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777)
벨트 슬링 안전작업 벨트 슬링이란? 벨트슬링(Flat woven webbing sling)이란 크레인의 훅이나 기타 권상기구에 화물을 달기 위한 것으로 봉제된 웹 요소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조선소나 하역 현장 등에서 강관이나 스테인레스 강 등과 같이 미끄럼이나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나 체인보다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와이어로프에 비하여 강도가 매우 약해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다. 여기서는 주로 사용되고 있는 양끝 아이형(EYE & EYE TYPE) 벨트 슬링과 엔드리스형(ENDLESS TYPE) 벨트 슬링에 대해서 설명한다. ​ ​ 벨트 슬링의 표면손상 등에 따른 폐기기준 구분 손상 내용 비고 아이 부분 ● 아이부의 재봉선이 닳아서 속의 흰 부분이 보이..
안전보건규칙 내화기준 안전성 입증 방법(질의, 답변, 결론) 질의 : 안전보건규칙 제270조(내화기준) ① 사업주는 제230조제1항에 따른 가스폭발 위험장소 또는 분진폭발 위험장소에 설치되는 건축물 등에 대해서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부분을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며, 그 성능이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점검ㆍ보수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건축물 등의 주변에 화재에 대비하여 물 분무시설 또는 폼 헤드(foam head)설비 등의 자동소화설비를 설치하여 건축물 등이 화재시에 2시간 이상 그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내화구조로 하지 아니할 수 있다. 1. 건축물의 기둥 및 보: 지상 1층(지상 1층의 높이가 6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6미터)까지 2. 위험물 저장ㆍ취급용기의 지지대(높이가 30센티미터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지상으로부터 지지..
중량물 운반, 보관 시 위험방지 기본적으로 체크하여야 할 조항 ​ 일터에서 적용하여야 할 유해·위험 예방 조치 중량물 취급 ● 중량물을 운반, 취급하는 경우에 하역운반기계·운반용구(이하 “하역운반기계등”)를 사용. 다만, 작업의 성질상 하역운반기계 등을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 예외 ​ 경사면에서의 중량물 취급 ● 경사면에서 드럼통 등의 중량물을 취급하는 경우 다음 사항 준수 - 구름멈춤대, 쐐기 등을 이용하여 중량물의 동요나 이동을 조절 - 중량물이 구르는 방향인 경사면 아래로는 근로자의 출입을 제한 ​ ​ 꼬임이 끊어진 섬유로프 등의 사용 금지 ● 다음에 해당하는 섬유로프 등을 화물운반용, 고정용으로 사용금지 - 꼬임이 끊어진 것 - 심하게 손상되거나 부식된 것 ​ ​ 사용 전 점검 등 ● 섬유로프 등을 사용하여 화물취급작업을 하는 경..
이동식 사다리 안전기준 및 수칙 이동식 사다리 안전수칙 사다리 사용이 불가피한 경작업 - 경작업, 고소작업대, 비계 등의 설치가 어려운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 * 경작업 : 손 또는 팔을 가볍게 사용하는 작업으로서 전구교체 작업, 전기통신 작업, 평탄한 곳의 조경작업 등 ​ ​ 평탄. 견고한 바닥 - 평탄, 견고하고 미끄럼이 없는 바닥에 설치 ​ ​ 3.5m 이하의 A형 사다리 사용 - 최대길이 3.5m 이하 A 형사다리(조경용 포함)에서만 작업 * 보통(일자형)사다리, 신축형(연장형(사다리, 일자형으로 펼쳐지는 발붙임 겸용 사다리(A형)에서는 작업금지 ​ 보호구 착용 - 모든 사다리 작업 시 안전모 착용, 작업높이가 2m 이상인 경우 안전대 착용 * 작업높이 : 발을 딛는 디딤대의 높이 ​ 2인 1조 작업 - 작업높이가 바닥 면으로부터..
광선(광전자)식 방호장치 설치 구조, 활용 광선(광전자)식 방호장치 : 광선 검출트립기구를 이용한 방호장치로서 신체의 일부가 광선을 차단하면 기계를 급정지 또는 급상승시켜 안전을 확보하는 장치 ​ 설치 구조 - 정상 작동 중에는 사람 또는 물체의 일부가 검출 영역 내에 있거나 들어갔을 때 또는 감지 소자의 규정 신호 범위 내에 있을 때 작동하여야 함 - 검출 영역은 작업자(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없도록 설치되어야 함 - 정상 동작표시 램프는 녹색, 위험표시 램프는 붉은색으로 표시함 -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거리에 설치되어야 함 - 방호장치 이상 시 정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함 - 방호장치는 작업자(근로자)가 임의로 해제할 수 없는 구조로 설치되어야 함 ​ 활용 공작기계 산업(프레스 장비) ​ 물류 이송(로봇 등) ​ 관련 ..
이동식 도크(Mobile Dock) 이동식도크(Mobile Dock) 이동식 도크는 컨테이너, 트럭 등의 운송수단에 지게차와 같은 물류장비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설비로써 지상과 차량을 연결하여 물류장비가 직접 운송수단에 올라갈 수 있게 하는 설비이다. 즉, 화물의 상·하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물류설비로 바퀴가 장착되어 위치 이동이 자유롭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 ○ 진입 발판 : 지게차와 같은 물류장비의 진입을 위한 발판 ○ 가이드 : 지게차 등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 조절좌 : 이동식도크의 프레임 부분의 높이를 조절하고, 지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장치 ○ 노면 및 평지부 : 지게차가 컨테이너의 화물을 하역작업을 할 때 지면과 같은 조건을 만들어 주기 위한 평면부 ○ LIP : 모빌도크와 차량 바닥면을 ..
랙(Rack) 종류 및 특징 랙(Rack) 1. 파렛트 랙(Pallet Rack) 파렛트 단위로 물품을 적재하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화물이라도 파렛트에 실려오면 적재가 가능하다. 또한 파렛트 단위로 모으기 힘든 것이나 수작업의 경우 랙에 선반(Shelf)을 부착하여 피킹용 랙으로 화물을 보관할 수도 있다. ​ ○ 파렛트 랙의 특징 - 화물의 하중 조건에 따라 최적의 부재를 선정함으로 안정성, 경제성이 우수하다. - 조립식 구조로써 각 부품의 분해, 결합이 간단하므로 단수조정 및 이전설치가 용이하다. - 다양한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랙 규격 선택이 자유롭다. - 연결형과 독립형으로 나뉜다. ​ ※ 파렛트의 종류 연결형 독립형 ​ ○ 로드빔(Road Beam)의 종류 - 단면형태에 따른 분류 명칭 이미지 특징 A형 (엑스트라헤비급) ㆍ중..
지게차 데이터 플레이트(DATA PLATE) 읽는 법 ​ 1. 모델 번호 말 그대로 해당 차량의 모델 번호입니다. 모든 제조사는 고유의 모델 번호를 부여하는 공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델 번호만으로도 해당 차량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대략 파악할 수 있죠. 위 샘플의 모델 번호는 Toyota 의 8FGU25 입니다. 8은 제품의 세대, F는 내연기관 차량, G는 휘발유 혹은 LP 가스 차량, U는 미국 공장 제조모델, 그리고 마지막 숫자 25는 용량 = 2.5톤 = 5,000 파운드를 의미합니다. 모델명에 C 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해당 차량은 뉴매틱 타이어를 사용하는 모델이겠군요. ​ ​ 2. 일련번호 모든 데이터 플레이트는 해당 차량의 일련번호를 표기하고 있습니다. 지게차는 기본적으로 일련번호에 의해 관리됩니다. 차량의 정기점검 및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