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82)
도급사업 관련 산업안전보건법 주요내용 위험의 외주화 방지를 위한 도급제한 1. 유해한 작업의 도급금지 ⚫ 유해위험성이 매우 높은 ▴도금작업 ▴수은・납・카드뮴의 제련・주입・가공・가열 작업 ▴허가물질* 제조・사용작업에 대해 사내 도급을 금지 ※ 디클로로벤지딘, 베릴륨, 비소, 염화비닐 등 12개 화학물질(시행령 제88조) - 다만, 상시 인력의 고용이 어려운 일시・간헐적 작업과 도급인의 사업운영에 필수 불가결한 경우로서 수급인이 보유한 전문적 기술활용 목적의 도급은 예외로 하되, ☞ 일시적 작업은 30일 이내 종료되는 1회성 작업이며, 간헐적 작업은 연간 총 60일을 초과하지 않는 작업으로 제한(예, 허가대상물질 비소화합물 촉매 교체 작업으로 10개월마다 하는데, 특수장비가 필요하며 통상 작업기간은 25일이 소요되어 해당 작업에 필요한 인력을 ..
자동포장기 안전작업(Automatic Packaging Machine) 자동포장기란? ●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은 상표가 붙은 병이나 깡통 등의 제품용기에 충전되고, 2차로 상품명이 인쇄된 골판지 등 두꺼운 종이박스에 추가 포장되어 유통회사를 통하여 판매된다. 이와 같이 제품 생산 외의 행위를 모두 포장이라고 하며, 포장을 자동으로 하는 기계가 자동포장기이다. ​ ​ ● 자동포장기의 종류는 취급되는 제품의 특질·포장방법·포장재료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주된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충전기 : 제품 자체의 양을 일정하게 용기에 채워 넣는 기계이다. 제품의 물리적인 성질, 즉 고체·액체·분체(粉體)·반유동체·입상(粒狀) 등에 따라, 또 깡통·병·부대·상자 등 포장 형태에 따라 각각 다른 구조의 기계가 사용된다. 어느 것이나 제품의 일정량을 배분하는 ..
컨베이어 관련 산안법령 주요내용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0조(출입의 금지 등) ㅇ 사업주는 쌓아놓은 화물이 무너지거나 화물이 떨어져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을 금지하여야 함 ​ ​ 제22조(통로의 설치) ㅇ 사업주는 작업장으로 통하는 장소나 작업장 내에 근로자가 사용할 안전한 통로를 설치하고 항상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여야 함 ㅇ 통로의 주요 부분에는 통로표시를 하고, 근로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ㅇ 통로면으로부터 높이 2미터 이내에는 장애물이 없도록 하여야 함 ​ ​ 제35조(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 방지 업무 등)제2항 ㅇ 사업주는 컨베이어 등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때에는 작업 시작 전에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필요한 사항*을 점검하도록 하고, 이상 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8의 밀폐공간 해설 제1호 다음의 지층에 접하거나 통하는 우물·수직갱·터널·잠함·피트 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의 내부 가. 상층에 물이 통과하지 않는 지층이 있는 역암층 중 함수 또는 용수가 없거나 적은 부분 나. 제1철 염류 또는 제1망간 염류를 함유하는 지층 다. 메탄·에탄 또는 부탄을 함유하는 지층 라. 탄산수를 용출하고 있거나 용출할 우려가 있는 지층 ​ 해설 제1호는 지상에 개구부를 가진 우물, 수직갱, 터널, 잠함, 피트(우물 등) 으로 산소결핍이 발생할 수 있는 장소를 말한다. 가목의 역암층은 입자가 2mm 이상인 암석을 함유하는 다공질의 층으로 내부에 용수 등이 없거나 적은 경우 천연가스 등이 함유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일본과 같은 화산지대의 경우 화산활동에 따른 가스가 존재할 수 있어 내부에 들어간..
국가별 밀폐공간의 법적 사항 밀폐공간의 법적 작업장 명칭 구분 규칙명 법적 작업장 명칭 한국 법적 작업장 명칭 밀폐공간 미국 OSHA Permit-Required Confined Spaces OSHA Standard 29 CFR 1910.146 밀폐공간(Confined space) 영국 HSE, Confined spaces Regulatio ns 1997 밀폐공간(Confined space) 일본 일본후생노동성 산소결핍증 등 규칙 (후생노동성 령 제175조) 산소결핍위험장소 및 황화수소 위험장소 등( 산소결핍 위험장소로 약침함) 중국 The Factories & Industrial Undertakings(Confined spaces) 밀폐공간(Confined space or confined room) 호주/뉴질랜드 영국 HSE 기준..
벨트 슬링 안전작업 벨트 슬링이란? 벨트슬링(Flat woven webbing sling)이란 크레인의 훅이나 기타 권상기구에 화물을 달기 위한 것으로 봉제된 웹 요소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조선소나 하역 현장 등에서 강관이나 스테인레스 강 등과 같이 미끄럼이나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나 체인보다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와이어로프에 비하여 강도가 매우 약해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다. 여기서는 주로 사용되고 있는 양끝 아이형(EYE & EYE TYPE) 벨트 슬링과 엔드리스형(ENDLESS TYPE) 벨트 슬링에 대해서 설명한다. ​ ​ 벨트 슬링의 표면손상 등에 따른 폐기기준 구분 손상 내용 비고 아이 부분 ● 아이부의 재봉선이 닳아서 속의 흰 부분이 보이..
안전보건규칙 내화기준 안전성 입증 방법(질의, 답변, 결론) 질의 : 안전보건규칙 제270조(내화기준) ① 사업주는 제230조제1항에 따른 가스폭발 위험장소 또는 분진폭발 위험장소에 설치되는 건축물 등에 대해서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부분을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며, 그 성능이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점검ㆍ보수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건축물 등의 주변에 화재에 대비하여 물 분무시설 또는 폼 헤드(foam head)설비 등의 자동소화설비를 설치하여 건축물 등이 화재시에 2시간 이상 그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내화구조로 하지 아니할 수 있다. 1. 건축물의 기둥 및 보: 지상 1층(지상 1층의 높이가 6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6미터)까지 2. 위험물 저장ㆍ취급용기의 지지대(높이가 30센티미터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지상으로부터 지지..
중량물 운반, 보관 시 위험방지 기본적으로 체크하여야 할 조항 ​ 일터에서 적용하여야 할 유해·위험 예방 조치 중량물 취급 ● 중량물을 운반, 취급하는 경우에 하역운반기계·운반용구(이하 “하역운반기계등”)를 사용. 다만, 작업의 성질상 하역운반기계 등을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 예외 ​ 경사면에서의 중량물 취급 ● 경사면에서 드럼통 등의 중량물을 취급하는 경우 다음 사항 준수 - 구름멈춤대, 쐐기 등을 이용하여 중량물의 동요나 이동을 조절 - 중량물이 구르는 방향인 경사면 아래로는 근로자의 출입을 제한 ​ ​ 꼬임이 끊어진 섬유로프 등의 사용 금지 ● 다음에 해당하는 섬유로프 등을 화물운반용, 고정용으로 사용금지 - 꼬임이 끊어진 것 - 심하게 손상되거나 부식된 것 ​ ​ 사용 전 점검 등 ● 섬유로프 등을 사용하여 화물취급작업을 하는 경..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