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준·규격/전기계장(E)

한국전기설비규정(KEC) - 피뢰시스템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3-875호

728x90
반응형

 


 

1. 피뢰시스템의 적용범위 및 구성

1.1 적용범위

  • 전기전자설비가 설치된 건축물, 구조물로서 낙뢰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것 또는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20m 이상인 것
  • 전기설비 및 전자설비 중 낙뢰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설비

1.2 피뢰시스템의 구성

  • 직격뢰로부터 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한 외부피뢰시스템
  • 간접뢰 및 유도뢰로부터 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한 내부피뢰시스템

1.3 피뢰시스템 등급선정

피뢰시스템 등급은 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KS C IEC 62305-1(피뢰시스템 - 제1부 : 일반원칙)의 "8.2 피뢰레벨", KS C IEC 62305-2(피뢰시스템 - 제2부 : 리스트 관리),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 - 제3부 : 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 "4.1 피뢰시스템의 등급"에 의한 피뢰레벨 따라 선정한다. 다만, 위험물의 제조소 등에 설치하는 피뢰시스템은 II 등급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외부 피뢰시스템

2.1 수뢰부 시스템

2.1.1 선정

  • 돌침, 수평도체, 그물망도체의 요소 중에 한 가지 또는 이를 조합한 형식으로 시설하여야 한다.
  • 수뢰부시스템 재료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 - 제3부 : 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 "표 6(수뢰도체, 피뢰침, 대지 인입봉과 인하도선의 재료, 형상과 최소단면적)"에 따른다.
  • 자연적 구성부재가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 - 제3부 : 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 "5.2.5 자연적 구성부재"에 적합하면 수뢰부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다.

2.1.2 배치

  • 보호각법, 회전구체법, 그물망법 중 하나 또는 조합된 방법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다만, 피뢰시스템의 보호각, 회전구체 반경, 그물망 크기의 최대값은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 - 제3부 : 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 "표 2(피뢰시스템의 등급별 회전구체 반지름, 메시 치수와 보호각의 최대값)" 및 "그림 1(피뢰시스템의 등급별 보호각)"에 따른다.
  • 건축물·구조물의 뾰족한 부분, 모서리 등에 우선하여 배치한다.

2.1.3 지상으로부터 높이 60m 를 초과하는 건축물·구조물에 측뢰 보호가 필요한 경우

  • 전체 높이 60m를 초과하는 건축물·구조물의 최상부로부터 20% 부분에 한하며, 피뢰시스템 등급 IV의 요구사항에 따른다.
  • 자연적 구성부재가 제1의 "다"에 적합하면, 축뢰 보호용 수뢰부로 사용할 수 있다.

2.1.4 건축물·구조물과 분리되지 않은 수뢰부시스템

  • 지붕 마감재가 불연성 재료로 된 경우 지붕표면에 시설할 수 있다.
  • 지붕 마감재가 높은 가연성 재료로 된 경우 지붕재료와 다음과 같이 이격하여 시설한다.

(1) 초가지붕 또는 이와 유사한 경우 0.15 m 이상

(2) 다른 재료의 가연성 재료인 경우 0.1 m 이상

2.1.5 건축물·구조물을 구성하는 금속판 또는 금속배관 등 자연적 구성부재를 수회부로 사용하는 경우 제1의 "다" 조건에 충족하여야 한다.

2.2 인화도선시스템

2.2.1 수뢰부시스템과 접지시스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

  • 복수의 인하도선을 병렬로 구성해야 한다. 다만, 건축물·구조물과 분리된 피뢰시스템인 경우 예외로 할 수 있다.
  • 도선경로의 길이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 인하도선시스템 재료는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 - 제3부 : 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 "표 6(수뢰도체, 피뢰침, 대지 인입봉과 인하도선의 재료, 형상과 최소단면적)"에 따른다.

2.2.2 배치 방법

  • 건축물·구조물과 분리된 피뢰시스템인 경우

(1) 뇌전류의 경로가 보호대상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별개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 지주마다 1가닥 이상의 인하도선을 시설한다.

(3) 수평도체 또는 그물망도체인 경우 지지 구조물마다 1가닥 이상의 인하도선을 시설한다.

  • 건축물·구조물과 분리되지 않은 피뢰시스템인 경우

(1) 벽이 불연성 재료로 된 경우에는 벽의 표면 또는 내부에 시설할 수 있다. 다만, 벽이 가연성 재료인 경우에는 0.1 m 이상 이격하고, 이격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도체의 단면적을 100mm2 이상으로 한다.

(2) 인하도선의 수는 2가닥 이상으로 한다.

