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777)
화염검출기(Flame Eye) 1. 개요 1) 화염의 유뮤를 검출하는 장치로서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다. 2) 수고아부의 종류에 따라 적외선(8,000Å 이상)을 검출하는 황화납 셀, 가시광선(4,000 ~ 8,000Å)을 검출하는 황화 카드뮴 셀 및 광전관, 자외선(4,000Å 이하) 을 검출하는 자외선 광전관 등이 있다. 3) 화염검출기는 아래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 정해진 조건의 화염을 정확히 검출할 것 (2) 정해진 조건의 화염을 검출하며 오검출하지 않을 것 (3) 검출된 화염발생 신호를 전기적 외란의 영향을 받지 안혹 정확하게 전송할 것 (4) 유기관리가 쉬우며, 사용연수가 길 것 ※ Å 길이 단위이며, 옴스트롱이라고 읽음. 2. 화염검출기 종류 1) 광전관 화염검출기 (1) 불꽃으로부터 빛을 금..
정전기의 발생원인 및 위험성, 안전대책 정전기의 정의 : 물체가 어떠한 대전현상에 의해 음전기 또는 양전기를 띠게 되는 현상을 정전기라 하며, 이러한 정전기는 방전현상을 일으켜 점화원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정전기의 발생원인 종류 설명 물질의 특성 1. 물질의 접촉과 분리에 따른 대전작용에 의해 발생 2. 서로 다른 물질이 접촉될 경우의 전자이동과 불리될 경우의 한 표면에 남아 있는 전자의 양에 따라 물질이 양전자하 또는 음전하 대전되는 현상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3. 대전현상은 서로 다른 물질의 특성에 따른 정전유도 현상과 정전차폐 현상에 의해 발생하다. ※ 대전서열의 차이가 큰 물질이 접촉할 경우 대전량이 많아지며, 대전서열은 금속, 섬유, 천연물질, 합성수지 등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4. 물질의 전도체 또는 부도체 특성에 따라 정전유도..
정전기 발생의 영향요소 및 대전, 방전 종류 정전기 발생의 영향요소 영향요소 설명 고유전기 저항 - 고체의 경우 물체의 정전유도 현상에 영향을 받는데 일반적으로 전기부도체일수록 정전기를 ㄹ발생하기 쉬우며, 또한 대전서열이 높은 물체와 낮은 물체의 접촉 또는 분리에 의해 정전기 발생이 쉽다. - 액체가 유동 또는 분무될 경우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는데, 그 액체의 고유전기 저항치가 클수록 정전기를 발생하기 쉬워, 통상적으로 10^13 Ω cm 이상의 경우 매우 위험하며, 10^6 Ω cm 이하의 경우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마찰 - 고체 간 또는 고체와 액체 간의 마찰에서 마찰표면이 거칠수록 정전기 발생이 쉽다. 유속 - 유체가 흐르는 배관에서는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고이러한 정전기는 유체에 의해 이동하게 됨으로 이것을 유동전류라 부른다. 이..
산업현장 사고 발생 시 대응요령 -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법 제51조(사업주의 작업중지)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을 때에는 즉시 작업을 중지시키고 근로자를 작업장소에서 대피시키는 등 안전 및 보건에 관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제52조(근로자의 작업중지) ① 근로자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라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한 근로자는 지체 없이 그 사실을 관리감독자 또는 그 밖에 부서의 장(이하 “관리감독자등”이라 한다)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③ 관리감독자등은 제2항에 따른 보고를 받으면 안전 및 보건에 관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④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다고 근로자가 믿을 만한 합리적인 이유가 있을 때에는 제1항에 따라 작업을 중..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선임대상, 업무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선임 등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의 사업주는 법 제19조제1항(안전보건관리담당자)에 따라 상시근로자 20명 이상 50명 미만인 사업장에 안전보건관리담당자를 1명 이상 선임해야 한다. 1. 제조업 2. 임업 3.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4.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 5. 환경 정화 및 복원업 ② 안전보건관리담당자는 해당 사업장 소속 근로자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1. 제17조(안전관리자)에 따른 안전관리자의 자격을 갖추었을 것 2. 제21조(보건관리자)에 따른 보건관리자의 자격을 갖추었을 것 3.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직무교육(8시간) 안전보건교육을 이수했을 것 ③ 안전보건관리담당자는 업무에 지장이 없는 범위..
폭발보호방법 폭발보호방법 폭발보호 내용 관련 장치 봉쇄 - 장치나 건물 등이 폭발압력에 견디도록 설치하는 방법 압력용기, 방폭벽 등 차단 - 폭발 발생이 감지될 경우 폭발의 에너지원이 되는 물질의 공급을 차단하는 방법 감지장치, 차단밸브 등 제거 - 폭발의 발화원이 되는 초기 연소현상을 감지하여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발화원을 제거함으로써 폭발을 방지하는 방법 -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해 폭발발생이 감지될 경우 그 물질을 다른 곳으로 이송하는 방법 - 감지장치, 소화설비 등 - 물질 이동설비 억제 - 불활성화 방법을 사용하여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느 물질을 취급, 저장하는 장치에 대해 폭발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방법 - 불활성화 장치 배출 - 과압이 발생한 경우 그 과압을 외부로 배출하여 폭발 발생을 제어..
훈소 정의 -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가연성 가스가 주변의 오녿 저하로 인한여 가연성 증기화(액체 미립자) 하거나 불완전연소에 의해 작은 가연성 증기(액적 미립자) 형태로 발생하는 연소현상 - 일반적으로 산소농도가 15% 이하인 경우 발생하며, 곡물창고나 왕겨 등이 쌓여 있는 곳에서 많이 발생하는 현상 -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훈소의 연소는 담뱃불과 같이 불꽃이 없이 연기만 내고 중심에서는 불꽃만을 갖는 느린 화학반응으로 심부화재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 특성 특성인자 설명 화학반응 반응속도가 느린 화학반응 연기발생량 다량의 미세 액적의 연기를 발생시킴 발열량 발열량이 높다 유해성 연소생성물 중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케톤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유해화학물질로 흡입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친다. 연기 ..
스폴링 현상(폭열현상) 정의 : 콘크리트의 폭열현상은 콘크리트가 열 접촉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일정온도 이상이 되몀ㄴ 급격히 강도가 저하되며, 콘크리트의 일부가 박리, 조깨지는 현상을 폭열현상이라 함 발생메커니즘 1. 100~200℃ 에서 콘크리트 내부 물리적 결합수 분해 증발 2. 300~400℃ 에서 콘크리트 내부 화학적 결합수 분해 증발 3. 500~1,000℃ 에서 콘크리트 폭열현상 및 900℃ 전후에서 골재폭열 발생 : 콘크리트의 폭열현상은 내부 수분의 수증기화에 따라 부피팽창에 의한 폭발적ㄱ인 압력증가로 발생하며, 골재의 경우에도 900℃ 전후에서 폭여링 발생한다. 4. 1,000℃ 이상에서는 콘크리트가 녹아 내리는 현상이 발생 콘크리트 폭열에 대한 대책 1. 초기 화재시 화재를 진화하도록 하여야 함 2. 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