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777)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작업의 종류 점검내용 1.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가.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나. 크랭크축ㆍ플라이휠ㆍ슬라이드ㆍ연결봉 및 연결 나사의 풀림 여부 다. 1행정 1정지기구ㆍ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 의 기능 라. 슬라이드 또는 칼날에 의한 위험방지 기구의 기능 마.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바. 방호장치의 기능 사. 전단기의 칼날 및 테이블의 상태 2. 로봇의 작동 범위에서 그 로봇에 관하여 교시 등(로봇의 동력원을 차단하고 하는 것은 제외한다.)의 작업을 할 때 가. 외부 전선의 피복 또는 외장의 손상 유무 나.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 작동의 이상 유무 다. 제동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3. 공기압축기를 가동할 때 가. 공기저장 압력용기의 외관 상태 나. 드레인밸브(..
중대재해조사 업무 처리 흐름도 재해조사 처리 흐름도 중대재해 사법처리 일반적인 절차(원·하청 벌칙 규정 만 상이) ○ (참고인 조사) 목격자 등 대상 발생 원인 및 법 위반사항 등 조사 ○ (범죄인지) 법 위반사항 발견 시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입건 조치 ※ 책임자에게 법 위반사항 및 사전 개선하지 못한 사유 등 변명기회 부여 ○ (송치서류 작성) 피의자 신문 및 수사결과 보고 등 송치서류 작성 ○ (사건송치) 관할 지방검찰청으로 사건 관련 서류 일체 송치 종결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업종 심사, 확인 목록 및 체크리스트 ㅇ “법”이란 “산업안전보건법”, “규칙”이란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을 말한다. ㅇ “심사및확인결과”란 기재요령 - “해당무”, “적정”, “조건부적정” 및 “부적정”으로 구분하여 기재 - “조건부적정”과 “부적정”은 설치공사 중에 개선가능 여부를 기준으로 구별하고, “조건부적정” 또는 “부적정”에 해당 하는 경우에는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재한 별지목록(공단규칙 별지 제4호 및 제5호 서식)을 첨부한다 심사항목 근거 (관련법조항) 심사 및 확인 기준 사업장 체크 대상 1. 사업의 개요 고시 별표 1 1-1 심사대상 적정여부 - 작성자 자격 및 심사대상 적정성 - 사업의 구분(신설, 이전, 변경 등) 심사 2. 공정 설명서 및 흐름도 고시 별표 2 2-1 제조공정 설명서 및 흐름도(PFD) 적..
안전보건교육 면제조건 및 면제 시간 대상교육 면제조건 면제 시간 안전보건교육 안전.보건교육 위탁전문기관을 통한 교육 실시한 경우 교육이수 시간 정기교육 무재해운동 등 재해예방사업 관련 교육 실시 경우 교육실시 시간 안전.보건관리자 선임 의무가 없는 사업장의 근로자가 근로자 건강센터에서 실시하는 안전보건교육, 건강삼당, 건강관리프로그램 등 참여한 경우 참여 시간 안전체험교육장에서 체험교육을 실시한 경우 교육이수 시간 전년도 산업재해 미발생 사업장의 당해 연도 근로자 정기교육 교육 시간 50%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교육(검사원 양성교육, 전문화 교육, 통신교육 등)을 이수한 경우 교육이수 시간 채용시의 교육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세분류 중 같은 업종에 6개월 이상 근무 경력이 있는 근로자에 대한 채용시 교육 실시한 경우 채용 시의 교육시간 50..
선반작업 안전조치 개요 - 선반이란 공작물을 주축에 고정하여 회전하고 있는 동안, 바이트에 이송을 주어 외경, 절삭, 보링, 절단, 단면 절삭, 나사 절삭 등의 가공을 하는 공작기계이다. - 선반의 종류는 대단히 많으며, 목적 ·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의 것이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범용 선반이라고 하고, 사업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식은 범용 선반, CNC 선반, 자동 선반 등이다. 주요 위험요인 1. 회전부위 등 위험 1) 회전부위에 접촉하거나 말림의 의한 재해 2) 주축대, 심압대의 결함에 의한 재해 3) 선반의 부품이나 공작물에 옷, 장갑, 손 또는 팔이 걸리는 재해 2. 칩 비산에 의한 위험 1) 튀는 금속 조각에 의한 눈 또는 신체 부상 3. 절삭유에 의한 공기오염 및 피부질환 1) 냉각제..
탁상용연삭기 안전조치 탁상용연삭기란 : 탁상용연삭기는 연삭기 일종으로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연삭숫돌을 회전시켜 가공물의 용접 부위나 구석부분의 마감 등의 작업을 하는 공구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휴대용연삭기에 비해 가공능력은 떨어지나 큰 힘으로 신속하게 연마할 수 있다. 주요 위험요인 1. 연삭숫돌 비래에 의한 사고위험 있음 - 연삭숫돌 파괴로 인한 파편 - 공작물의 파편이나 칩 2. 회전하는 숫돌에 접촉 절단, 스침 등의 상해위험 있음 - 연삭숫돌에 근로자의 손 접촉 3. 끼임에 의한 사고위험 있음 - 회전하는 숫돌과 덮개 - 회전하는 숫돌과 작업대(워크 레스트) 안전대책 1. 사용전 점검 실시 - 연삭숫돌의 외간검사 실시(갈라짐, 잔금, 이빠짐, 마모과다 등) : 숫돌을 목재 해머로 가볍게 두들겨 깨끗한 소리(정상), ..
전기방식법(부식방지=희생양극법, 외부전원법) 전기방식 : 금속이 양이온화되고 화학적 반응에 의해 소모(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양이온화를 방지하기 위해 전자를 공급해 금속의 소모(부식)을 방지하는 방식 전기방식의 종류 1. 희생양극법 1) 이종급속 간의 전위 차이(갈바닉 부식현상)를 이용하여 방식대상(Fe)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고 전위가 낮은 금속(Mg 등)을 방식대상물에 연결시키면 양 금속 간에 전지반응이 형성되어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Mg 등)에서 금속이온이 용출되며, 방식 대상에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 2) 자연적 전위차는 약 -1,600mV 이하인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3) 희생양극방법은 금속의 발생전위 차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물과 가깝게 설치해야 하고, 매질(토양 등)의 특성에 따..
특정부식(Chloride에 의한 부식, 산소에 의한 부식, 대기 중 부식) Chloride에 의한 부식 1. 염소는 일반적으로 1가를 취하여 KCln 의 염화물(NaCl, FeCl2, AlCl3 등)을 만드는데, 일반적으로 비활성기체를 제외한 거의 모든 원소가 염소와 반응하여 염화물을 만든다. 2. 스테인리스의 경우 부동태인 피막을 만들어 부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나, 매질 내에 염소가 존재할 경우 부동태인 피막을 제거하게 됨으로써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산소와 용존산소에 의한 부식 1. 산소에 의한 부식 : 금속(Fe)의 경우 산소와의 결합에 의해 산화금소깅 형성되어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반응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철 + 산소 -> 산화철(2Fe + O2 -> 2FeO, 4Fe + 3O2 -> 2Fe2O3) 2. 용존산소의 영향 1) 산소는 산소환원반응에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