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777)
올바른 안전대 사용 ABC ​ ​ 올바른 안전대 사용 ABC 깨끗한 지구 만들기 blog.naver.com
내화관련 법규체계 건축법 제 2 조 7. "주요구조부"란 내력벽(耐力壁), 기둥, 바닥, 보, 지붕틀 및 주계단(主階段)을 말한다. 다만, 사이 기둥, 최하층 바닥, 작은 보, 차양, 옥외 계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으로건축물의 구조상 중요하지 아니한 부분은 제외한다. ​ 제 50 조 1 항(건축물의 내화구조 및 방화벽) ① 문화 및 집회시설, 의료시설, 공동주택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주요구조부와 지붕을 내화(耐火)구조로 하여야 한다. 다만, 막구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구조는 주요구조부에만 내화구조로 할 수 있다. ​ 제 51 조 1 항(방화지구안의 건축물) ①「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37 조제 1 항제 3 호에 따른 방화지구(이하 "방화지구"라 한다)..
설계안전성검토(DFS : Design For Safey) 대상 설계안전성검토(DFS : Design For Safey) 대상 ​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98조제1항 에 따른 안전관리계획 수립대상 중 발주청 발주 공사의 실시설계 1. *1종 시설물 및 *2종 시설물의 건설공사 *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2호 및 제3호 2. 지하 10M 이상을 굴착하는 건설공사 3. 폭발물 사용으로 *주변에 영향이 예상되는 건설공사 * 주변 :20M 내 시설물 또는 100M 내 가축 사육 4. 10층 이상 16층 미만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5. 10층 이상인 건축물의 리모델링 또는 해체공사 6. 『주택법』제2조제25호다목에 따른 수직증축형 리모델링 7. 『건진법 시행령』 제101조의2제1항의 *가설구조물을 사용하는 건설공사 *가설구조물 구분 상세 비계 높..
건축물 보수 및 보강 종류 보수 및 보강 개념 - 보수(Repair) : 손상부위의 단면성능 복구(노후화된 재료의 치환 또는 균열부위의 주입재 주입 등) - 보강(Strengthening) : 사용기간 중 하중조건 및 용도변경 등에 따른 구조체의 내력 부족 부위를 보강재 등을 사용하여 구조성능을 회복 및 향상 균열 보수 공사 - 구조 부재에 발생한 균열 위치에 고강도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여 기존의 균열을 보수하고 추가적인 균열의 진행을 방지하는 공법. 균열의 폭, 깊이에 따라 고압식 주입, 저압 주입으로 나뉜다. 균열일 크고 깊은 경우 고압 주입기(Air Compressor)를 이용하여 주입하며, 미세균열의 경우 주사기 등을 사용하여 저압으로 주입 보수한다. 누수 균열 보수일 경우에는 발포성 폴리우레탄 또는 수용성 에폭시 수지를 ..
원자력안전법 - 신고 신고대상 방사성동위원소 ​ - 밀봉RI에만 해당(개봉RI는 모두 허가 필요) - 용도와 수량중 하나만 만족해도 신고대상에 포함 용도 (1) X선 형광분석용(XRF) (물질의 구성성분 분석장비) (2) X선 회절분석용(XRD) (물질의 구성성분 분석장비) (3) 가스트로마토그래피 중 전자포획용 (4) 휴대용 소화기용량 측정용 (공익목적) (5) 휴대용 재료성분 분석용 (XRF, XRD를 휴대용으로 만든 것) (6) 밀봉선원 100 uCi 이하의 휴대용 밀도함수량 측정용 (법 제정당시 사용되던 것. 현재 사용X) 수량 (1) 교정용 장치에 RI가 내장된 경우 - RI 수량 40 MBq 이하 - 사용중 표면방사선량률 500 uSv/h 이하 - 사용X 표면방사선량률 1 uSv/h 이하 (2) 이외의 장치에 RI..
실업급여 조건 ​ Q.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요? ​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조건이 성립되어야 합니다. ① 이직(퇴직)전 18개월간 피보험단위기간 180일 이상 ② 비자발적으로 퇴사한 경우 ③ 근로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취업하지 못한 상태 ​ 자발적 퇴사에도 다음과 같은 불가피한 경우에는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 - 이직 전 1년 이내에 2개월 이상 임금체불이 있는 경우 - 이직 전 1년 이내에 2개월 이상 주52시간을 초과해서 근무한 경우 - 직장 내 괴롭힘을 당했거나 성희롱, 성폭력 등 성적인 괴롭힘을 당한 경우 - 사업장 이전, 전근 등으로 출퇴근이 왕복 3시간 이상이 되어 통근이 곤란해진 경우 - 부모나 동거 친족의 질병·부상 등으로 30일 이상 본인이 간호해야 하는 기간..
고용노동부 민원신청 방법 민원마당 > 민원신청 > 서식민원 minwon.moel.go.kr ​ ​ 1. 민원마당의 '민원신청 > 서식민원'을 클릭 ​ ​ 2. 민원서식을 검색하여 '신청'버튼 클릭 ​ ​ 3. 회원 또는 비회원 로그인 ​ ​ 4. 임금체불 진정 서식 내용 입력 ​ 고용노동부 민원신청 방법 1. 민원마당의 '민원신청 > 서식민원'을 클릭 2. 민원서식을 검색하여 '신청'버튼 ... blog.naver.com
연차 유급휴가(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 ③ 삭제 ​ 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 ​ 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