며, 저장용기는 건조하고 내화시설이 되어 있는 저장실에 저장한다. 2) 나트륨, 칼륨 등 알칼리 금속은 석유, 등유 등 산소가 함유되지 않은 석유류 속에 저장하고, 저장용기는 부식, 균열 등에 대해 주기적으로 .. 증기위험도 지수(VHI : Vapor Harzard Index), 충격감도 증기위험도 지수 1. 정의 : 증기위험도 지수(VHI : Vapor Harzard Index)는 허용농도와 포화증기농도의 비로써 표현하며, 물질으 ㅣ분자가 공기 중에 포화되었을 경우 허용농도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수 2. 계산식 여기서, K : 허용농도(ppm), Pmax : 포화증기압(mmHg), VHI : 증기위험도 지수 3, 의미 : 증기위험도 지수는 중독 위험이 있는 물질이 대기 중에서 증기로 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며, 유기 용제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판단지표에 적합하다. 또한 수식으로부터 판단할 수 있듯이 Pmax(포화증기압)은 온도에 함수로써 온도가 증가할 경우 VHI 값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유기 용제의 경우 온도가 증가할 경우 위험도는 증가하는 것이다. 충격감도 1, 독성물질.. 반응기 안전 부속설비 1. 계측제어장치 : 반응기의 상태를 인지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온도계, 유량계 압력계, 액위 측정장치, 조성 측정장치 등을 설치하며, 이러한 측정장치들은 공정 제어를 위하여 밸브 등의 장치들과 연동되어 있다. 2. 긴급차단장치 : 계측장비가 이상상태 또는 운전구간을 벗어날 경우 반응폭주 등의 위험이 있어 원료의 공급을 긴급하게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 3. 원료의 제품 등 입구,출구 : 반응기에는 원료를 공급하는 입구와 제품 또는 반제품을 배출하는 출가가 설치되어 있다. 4. 맨홀 : 반응기의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설치하느 ㄴ것으로 특히 유지보수 시 산소결핍 및 독성가스(유해가스)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5. 촉매, 부촉매 등의 투입구 : 화학공장에서 반응 촉진을 위하여 촉매를 사용하.. 산화와 환원 1. 산화와 환원 정의 구분 산화 환원 산소 물질이 산소와 결합할때 발생 산화물이 산소를 잃을 때 발생 수소 수소 화합물이 수소를 잃을 때 발생 물질이 수소와 결합할 때 발생 전자 전자를 잃을 때 발생 전자를 얻을 때 발생 산화수 산화수가 증가할 때 발생 산화수가 감소할 때 발생 2. 산화제와 환원제 산화제 환원제 산소를 발출하기 쉬운 물질 산소와 결합하기 쉬운물질 수소와 결합하기 쉬운 물질 수소화합물로 수소를 잃기 쉬운 물질 전자를 얻기 쉬운 물질 전자를 잃는 물질 자신이 환원되기 쉬운물질 자신이 산화되는 물질 남을 산화시키는 물질 남을 환원시키는 물질 - , , , , 반응열의 종류, 반응속도의 영향요소 반응열의 종류 1. 생성열 - 1몰의 화학물이 그 성분 원소들로부터 생성될 때 발생 또는 흡수되는 열량 - 생성되는 물질에 따라 생성열은 동일 2. 연소열 - 물질 1몰이 완전 연소할 경우 발생하는 열량 -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는 경우 연소열이 발생하며, 물질마다 동일한 열량 3. 중화열 :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즉 중화하여 1몰의 물질을 만들 때 생성되는 열 4. 융해열 : 물질 1몰이 다량의 용매에 용해되면서 발생하거나 흡수하는 열량 5. 분해열 : 물질 1몰이 성분원소들에서 분해될 때 발생 또는 흡수되는 열 6. 희석열 : 물질 1몰을 녹여서 어느 정도 농도가 된 용액을 다시 희석시킬 때 발생 또는 흡수되는 열이다. 7. 전리열 : 전해질을 녹여서 용해와 동시에 전리가 발새할 때 발생하는 열 화학.. 화학결합의 종류, 특성, 세기 1. 개요 : 화학결합은 이온결합, 배위결합, 공유결합, 수소결합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의 종류에 따라 화학물질의 위험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 화학결합의 이해는 화학공정의 안전을 이해하는데 기본이 되는 지식 2. 화학결합의 종류 와 특성 1) 이온결합 (1) 정의 : 이온결합은 전자를 잃기 쉬운 원소와 얻기 쉬운 원소 간에 결합하는 것이다. (2) 특성 - 비등점과 용융저밍 높다 - 전기가 잘 통하는 특징이 있다. - 극성용매에 잘 용해된다. 2) 배위결합 (1) 정의 : 비공유 전자쌍을 지니고 이쓴ㄴ 분자나 이온이 전자쌍을 제공하는 결합으로, 배위라는 용어는 공간적인 배치를 나타내며, 배위결합 화합물 줄에는 복잡한 공간적인 배치를 하는 화합물이 많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2) 특성 -..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 동소체, 동위원소, 동종원소 설명 1. 화학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 1) 물리적 성질 : 물질의 외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성질, 색, 용해도, 비중, 비등점, 밀도 등이 물리적 성질에 속한다. 2) 화학적 성질 : 물질의 본질적 성질이 변화되어 전혀 다른 물질로 변화되는 것 2. 동소체 : 한가지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나, 물리적 성질이 다른 것 3. 동위원소 : 원자핵 속의양자 수는 같으나 질량수가 다른 것으로 원자번호는 같으나 중성자의 수가 달라서 화학적 성질은 같고 물리적 성질이 다른 것. 4. 동종원소 : 질량수만 같고 원자번호가 다른 원소이다. 이전 1 ··· 79 80 81 82 83 84 85 ··· 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