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산업안전보건

안전점검 종류 4가지, 점검내용 및 점검방법

728x90
반응형
SMALL

1. 안전점검의 목적

  1) 기계.기구 설비의 안정성 확보(결함이나 불안전 조건의 제거)

  2) 설비의 안전한 상태유지 및 본래의 성능 유지

  3) 근로자의 안전한 행동상태의 유지

  4) 작업안전 확보 및 생산성 향상

 

2. 점검 주체자와 점검 내용

  1) 안전보건관리책임자 : 작업환경의 점검

  2) 관리감독자 : 소속작업에 사용되는 기계기구 및 설비의 안전보건 점검

  3) 안전관리자 : 사업장 순회점검

  4) 보건관리자 : 전체환기 및 국소배기장치 등에 관한 설비의 점검

  5) 작 업 자 : 작업시잔 전 점검

 

3. 안전점검의 분류

  1) 점검시기에 따른 구분

    (1) 일상점검

        - 작업 전 작업중 또는 작업 종료 후에 수시로 실시하는 점검

        - 기계기구 및 설비 작업장 등 전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그 정상여부를 확인

        - 관리감독자나 작업자가 실시

    (2) 정기점검

        -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대상 기계기구 및 설비를 점검

        - 주요부분의 마모, 부식, 손상 등 상태변화의 이상유무를 기계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점검

        - 관리감독자나 안전관리자 등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춘 자가 실시

    (3) 특별점검

        - 기계기구 및 설비의 신설, 이동 교체시 기계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 경험과 지식이 풍부한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가 실시

    (4) 임시점검

        - 기계설비의 감작스런 이상 발견시에 실시

  2) 점검방법에 따른 구분

    (1) 외관점검

    (2) 기능점검

    (3) 작동점검

    (4) 정밀점검

 

4. 점검실시 대상

  1) 관리적 사항

    (1) 안전관리조직 체계

    (2) 안전활동

    (3) 안전교육

    (4) 안전점검

    (5) 안전수칙

  2) 기술적 사항

    (1) 유해위험 설비

    (2) 작업환경

    (3) 안전장치

    (4) 보 호 구

    (5) 정리정돈

    (6) 운반설비

    (7) 위험물, 방화관리

 

5. 안전점검의 순서

  1) 실태의 파악 : 생산라인의 전반적인 관찰 속에서 일정한 리듬을 파악한다.

  2) 결함의 발견 : 불안전한 상태와 불안전한 행동을 예측하고 결함을 찾아낸다.

  3) 대책의 결정 : 이상상태 발견 시 그 결함을 시정하기 위한 대책을 결정한다.

  4) 대책의 실시 : 그 원인을 분석하고 근원적인 조치를 강구한다.

 

6. 결론

  1) 안전점검은 재해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안전업무인데 반해 이미 발생한 재해 원인을 조사하는 재해조사는 소극적인 안전업무라고 할 수 있다.

  2) 안전점검을 실시할 때에는 점검자에 따라 점검결과의 판단이 달라지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폐단을 없애기 위해서는 점검대상마다 점검방법과 점검결과에 대한 판단기준을 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728x90
반응형
LIST