(3) 보호대상 건축물·구조물의 투영따른 둘레에 가능한 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다만, 노출된 모서리 부분에 우선하여 설치한다.

(4) 병렬 인하도선의 최대 간격은 피뢰시스템 등급에 따라 I, II 등급은 10m, III 등급은 15m, IV 등급은 20m

2.2.3 수뢰부시스템과 접지극시스템 사이에 전기적 연속성이 형성되도록 다음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 경로는 가능한 한 루프 형성이 되지 않도록 하고, 최단거리로 곧게 수직으로 시설하여야 하며, 처마 또는 수직으로 설치 된 홈통 내부에 시설하지 않아야 한다.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을 자연적구성부재의 인하도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철근 전체 길이의 전기저항 값은 0.2 Ω 이하가 되어야하며, 전기적 연속성은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 - 제3부: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 “4.3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강제 철골조의 전기적 연속성”에 따라야 한다.
  • 시험용 접속점을 접지극시스템과 가까운 인하도선과 접지극시스템의 연결부분에 시설하고, 이 접속점은 항상 닫힌 회로가 되어야 하며 측정 시에 공구 등으로만 개방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자연적 구성부재를 이용하거나, 자연적 구성부재 등과 본딩을 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2.2.4 인하도선으로 사용하는 자연적 구성부재는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 - 제3부: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 “4.3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강제 철골조의 전기적 연속성”과 “5.3.5 자연적 구성 부재”의 조건에 적합해야 하며 다음에 따른다.

  • 각 부분의 전기적 연속성과 내구성이 확실하고, 제1의“다”에서 인하도선으로 규정된 값 이상인 것
  • 전기적 연속성이 있는 구조물 등의 금속제 구조체(철골, 철근 등)
  • 구조물 등의 상호 접속된 강제 구조체
  • 건축물 외벽 등을 구성하는 금속 구조재의 크기가 인하도선에 대한 요구사항에 부합하고 또한 두께가 0.5 ㎜ 이상인 금속판 또는 금속관
  • 인하도선을 구조물 등의 상호 접속된 철근·철골 등과 본딩하거나, 철근·철골 등을 인하도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수평 환상도체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 인하도선의 접속은 2.4에 따른다.

2.3 접지극시스템

2.3.1 뇌전류를 대지로 방류시키기 위한 접지극시스템은 다음에 의한다.

  • A형 접지극(수평 또는 수직접지극) 또는 B형 접지극(환상도체 또는 기초접지극) 중 하나 또는 조합하여 시설할 수 있다.
  • 접지극시스템의 재료는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제3부: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표 7(접지극의 재료, 형상과 최소치수)”에 따른다.

2.3.2 접지극시스템 배치는 다음에 의한다.

  • A형 접지극은 최소 2개 이상을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해야 하고,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제3부: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 “5.4.2.1 A형 접지극 배열”에 의한 피뢰시스템 등급별 대지저항률에 따른 최소길이 이상으로 한다.
  • B형 접지극은 접지극 면적을 환산한 평균반지름이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제3부: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그림 3(LPS 등급별 각 접지극의 최소길이)”에 의한 최소길이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평균반지름이 최소길이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길이의 수평 또는 수직매설 접지극을 추가로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추가하는 수평 또는 수직매설 접지극의 수는 최소 2개 이상으로 한다.
  • 접지극시스템의 접지저항이 10 Ω 이하인 경우 제2의“가”와 “나”에도 불구하고 최소 길이 이하로 할 수 있다.

2.3.3 접지극은 다음에 따라 시설한다.

  • 지표면에서 0.75 m 이상 깊이로 매설 하여야 한다. 다만, 필요시는 해당 지역의 동결심도를 고려한 깊이로 할 수 있다.
  • 대지가 암반지역으로 대지저항이 높거나 건축물·구조물이 전자통신시스템을 많이 사용하는 시설의 경우에는 환상도체접지극 또는 기초접지극으로 한다.
  • 접지극 재료는 대지에 환경오염 및 부식의 문제가 없어야 한다.
  • 철근콘크리트 기초 내부의 상호 접속된 철근 또는 금속제 지하구조물 등 자연적 구성부재는 접지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2.4 부품 및 접속

2.4.1 재료의 형상에 따른 최소단면적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제3부: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표 6(수뢰도체, 피뢰침, 대지 인입봉과 인하도선의 재료, 형상과 최소단면적)”에 따른다.

2.4.2 피뢰시스템용의 부품

KS C IEC 62305-3(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 표 5(피뢰시스템의 재료와 사용조건)에 의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특성이 동등 이상인 경우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2.4.3 도체의 접속부 수

최소한으로 하여야 하며, 접속은 용접, 눌러 붙임, 봉합, 나사 조임, 볼트 조임 등의 방법으로 확실하게 하여야 한다. 다만,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골조의 접속은 152.2의 3의 “나”에 따른다.

2.5 옥외에 시설된 전기설비의 피뢰시스템

  • 고압 및 특고압 전기설비에 대한 피뢰시스템은 2.1 내지 2.4에 따른다.
  • 외부에 낙뢰차폐선이 있는 경우 이것을 접지하여야 한다.
  • 자연적구성부재의 조건에 적합한 강철제 구조체 등을 자연적 구성부재 인하도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내부 피뢰시스템

3.1 전기전자설비 보호

3.1.1 일반사항

1) 전기전자설비의 뇌서지에 대한 보호는 다음에 따른다.

  • 피뢰구역의 구분은 KS C IEC 62305-4(피뢰시스템-제4부:구조물 내부의 전기전자시스템)의“4.3 피뢰구역(LPZ)”에 의한다.
  • 피뢰구역 경계부분에서는 접지 또는 본딩을 하여야 한다. 다만, 직접 본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서지보호장치를 설치한다.
  • 서로 분리된 구조물 사이가 전력선 또는 신호선으로 연결된 경우 각각의 피뢰구역은 153.1.3의 2의“나”에 의한 방법으로 서로 접속한다.

2) 전기전자기기의 선정 시 정격 임펄스내전압은 아래표에서 제시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설비의
공칭전압
(V)
교류 또는 직류 공칭전압에서 산출한 상전압 (V)
요구되는 정격 임펄스 내전압a (kV)
과전압 범주 IV
(매우 높은 정격 임펄스 전압 장비)
과전압 범주 III
(높은 정격 임펄스 전압 장비)
과전압 범주 II
(통상 정격 임펄스 전압 장비)
과전압 범주 I
(감축 정격 임펄스 전압 장비)
예) 계기, 원격제어시스템
예) 배전반, 개폐기, 콘센트
예) 가전용 배전 전기기기 및 도구
예) 민감한 전자 장비
120/208
150
4
2.5
1.5
0.8
(220/380)b
230/400
277/480
300
6
4
2.5
1.5
400/690
600
8
6
4
2.5
1000
1000
12
8
6
4
1500 D.C.
1500 D.C.


8
6
a 임펄스 내전압은 충전도체와 보호도체 사이에 적용된다.
b 현재 국내 사용 전압이다.

3.1.2 전기적 절연

  • 수뢰부 또는 인하도선과 건축물·구조물의 금속부분, 내부시스템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은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제3부: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6.3 외부 피뢰시스템의 전기적 절연”에 의한 간격으로 한다.
  • 제1에도 불구하고 건축물·구조물이 금속제 또는 전기적연속성을 가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경우에는 전기적 절연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3.1.3 접지와 본딩

1) 전기전자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접지와 피뢰등전위본딩은 다음에 따른다.

  • 뇌서지 전류를 대지로 방류시키기 위한 접지를 시설하여야 한다.
  • 전위차를 해소하고 자계를 감소시키기 위한 본딩을 구성하여야 한다.

2) 접지극은 152.3에 의하는 것 이외에는 다음에 적합하여야 한다.

  • 전자·통신설비(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접지는 환상도체접지극 또는 기초접지극으로 한다.
  • 개별 접지시스템으로 된 복수의 건축물·구조물 등을 연결하는 콘크리트덕트·금속제 배관의 내부에 케이블(또는 같은 경로로 배치된 복수의 케이블)이 있는 경우 각각의 접지 상호 간은 병행 설치된 도체로 연결하여야 한다. 다만, 차폐케이블인 경우는 차폐선을 양끝에서 각각의 접지시스템에 등전위본딩 하는 것으로 한다.

3) 전자·통신설비(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서 위험한 전위차를 해소하고 자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다음에 의한 등전위본딩망을 시설하여야 한다.

  • 등전위본딩망은 건축물·구조물의 도전성 부분 또는 내부설비 일부분을 통합하여 시설한다.
  • 등전위본딩망은 그물망 폭이 5 m 이내가 되도록 하여 시설하고 구조물과 구조물 내부의 금속부분은 다중으로 접속한다. 다만, 금속 부분이나 도전성 설비가 피뢰구역의 경계를 지나가는 경우에는 직접 또는 서지보호장치를 통하여 본딩 한다.
  • 도전성 부분의 등전위본딩은 방사형, 그물망형 또는 이들의 조합형으로 한다.

3.1.4 서지보호장치 시설

1) 전기전자설비 등에 연결된 전선로를 통하여 서지가 유입되는 경우, 해당 선로에는 서지보호장치를 설치하여 한다.

2) 서지보호장치의 선정은 다음에 의한다.

  • 전기설비의 보호는 KS C IEC 61643-12(저전압 서지 보호 장치-제12부:저전압 배전 계통에 접속한 서지보호 장치-선정 및 적용 지침)와 KS C IEC 60364-5-53(건축 전기 설비-제5-53부:전기 기기의 선정 및 시공-절연, 개폐 및 제어)에 따르며, KS C IEC 61643-11(저압 서지보호장치-제11부:저압전력 계통의 저압 서지보호장치-요구사항 및 시험방법)에 의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 전자·통신설비(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보호는 KS C IEC 61643-22(저전압 서지보호장치-제22부:통신망과 신호망 접속용 서지보호장치-선정 및 적용지침)에 따른다.

3) 지중 저압수전의 경우, 내부에 설치하는 전기전자기기의 과전압범주별 임펄스내전압이 규정 값에 충족하는 경우는 서지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3.2 피뢰등전위본딩

3.2.1 일반사항

1) 피뢰시스템의 등전위화는 다음과 같은 설비들을 서로 접속함으로써 이루어진다.

  • 금속제 설비
  • 구조물에 접속된 외부 도전성 부분
  • 내부시스템

2) 등전위본딩의 상호 접속은 다음에 의한다.

  • 자연적 구성부재의 전기적 연속성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본딩도체로 연결한다.
  • 본딩도체로 직접 접속할 수 없는 장소의 경우에는 서지보호장치를 이용한다.
  • 본딩도체로 직접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장소의 경우에는 절연방전갭(ISG)을 이용한다.

3) 등전위본딩 부품의 재료 및 최소 단면적은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제3부: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 “5.6 재료 및 치수”에 따른다.

4) 기타 등전위본딩에 대하여는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제3부: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6.2 피뢰등전위본딩”에 의한다.

3.2.2 금속제 설비의 등전위본딩

1) 건축물·구조물과 분리된 외부피뢰시스템의 경우, 등전위본딩은 지표면 부근에서 시행하여야 한다.

2) 건축물·구조물과 접속된 외부피뢰시스템의 경우, 피뢰등전위본딩은 다음에 따른다.

  • 기초부분 또는 지표면 부근에서 하여야하며, 등전위본딩도체는 등전위본딩 바에 접속하고, 등전위본딩 바는 접지시스템에 접속하여야 한다. 또한 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153.1.2의 전기적 절연 요구조건에 따른 안전간격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피뢰시스템과 건축물·구조물 또는 내부설비의 도전성 부분은 등전위본딩 하여야 하며, 직접 접속하거나 충전부인 경우는 서지보호장치를 경유하여 접속하여야 한다. 다만, 서지보호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보호레벨은 보호구간 기기의 임펄스내전압보다 작아야 한다.

3) 건축물·구조물에는 지하 0.5 m와 높이 20 m 마다 환상도체를 설치한다. 다만 철근콘크리트, 철골구조물의 구조체에 인하도선을 등전위본딩하는 경우 환상도체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3.2.3 인입설비의 등전위본딩

1) 건축물·구조물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설비의 도전부에 대한 등전위본딩은 다음에 의한다.

  • 인입구 부근에서 143.1에 따라 등전위본딩 한다.
  • 전원선은 서지보호장치를 사용하여 등전위본딩 한다.
  • 통신 및 제어선은 내부와의 위험한 전위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직접 또는 서지보호장치를 통해 등전위본딩 한다.

2) 가스관 또는 수도관의 연결부가 절연체인 경우, 해당설비 공급사업자의 동의를 받아 절연방전갭 등의 공법으로 등전위본딩 하여야 한다.

3.2.4 등전위본딩 바

1) 설치위치는 짧은 도전성경로로 접지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위치이어야 한다.

2) 접지시스템(환상접지전극, 기초접지전극, 구조물의 접지보강재 등)에 짧은 경로로 접속하여야 한다.

3) 외부 도전성 부분, 전원선과 통신선의 인입점이 다른 경우 여러 개의 등전위본딩 바를 설치할 수 있다.

 

 

 

한국전기설비규정(KEC) - 피뢰시스템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3-875호

최종수정일 : 2025.01.03 1. 피뢰시스템의 적용범위 및 구성 1.1 적용범위 전기전자설비가 설치된 건축물, ...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